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수생식물, 덩굴식물)

(27)
참통발 참통발통발은 개통발(북부지방), 들통발(남부지방)로 나뉘는 듯하고 . . .통발, 들통발, 개통발, 참통발 등이 있는 듯해요.구분법은 설명 아랫부분에 기록해 놓았습니다.꽃잎의 아랫입술 돌출부에 적갈색 무늬를 보로 참통발로 명찰을 달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통발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 중국, 일본 (학명 : Utricularia tenuicaulis)서식 : 연못이나 습지 (크기 : 높이 10~17㎝)참통발은 통발보다 낫다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로 수생식물이다. 높이는 10~17㎝이다.잎이 뭉쳐진 겨울눈(월동아)을 줄기 끝에 만들어 물 속에 가라앉은 채 겨울을 보낸다.잎은 어긋나기하고 깃꼴로 여러 차례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실처럼 가늘다.갈래조각에 벌레잡이주머니가 달려 있다...
조름나물 조름나물조름나물은 아직 꽃을 만나지 못하였어요.서천 국립생태원의 작은 연못가에 자라는 것과 전주수목원의 제2수생원에 자라는 것만 보았네요.올해는 4월부터 국립생태원에 찾아가 꽃이 피었나 확인해 보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국화목 용담과(조름나물과) 여러해살이 수초. 분포 : 한국, 일본, 북유럽의 한대 (학명 : Menyanthes trifoliata L.)서식 : 고원지대의 늪가, 도랑, 연못,늪의 물속, 습지 (크기 : 꽃줄기 길이 20~40cm )조름나물은 국화목 용담과 다년초 수초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5개 속 약 60 ~ 70여 종이 있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어나며 자란다. 직경 7~10mm이다.뿌리줄기(지하경)에서 잎자루가 길게 나오고 3갈래의 잎이 ..
부레옥잠 부레옥잠부레옥잠은 수성식물로 남부에서는 연못에 자생하기도 하지요.민가에서 작은 연못을 만들어 재배도 하고 물항아리에 담아 키우기도 해요.만경강 익산 파크골프장에는 작은 연못을 만들어 심어 주었더군요.노고단 탐방을 하고 하산 길에 식사를 하던 식당에서 만났네요. 분류 :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물옥잠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열대 · 아열대 아메리카 (학명 : Eichhornia crassipes)서식 : 연못 (잎자루 길이 10∼20 cm).부레옥잠은 연못에서 떠다니며 자란다.수염뿌리 처럼 생긴 밑의 잔뿌리들은 수분과 양분을 빨아들이고, 몸을 지탱하는 구실을 한다.잎은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 많이 돋으며, 나비와 길이가 각각 4~10 cm로 밝은 녹색에 털이 없고 윤기가 있다.잎자루는 공 모양으로 부풀어 있..
자라풀 자라풀자라풀은 연못에 자라는 수성식물이지요.번식력이 아주 강한 듯해요.연못에 심어 놓으면 금방 전체적으로 번식이 되는 합니다. 분류 : 외떡잎식물 소생식물목 자라풀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아열대 (학명 : Hydrocharis dubia)서식 : 연못 (크기 : 높이 약 1 m)자라풀은 수별(水鱉)·지매(地梅)·모근이라고도 한다. 연못에서 자라는 수중식물이다.줄기는 높이 1m 안팎이며 물의 깊이에 따라 길어진다.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턱잎이 자란다.턱잎의 겨드랑이에서 잎이 자라서 물 위에 뜬다.잎은 둥글고 심장의 밑부분과 모양이 같은 밑부분의 양쪽 가장자리가 겹쳐지며 밋밋하다.잎에 털이 없고 뒷면에 기포가 있으며 잎맥이 뚜렷하다.꽃은 1가화(단성화)이며 8∼9..
가시연꽃 가시연꽃가시연꽃, 큰가시연꽃 . . .큰가시연꽃은 빅토리아수련 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몇해 전에 작은 연못 안을 정비를 하더니 꽃이 아 피더군요.올해는 잎이 나와 자라기에 기대를 하였는데 꽃이 피기 시작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한해살이풀.분포 : 한국(경기·강원 이남)·일본·중국·인도·타이완 등지 (학명 : Euryale ferox Salisb)서식 : 못이나 늪 (크기 : 잎 지름 20∼200 cm)가시연꽃은 개연이라고도 하며, 못이나 늪에서 자란다.풀 전체에 가시가 있고 뿌리줄기에는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씨에서 싹터 나오는 잎은 작고 화살 모양이지만 큰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자라면 지름 20∼200 cm에 이른다.잎 표면은 주름이 지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짙은 자주색이다.잎..
