참통발
참통발
통발은 개통발(북부지방), 들통발(남부지방)로 나뉘는 듯하고 . . .
통발, 들통발, 개통발, 참통발 등이 있는 듯해요.
구분법은 설명 아랫부분에 기록해 놓았습니다.
꽃잎의 아랫입술 돌출부에 적갈색 무늬를 보로 참통발로 명찰을 달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통발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학명 : Utricularia tenuicaulis)
서식 : 연못이나 습지 (크기 : 높이 10~17㎝)
참통발은 통발보다 낫다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로 수생식물이다. 높이는 10~17㎝이다.
잎이 뭉쳐진 겨울눈(월동아)을 줄기 끝에 만들어 물 속에 가라앉은 채 겨울을 보낸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깃꼴로 여러 차례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실처럼 가늘다.
갈래조각에 벌레잡이주머니가 달려 있다. 잎의 길이는 3~6㎝이다.
꽃은 6~10월에 물 밖으로 나온 꽃줄기에 노란색으로 피며, 4~7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1.5~2.5㎝이다. 꽃줄기는 비늘잎이 있고 속이 차 있어서, 옆으로 자르면 구멍으로 보이지 않는다.
포와 꽃받침은 달걀형이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다.
윗입술은 곧게 선다. 아랫입술은 부채 모양이고 돌출된 부분에 적갈색 무늬가 있다.
꿀주머니(거 : 距)는 원뿔 모양이고 화관보다 짧다.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蒴果)이고 구형이며,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참통발은 통발과 비교할 때, 꽃줄기의 속이 차 있고 꿀주머니가 화관보다 짧은 점이 특징이다.
얼마 전까지 통발로 알려진 것은 참통발을 잘못 파악한 것이고, 통발은 강원도 고성군의 오래된 호수에만 분포한다.
※ 통발은 북부지방에서 자라는 것을 개통발(강원이북), 남부지방에 자라는 것은 들통발이라고 하는 듯해요.
통발은 거가 훨씬 길고 꽃줄기가 비어 있으며 생태환경이 깨끗한 곳에서 비교적 드물게 자란다(강원 고성).
들통발은 거(距)에 잔털이 있어 구분되고 되고 땅속줄기가 있어 뿌리를 내린다.열매를 맺는다.
개통발은 통발과 비슷하고 땅속줄기가 있어 진흙에 뿌리를 고착하고 옆으로 자란다. 열매는 없고 영양번식한다
참통발은 꽃잎 뒤에 달린 거(距)가 둥글고 짧다. 웅덩이나 고인 물 등 탁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아랫입술에 적갈색무늬가 있다.
들통발 https://cafe.daum.net/510211/4bCc/2374?svc=cafeapi
참통발 https://cafe.daum.net/510211/4bCc/5880?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453?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351?svc=cafeapi
참통발.
2024. 9. 4. 충남 서천군 국립생태원 '습지체험원' 연못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