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화(외래 나무,덩굴)

(131)
망고 '애플망고' 망고 '애플망고'망고,인디카 망기페라'애플망고' (Mangifera indica) . 우리 진손주 대장들이 아주 좋아 하는 과실이네요.제주도 여행시에 '제주시 한림공원'에서 만났는데 이곳 대아수목원에도 있더군요.대아수목원 '열대식물원'에 지금 꽃이 피기 시작하고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상록활엽 교목.분포 : 인도,미얀마.필리핀,파키스탄. 아프리카.브자질,하와이 (학명 : Mangifera indica L.)서식 : 서식지 배배 (크기 : 높이 10∼30m)인디카망기페라(애플망고)는 옻나무과의 상록활엽 교목이다.원산지는 말레이지반도, 마얀마, 인도 북부 등 열대아시아 등지이다.영문명은 Mango(망고), 이명으로 인디카 맨지페라, 망고, 망고나무 등으로 부른다.나무 줄기는 곧게..
세르시디움 프레콕스 세르시디움 프레콕스명찰이 파킨소니아 프록스 (Parkinsonia praecox (Ruiz & pav.) Hawkins)와   세르시디움 프레콕스(Cercidium praecox : 리본 명찰)가 달려 있다.지금까지 체르치디움 프래콕스 (Parkinsonia aculeata)로 게시를 하였네요.앞으로는 속명인 세르시디움 프레콕스(Cercidium praecox)로 게시를 하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콩목) 콩과의 실거리나무아과 관목.분포 : 열대아메리카,미국,멕시코,카리브 연안,갈라파고스,유럽,호주 (학명 : Carcidium praecox 'Palo brea')서식 : 관상수, 온실재배  (크기 : 높이 2~10m 정도)세르시디움 프레콕스는 사막이나 건조한 아열대 지역에 자라는 콩과식물이다...
데쿠라이니아 밀레폴리아 데쿠라이니아 밀레폴리아24. 1월에 새로운 식물로 담아 와서 게시하여 소개했었지요.24. 4월에 찾아 가니 노란 꽃이 피어 반겨 주더군요.1월에는 꽃이 안 피었기에 식물체만 소개하였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양귀비(풍접초)목 십자화과의 한두해살이풀.분포 : 전세계 온대 지역 (학명 : Descurainia millefolia) 서식 : 관상용재배 (크기 : 높이 30~100cm 정도)  데쿠라이니아 밀레폴리아(D. millefolia)는 전세계 온대 지역에서 자란다.tansymustards 로 알려진 Brassicaceae 계통의 식물 속이다.속명은 프랑스의 식물학자이자 약초학자인 François Descurain (1658~1749)에서 유래한다.줄기는 곧게 서며 길게 자라며 가지를 치기도 한다. 높..
포리안섬자스민 '학자스민' 포리안섬자스민 '학자스민'학자스민은  종소명인 포리안섬자스민 으로 불리기도 하네요.학자스민이 유통명이라고 하는데 꽃잎이 5장이 달리고 있어요.비슷한 것으로 꽃잎이 8개인 차이니스자스민이 있는데 꽃잎 숫자로 구분이 될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덩굴식물 상록 관목.분포 : 중국,마얀마 원산지,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학명 : Jasminum polyanthum)서식 : 관상용 온실재배, 분 재배  (크기 : 길이 3~10 m정도)포리안섬자스민(학자스민)은 해발 1,400~3,000m의 계곡과 숲에서 자란다.종소명인 라틴어 polyanthum 은 '많은 꽃이 피는 자스민'이라는 의미이다.학명은  Jasminum officinale L.  Jasminum polyanthum Frach..
보라싸리 '하르덴베르기아 비올라케아' 보라싸리 '하르덴베르기아 비올라케아'도시의 화원 '예성식물원, 들꽃식물원' 등이 함께 도로가에 위치해요.겨울철에는 원예품종을 만나기 위하여 들려 보기도 하지요.들꽃식물원에 오랫만에 보는 보라싸리'하르덴베르기아 비올라케아'가 반기더군요.보라색, 흰색으로 피는 품종이 있어요.이름이 길어 국명 보다는 그냥 보라싸리, 흰꽃은 흰싸리 라고 불러야 할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 싸리 속의 상록 덩굴성 관목.분포 : 호주 원산지 (학명 : Hardenbergia violacea)서식 : 숲 산림재대,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1~ 2m 정도) '하르덴베르기아 비올라케아'(보라,흰싸리)는 호주 원산지의 숲 산림지대에 자라는 상록 덩굴식물이다.싸리나무를 닮아 ‘보리,흰싸리’란 이름이 얻은 듯하다...
