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고사리 류)

(4)
콩짜개덩굴 콩짜개덩굴 제주도 여행시에 비자림에서 만나 본 것 같아요. 아주 작은 잎들이 주렁주렁 달려 있더군요. 포자낭군이 달린 포자엽도 보입니다. 분류 : 양치식물 고사리목 고란초과 콩짜개덩굴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중국 남쪽 (학명 : Lemmaphyllum microphyllum) 서식 : 해안지대, 섬의 바위또는 노목 겉 (크기 : 포자엽 길이 2∼4cm, 나비 3∼4mm) 콩짜개덩굴은 해안지대와 섬의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라는 난대성 양치식물이다. 줄기는 황갈색으로 가는 뿌리줄기가 둥글고 불규칙하게 가지가 갈라지며 옆으로 벋으면서 잎이 군데군데 돋는다. 잎은 영양잎과 포자잎 두 종류이다. 포자낭군이 달리는 포자엽과 달리지 않는 영양엽이 있다. 영양엽은 둥글거나 넓..
알록큰봉의꼬리 알록큰봉의꼬리 수목원 뿐만 아니라 화원 등에도 많이 유통되고 있는 듯해요. 화원에서도 판매를 하고 있더군요. 무늬봉의꼬리 라고 불리기도 하는 듯합니다. 분류 : 양치식물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 봉의꼬리 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제주), 일본, 타이완 (학명 : Pteris nipponica W. C. Shieh) 서식 : 섬지방의 동굴 함몰지, 관상용 화분재배 (높이 : 25~50cm 정도) 알록큰봉의꼬리는 봉의꼬리과 식물로 제주도 숲에서 자라는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영명은 Al-rok-keun-bong-ui-kko-ri1), 중국명은 日本凤尾蕨, 일본명은 Matsuzaka-shida이다. 뿌리줄기는 짧게 기며, 광택이 나는 비늘조각에 덮인다. 비늘조각은 선형으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밋..
십자고사리 십자고사리 대아수목원의 등산로, 임도 길가, 계곡 등에 많이 자생하는 고사리입니다. 십자형의 잎 모양 때문에 동정이 쉽지요. 여러 차례 담아 주었는데 게시된 것은 없기에 자료 겸 올려 보네요. 오늘은 고창 읍성(모양성)의 좀딱취, 선운사 단풍, 도솔천 반영을 담으러 다녀왔어요. 좀딱취는 모양성 숲을 전부 예초기 작업으로 겨우 3송이를 발견 담아왔네요. 선운사 단풍은 11월 2주 째 (11. 5~11.11) 쯤 되어야 보기 좋을 듯하더군요. 분류 : 양치식물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 북부·시베리아 동부 (학명 : Polystichum tripteron) 서식 : 습기 있는 숲속 (크기 : 잎자루 길이 10∼40cm) 십자고사리는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란다. 짧은 뿌리줄기에..
물개구리밥 물개구리밥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물개구리밥 . . . . 물 위에 붉은 카펫을 깔아 놓은 듯 온통 붉게 물들이는 물개구리밥 이네요. 둠벙에 몇해 전부터 발견하고서도 그냥 지나쳤었네요. 이번에는 관심을 두어 담아 왔었어요. 생이가래도 함께 보이네요. 분류 : 양치식물 고사리목 생이가래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차이나 (학명 : Azolla imbricata) 서식 : 논이나 연못의 물위 (크기 : 줄기 길이 1~1.5cm) 물개구리밥은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자란다. 줄기는 깃꼴로 갈라져서 전체가 삼각형을 이루고 길이가 1∼1.5cm이며 실같이 가는 뿌리가 돋고 뿌리털이 있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비늘 모양이며 2개로 갈라지고 잔 돌기가 있으며, 갈라진 조각은 가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