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인장,다육식물

(45)
화만초 압테니아 화만초 압테니아썬로즈, 압테니아 코르디폴리아 등으로 화원에서 만났던 것 같다.그리고 국립생태원에서 금년에 담아 주고 정리를 못한 듯해요.제주시 한림공원에 다녀 오면서 금능해변 길로 접어 들었더니 풍경이 보기 좋아 주차.해변으로 가는 중에 돌담가에 붉은 꽃이 보이기에 가서 보니 본 듯싶더군요.다육식물이라고 하지만 역시 제주도에서는 야생화 처럼 노지에서 자라고 있어요.화원에서 만났던 것은 잎테두리에 흰무늬가 있었는데 이번 것은 없어요. 잎테두리에 흰무늬가 있는 것은 Aptenia cordifolia 'Variegata' 라고 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석죽목 번행초(석류풀)과 압테니아 속의 여러해살이풀. 븐포 : 남아프리카 원산지 (학명 : Aptenia cordifolia (L. f.) Schwant.)..
해안부채선인장 해안부채선인장엽단선 '브라질부채선인장'과 똑같은 기둥과 잎 그리고 꽃인데 해안부채선인장 이라네요.같은 선인장 속인 듯싶어요.지금까지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나 제주도에 서식하는 선인장 종류가 몇 있는 것 같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석죽목 선인장과 선인장아과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븐포 : 제주 월령리 (학명 : Opuntia stricta  (Haw.) Haw.)서식 : 건조한 지역, 온실재배,  (크기 : 높이 20 m 정도 )해안부채선인장은 仙人掌屬(선인장 속), Opuntia. 석죽목 선인장과의 식물 분류이다.선인장아과(Opuntioideae)의 모식종이다.국내에서는 부채선인장과(엽단선), 손바닥선인장과로 부르기도 한다.영명은 Pricky Pear Cactus, 스페인어로는 Nopal이라고 불린다. 줄..
쥐꼬리선인장 쥐꼬리선인장허브동산에서 족욕체험을 하고 나오는 입구에 서 발견.이름도 모르면서 길게 철사 줄 모양으로 메달려 있는 것이 특이하여 찰칵 해왔어요.쥐꼬리선인장 이라고 하는데 비슷한 선인장이 몇 품종이 있더군요.공작선인장 처럼 활짝 피는 듯한데 아쉽게도 꽃이 피고 지는 모습으로 반겨 주고 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석죽)목 선인장과의 여러해살이풀.븐포 :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원산지 (학명 : Aporcactus flagelliformis) 서식 :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길이)  4m 정도 )쥐꼬리선인장은 열대지방에서 나무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Hylocereeae족에 속한 중앙아메리카 토착착생선인장의 속이다.phyllanthoides와 같은 종들의 줄기는 밑동에서는 원통형이지만 점점 납작해져..
청법사 '블러싱 뷰티' 청법사 '블러싱 뷰티' 다육식물 중의 한 종류이지요. 잎이 푸른 것은 청법사, 잎이 적녹색인 것은 흑법사 라고 합니다. 대아수목원 열대식물원에 큰 키의 청법사가 자라며 매년 꽃을 피고 있어요. 분류 : 쌍덕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다육식물 . 분포 : 카나리아제도, 동아프리카, 모로코 (학명 : Aeonium 'blushing Beauty’ ) 서식 : 분화용,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 0.3~ 1m 정도) 에오니움 '블러싱 뷰티'는 청법사 일종의 다육식물이다. (청색 잎만 가진 청법사와 조금 달라 청법사 '블러싱 뷰티' 라고 불러 줘야 겠어요) 줄기는 곧게 직립하며 최대 높이 0.3~ 1m 까지 자란다. 성장 속도가 느린 편이고 최대 5년 이상 자라야 개화가 된다. 잎은 로제트형으로 뭉쳐나고 광택이..
다육식물 '흑괴리' 다육식물 '흑괴리' 굵은 줄기에 먾은 엽흔이 나고 지면에 옆으로 뻗으며 자라고 있어요. 꽃이 노란색 같으면서 구별이 잘 안되더군요. 줄기가 구부러지며 아주 빠르게 성장하는 다육식물로 교배종 이라고 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범의귀목 돌나물과 Graptoveria 속 다육식물. 분포 : 멕시코 원산지 (학명 : Graptoveria Fred Ives) 서식 :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 30~ 61 cm 정도) 흑괴리(Graptoveria Fred Ives)는 멕시코 원산지인 다육식물이다. 대표적인 다육식물인 에케베리아와 그랍토페탈룸의 교배종으로 알려져 있다. 유통명은 흑괴리 이다. 에케베리아와 서로 유사 하여 구별이 어려워 혼동하기 쉽다. Graptoveria 'Fred Ives'의 잎이 조금 더 두..