마름 마름마름 열매는 삼각형으로 세 모서리에 가시 같은 융기가 있지요.마름 열매를 깨면 하얀 분말 같은 것이 나오는데 식용해요.물속의 진흙에서 열매가 있고 줄기가 위로 올라 오면서 물위에 꽃이 핍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도금양목 마름과의 한해살이풀.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 학명 : Trapa japonica FLEROV)서식 : 연못, 소택지 (크기 : 꽃 직경 1cm, 열매 길이 2~4cm 정도)마름은 연못이나 소택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진흙 속에 박고 줄기가 길게 자라서 물 위에 뜬다.잎은 뭉쳐난 것처럼 보이며 잎자루에 굵은 부분이 있는데 이는 공기 주머니로서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해준다.잎몸은 마름모꼴 비슷한 삼각형이며 잔 톱니가 있다. 물 속 원줄기의 마디에서 깃 같은 뿌리가..
물달개비 물달개비흙에 자라는 닭의장풀, 자주달개비, 멕시코달개비 . . .물속에 자라기에 물달개비 라고 부르는 듯해요.논가, 연못가, 냇가 등의 물가에 많이 자생하지요.지금 연못가에 가 보니 한창 피고 있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물옥잠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 (학명 :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서식 : 논이나 못의 물가 (크기 : 높이 약 20 cm 정도)물달개비는 논이나 못의 물가에서 자란다.줄기는 5∼6개씩 뭉쳐 나오고 짧으며 각 1개씩의 잎이 달린다.잎은 넓은 바소 모양 또는 세모진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3∼7cm, 폭이 1.5∼3cm이며밑이 둥글거나 약간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뿌리에서..
물질경이 물질경이9월에 피는 모습은 붉은빛이 강하던데 . . .햇빛에 반사되어서 그런지 상태가 고르지 않네요.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날씨지만 아침부터 찾아 갔더니 반겨 주네요.식물체는 물 속에서 자라고 꽃대만 올라와서 꽃이 피어요.물달개비도 피어 있더군요. 분류 : 외떡잎식물 소생식물목 자라풀과의 한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중국·인도·오스트레일리아 등지 (학명 : Ottelia alismoides)서식 : 논이나 도랑 등의 물 속 (크기 : 꽃줄기 길이 25∼50 cm)물질경이는 논이나 도랑 등의 물 속에서 자란다.뿌리는 수염뿌리이고 줄기가 없으며 꽃줄기의 길이가 25∼50cm이다.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얇으며 5∼9개의 맥이 있고 길이 10∼30cm,폭 2∼5cm의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심장형이..
큰물칭개나물 큰물칭개나물큰물칭개나물은 하천, 시냇가에 아주 많이 자생하지요.사람들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은 키도 크게 자라면서 우거진 모습이기도 해요.성남시 분당구 정자역 옆의 탑천에도 많이 보이더군요.게시글을 카페, 페북 등지에 여러 곳에 게시를 하는데 . . .너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어 게시글을 줄여야 할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두해살이풀.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 (학명 : Veronica anagallisaquatica L)서식 : 냇가의 습지 (크기 : 높이 40~80cm)큰물칭개나물은 높이는 40~80cm이다.줄기는 곧게 서며 대가 억세고 속이 비어있으며  털이 전혀 없다.잎이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넓으며 끝이 뾰족하다.잎자루가 없으며 원줄기를 감싸듯 달려 ..
남개연꽃 남개연꽃개연꽃은 암술머리가 노란색이고 잎이 물 위에 솓아 자란다.왜개연꽃은 암술머리가 노란색이고 잎이 수면에 퍼지며 자란다.남개연꽃은 암술머리가 적색이기에 개연꽃이나 왜개연꽃과 구분이 된다.또한 남개연꽃은 잎이 수중에서 자라는 수중엽이 달리기도 합니다.개연꽃..............1. 암술머리가 노란색 돌기이다.                                                          2. 잎이 물 위에 떠서 올라와 자란다.                           왜개연꽃...1. 암술머리가 붉은색 또는 갈색의 돌기이다.                                       2. 잎이 수면에 누워서 자란다. (잎이 물위에 뜨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