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읍성 '진서루'
전북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고창읍성이라 부르는데 '모양성'이라 부르기도 해요.
거치른 자연석을 다듬에 쌓은 성벽이 잘 보존되어 있는 곳입니다.
정문인 북문을 공북루, 우측에 있는 서문을 진서루 라고 합니다.
좌측 방향에 있는 동문은 등양루 라 하는데 아직 담아 주지 못했네요.
분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
지정 : 사적 제145호 (1965년 04월 01일 지정)
위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
크기 : 둘레 1,684m, 면적 189,764㎡
특징 :
고창읍성(高敞邑城)은 1965년 4월 1일 사적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석성으로, 고창의 방장산(方丈山, 743m)을 둘러싸고 있다.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데, 백제시대 때 고창 지역이 '모량부리'라 불렸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1453년(조선 단종 원년)에 축조되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계유년(癸酉年)에 호남의 여러 고을 사람이 축성하였다고 성벽에 새겨져 있다.
둘레 1,684m, 높이 4~6m, 면적 16만 5,858㎡이며, 동·서·북의 3문과 치(雉) 6곳, 옹성(甕城), 수구문(水口門) 2곳 등이 남아 있다.
거칠게 다듬은 자연석으로 쌓은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고, 읍성으로서는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관아를 비롯해 22개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전란에 모두 소실되어버렸고
현재 북문 공북루, 서문 진서루, 동문 등양루와 이방과 아전들이 소관업무를 처리하던 작청, 동헌, 객사, 풍화루, 내아,
관청, 향청, 서청, 장청, 옥사 등 일부만 복원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성밟기놀이가 전해오는데,
여인들이 손바닥만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돈 다음 성 입구에 그 돌을 쌓아둔다.
이렇게 쌓인 돌은 유사시에 좋은 무기가 되기도 했다고 한다.
성내에는 1871년에 세운 대원군 척화비가 서 있고 읍성 앞에는 조선 후기 판소리의 대가인 신재효의 생가가 있다.
조선시대 고창현의 읍성으로서, 장성 입암산성과 함께 호남 내륙을 방어하는 전초 기지의 역할을 하였다.
고창읍성 '모양성' https://cafe.daum.net/510211/4bUc/77?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Uc/68?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Uc/60?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Uc/50?svc=cafeapi
고창읍성 '모양성' 가을 https://cafe.daum.net/510211/4bUc/51?svc=cafeapi
고창읍성 '모양성' 만추 https://cafe.daum.net/510211/4bUX/15?svc=cafeapi
고창읍성 '공북루' https://cafe.daum.net/510211/4bUN/143?svc=cafeapi
고창읍성 '진서루' https://cafe.daum.net/510211/4bUN/144?svc=cafeapi
고창읍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Uc/44?svc=cafeapi
고창읍성 '모양성' 답성 https://cafe.daum.net/510211/4bUc/43?svc=cafeapi
모양성의 야생화 https://cafe.daum.net/510211/4bCc/4915?svc=cafeapi
모양성의 좀딱취 https://cafe.daum.net/510211/4bCc/6913?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399?svc=cafeapi
고창 운곡 람사르습지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UX/14?svc=cafeapi
람사르습지 생태연못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UX/13?svc=cafeapi
고창읍성 '진서루'.
2024. 11. 13. 전북 고창군 고창읍 고창읍성 '모양성'에서.
'내가 머무는 보금자리(풍경,행사,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읍성 '공북루' (0) | 2024.12.16 |
---|---|
미륵사지 풍경 (1) | 2024.02.12 |
미륵사지 연못 반영 (1) | 2024.02.11 |
겨울의 두번째 눈 (0) | 2023.12.17 |
미륵사지 풍경 (1)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