칼랑코에 '칠변초' 칼랑코에 '칠변초' 꽃이 천손초, 만손초, 불사조금 등과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울 듯해요. 하지만 잎모양이 조금 다르기에 구분하기는 될 듯합니다. 국립생태원의 이름표 대로 검색을 하면 자료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요. 여기저기 들여다 보았더니 '칠변초'가 많이 나오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상록활엽다육식물. 분포 : 마다가스카르, 미국 남부, 켈리포니아 원산지 (학명 : Kalanchoe fedtschenkoi) 서식 : 정원, 온실, 실내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 25~30cm ) 칠변초 (七變草. Kalanchoe fedtschenkoi, 칼랑코에 펫첸코이), 호접무금, 변경초. . . 칼랑코에 '호접금무'는 이전에 Bryophyllum fedtschenkoi 로 알려졌었다...
취설송 취설송 취솔송( 吹雪松 ), Anacampseros rufescens (아나캄페로스 루페스켄). 열대성 다육식물로 흰색, 분홍색, 옅은 보라색 등의 꽃이 피는 다육식물입니다. 잎에 흰 수염모양의 입액이 달리는 특이한 모습이 보기 좋아요. 꽃은 3년 정도 성장한 후에 개화 환경을 맞추어 줘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 화환초(아나캄페로스) 속의 열대성 다육식물. 분포 : 남아프리카, 에티오피아, 라틴아메리카 (학명 : Anacampseros rufescens ) 서식 : 온실, 실내 분재배 (크기 : 높이 5~10cm, 최대 60 cm 정도) 취설송(吹雪松)은 열대성 식물로 아나캄페로스 속의 다육식물이다. 학명은 Anacampseros rufescens (아나캄페로스 루페스켄), ..
가재발선인장 가제발선인장 게발선인장은 봄철인 4~5월 경에 많이 피고 가재발선인장은 겨울철인 11~1월에 많이 피는 듯 합니다. 게발선인장은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둔한 편인데 가재발선인장은 잎 가장자리 톱니가 날카롭게 생겨 구분 되고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의 다년생 선착생식물. 분포 : 브라질 원산지, 열대 아열대 지방 (학명 : Schlumbergera truncata) 서식 : 관상용 분재배 (크기 : 높이 약 30cm, 너비 15~20cm) 가재발선인장은 브라질의 리우데자레이루가 원산지인 다년생 식물이다. 줄기의 모양이 게의 발과 닮았다고 하여 가재발(게발)선인장이라고 부른다. 대부분 게발선인장과 모양이 닮은 것을 통틀어 게발선인장이라고도 한다. 높이 약 15~30cm 이며 너비는 15~..
다육식물 '다솔' 다육식물 '다솔' 다육식물 '다솔'은 다육식물 '유접곡'과 비슷하다. 꽃과 잎이 비슷한데 줄기의 색이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이네요. 유접곡은 '에오니움 아놀디' (Aeonium Arnoldii) 속의 다육식물로 유통명이고, 다솔은 '아이크리손 토루투오숨' (Aichryson tortuosum) 속의 다육식물로 유통명이 '다솔' 입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Aichryson속의 다육식물 소형종. 분포 : 카나리아 제도 원산지 (학명 : Aichryson tortuosum var. bethencourtianum)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15~45cm 정도) 다육식물 '다솔'은 아이크리슨'Aichryson' 속에 속하는 소형종 다육식물이다. 아이크리슨(Aichryson) 속..
칼랑코에 '가스토니스 본니에리' 칼랑코에 '가스토니스 본니에리' 칼랑코에의 종류가 125종에 이르는 다양한 식물이지요. 품종별 자료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요. 학명이 나오면 조금은 간단한 정보를 기록할 수가 있기는 합니다. 자료에 대한 설명은 편집한 내용으로 참조하세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 칼랑코에 속의 다육식물. 분포 :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학명 : Kalanchoe gastonis-bonnieri ) 서식 : 바위가 많은 곳, 관상용 온실 재배 (높이 : 높이 10~35cm 정도 ) 칼랑코에 '가스토니스 본니에리'는 마다가스카르 북서부의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자란다. 학명은 Kalanchoe gastonis-bonnieri millefolia Raym.- Hamet & H. Perrier. 영명은 palm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