아카시아 '프라비시마' 아카시아 '프라버시마'아카시아 종류가 500 여종이 분포되어 있다고 하네요.지금까지 국립생태원에서 만났던 아카시아는 잎이 가늘거나 깃꼴로 달린 모양이였지요.이번에 화원에서 만났던 것은 삼각형 모양의 특이한 잎이 달려 있네요.삼각형잎아카시아 라고 부르며 유통하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콩목) 콩과 아카시아 속의 상록관목.분포 : 호주 남동부 원산지,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학명 : Acacia pravissima F. Muell)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0.5~3 m )아카시아 '프라비시마'는 강유역, 숲의 경사지, 평원 등에서 자란다.콩과의 상록관목이다. 쐐기잎아카시아, 삼각잎아카시아(유통명) 이라 부르기도 한다.종소명 pravissima(프라비시마)는 '매우 비뚤어진..
피닉스야자 열매 피닉스야자 열매휘닉스야자, 피닉스야자 라고 부르는데 유통명이 피닉스야자 같아요.2016년 부터 반겨 주던 야자나무인데 . . .이번에는 작은 열매를 달고 있어요. 분류 : 외떡잎식물 종려목 종려나무과의 상록성 관목.분포 : 동남아 원산지, 중국, 베트남, 라오스 (학명 : Phoenix roebelenii)서식 : 관상수, 온실재배 (크기 : 높이 1.5~2m 정도)피닉스야자는 왜성대추야자라고도 한다.라오스가 원산지이나 중국,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에 걸쳐 서식한다.속명의 Phoenix는 과실에 붉은 자줏빛이 있어서 붙여진 것이다. 상록성 관목으로 생육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다.최대 1.5~2m까지 자라는데 드물게 3m가 넘기도 한다.줄기는 직립 혹은 파립의 형태로 자라며 짧다. 줄기의 지름은 10~20..
아스파라거스 '알버스' 아스파라거스 '알버스'아스파라거스 종류도 다양한 듯해요.채소로 재배하는 것도 있고 나무로 관상용으로 심는 것도 있네요.'아스파라거스 미리오틀라두스' 라고 나무로 자라는 종류도 있더군요.아스파라거스 '알버스'는 꽃이 작지만 아름답게 모여 피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비짜루목 아스파라거스과 비짜루속의 상록 관목.분포 : 남부 유럽 스페인, 북아프리카 원산지 (학명 : Asparagus albus L.)서식 : 온실 재배, 관상용 (크기 : 높이 1~2m 정도)아스파라거스 알버스 (Asparagus albus L.)는 비짜루 속의 식물로 상록관목이다.남부 유럽 스페인, 북아프리카 원산지 이다. 비짜루 속의 523 종 중의 한 품종이다.아스파라거스(Asparagus:아스파라거스 오미시날리스)는 식용 채소로 재배..
물아카시아 물아카시아9월 초순에 피는 모습이 아름답더군요.10월 중순이 지나서 그런지 꽃잎이 조금 시들어 있는 듯보여요.1.22일 상경하여 어제 내려 오려다 오늘 1.23일에 귀향했어요.마음 같아서는 손주들이랑 더 놀고 설명절을 보내고 싶어지만 귀향했네요.내일 또는 오늘 오후부터 설명절 연휴의 이동을 시작할텐데 오전에는 한가했어요.내일부터는 본격적인 설 명절이 길어 대 이동을 시작하실 듯합니다. 분류 : 쌍덕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자귀풀 속의 여러해살이풀 덩굴성 수생식물.분포 : 아프리카 원산지,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학명 : Aeschynomene fluitans Peter) 서식 : 관상용 수생재배  (크기 : 길이 50~80 cm )물아카시아 (A. fluitans)는 콩과로 연못에 자라는 덩..
여인초 여인초여인초는 한자어는 旅人蕉 (여인초)로 여행자를 의미하는 듯하다.줄기의 칼집에 빗물이 고이고 지나가는 여행자들이 비상식수로 사용. 그래서 얻은 이름인 듯해요.여인초는 크게 자라면 줄기에 여러 개의 잎줄기가 달려 부채모양으로 펼쳐지는 듯해요. 분류 : 외떡잎식물 생강목 파초과 부채파초속의 교목.분포 :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 원산지 (학명 : Ravenala madagascariensis S0nn.)서식 : 온실 재배, 관상용  (크기 : 높이 10~25m 정도)여인초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해발 1,500미터 산지에 자라는 식물이다.영문명은 Traveler's tree, Traveler’s Palm(여행자의 나무)이다. 한자어는 旅人蕉 (여인초)이다.이명은 여인수, 여인목, 나그네나무, 부채파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