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목화(야생 나무,목본,덩굴식물)

(469)
애기태산목 애기태산목애기태산목은 버지니아목련 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꽃이 흰색으로 작게 피고 잎도 태산목 보다 훨씬 작게 달려요.전에는 늘어진 가지가 지면에서 가까워 촬영하기 좋았는데,지금은 가지치기를 하여 높이 크게 자란 나무라 촬영이 어렵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목련목 목련과의 활엽상록 교목.분포 : 북미 동남부 원산지, 한국 (학명 : Magnolia virginiana var. australis 'Mattie Mac Smith' )서식 : 남부지역 식재 (크기 : 높이 10~20m 정도 )아우스트랄리스 버지니아목련은 북미 남동부 원산지의 활엽상록 목련이다.국명은 아우스트랄리스 '매티 매 스미스'이다. 영명은 Mattie Mac Smith Sweetbay Magnolia,swamp magnolia, Mag..
털설구화 '핑크 뷰티' 털설구화 '핑크 뷰티'원래 원예 수종이지만 노지월동하며 자라기에 수목으로 분류하였네요.경기 용인시 한택식물원에서 8년 전에 처음 만났었는데 이곳에 식재하였어요.전주수목원 평화쉼터 입구 우측 화단에 작은 나무로 심어 놓았더군요. 분류 : 쌍덕잎식물 꼭두서니목 산분꽃나무 속 인동과의 낙엽활엽 관목.분포 : 중국, 일본 원산지 (학명 : Vibumum plicatum f, tomentosum 'Pink Beauty' )서식 :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 3m 정도)털설구화'핑크부티'는 중국원산지이며 일본에도 자생한다.줄기는 곧게 서고 수고 높이 3 m 정도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형이며 잎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뒷면은 녹백색이고 측맥이 10~17쌍이 있..
양다래나무 양다래나무양다래나무는 참다래, 키위 라고 부르기도 하지요.다래나무 꽃과 달리 꽃색이 금방 시든 것 처럼 흰색, 크림색으로 피더군요.고창군 선운사 생태체험원 습지 부근에도 덩굴 터널을 조성해서 심어 주었어요.꽃이 피었기에 흰골무꽃, 광릉골무꽃을 만나러 갔던 참에 데려다 놓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물레나무목 다래나무과의 상록성 덩굴나무.분포 : 중국, 이탈리아,프랑스,그리스,뉴질랜드,칠레,터키,한국(학명 : Kiwi fruit, Actinidia deliciosa or chinensis Planch )서식 : 과수로 재배, 노지월동 (크기 : 잎 지름 17~25cm, 과실 크기 4~ 10mm)참다래(Kiwi fruit, Actinidia deliciosa or chinensis Planch)는 동남아 ..
참조팝나무 참조팝나무참조팝나무를 촬영하면서 옆에 보니 좀조팝나무 라는 명찰이 보인다.꽃을 보니 참조팝나무와 비슷하고 혼동하기 딱 이네요.네이버 검색을 해 보니 좀조팝나무도 있는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분포 : 한국(중부 이북) · 중국 · 일본 · 러시아 (학명 : Spiraea fritschiana C. K. Schneid.)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1~2 m 정도)참조팝나무는 산지의 술 가장자리, 산 속 바위지대나 경사가 심한 지대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다.줄기는 높이 1~2 m 정도이고, 가지는 모서리각이 있으며 털이 없고 자갈색이다.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아들며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거친 톱니가 있다.꽃은 5∼6월에 흰색 ..
다래나무 다래나무다래덩굴은 꽃밥이 검은색, 개다래덩굴은 꽃밥이 노란색이라 구분이 되지요.잎에 하얗게 산반현상이 일어난 것을 보면 멀리서도 개다래덩굴로 알아 볼 수있어요.오늘은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에 오랫만에 갔더니 여러 꽃이 반겨 주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다래나무과의 낙엽 덩굴나무.분포 : 한국·일본·중국 만주·우수리강 유역·사할린 등지 (학명 : Actinidia arguta)서식 : 깊은 산 숲속 (크기 : 길이 7m, 잎 길이 6∼12cm, 폭 3.5∼7cm)다래나무는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란다. 덩굴 식물로 길이가 7m에 달한다.줄기의 골속은 갈색이며 계단 모양이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으며 피목(皮目)이 뚜렷하다.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6∼12cm, 폭이 3.5∼7cm이며 넓은 달걀 모..
노박덩굴 숫꽃 노박덩굴 숫꽃큰방울새란은 꽃이 피었고 닭의난초는새싹이 자라는 중 이였어요.마파지길을 돌아 전망대까지 올라 가서 인중 샷을 하고 내려 오면서 만났네요.노박덩굴은 단선화(암수딴그루)로 꽃이 피기에 암꽃나무도 있나 찾았지만 실패.숫꽃나무만 두 곳에서 꽃이 피어 반겨 주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활엽 덩굴나무.분포 : 한국·중국·일본·쿠릴열도 등지 (학명 : Celastrus orbiculatus)서식 : 산과 들의 숲 (크기 : 길이 약 10m)노박덩굴은 노박따위나무·노방패너울·노랑꽃나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숲속에서 자란다.줄기의 길이 약 10m이다. 가지는 갈색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다.잎은 타원형이거나 둥근 모양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고 톱니가 있다.턱잎은 갈고리..
아까시나무 아카시나무아까시나무, 아까시아 . . .호주 원산지 아카시아와 이름을 부르는데 혼동할 듯해요.어릴 적에 자주 불렀던 동요. . . .아까시아 꽃잎이 바람에 날리니~~~ 고향에도 지금쯤 뻐꾹새 울겠네~~~올해는 아까시나무 꽃을 못 담아 주나 싶었더니 비응도에 가니 한창이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분포 : 북아메리카 원산지 (학명 : Robinia pseudoacacia)서식 : 산과 들 (크기 : 높이 약 25m)아까시나무는 아카시나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25m이다.나무껍질은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잎은 어긋나고 홀수1회 깃꼴겹잎이다.작은잎은 9∼19개이며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길이 2.5∼4.5cm이다.양면에 털이 ..
검노린재나무 검노린재노린재나무와 검노린재나무의 구분이 어려워요.열매가 달리는 시기에는 노린재나무는 푸른 남색이고 검노린재는 검정색이지요.열매가 검정색이라 검노린재라고 부르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노린재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분포 : 한국(전남, 전북, 경남), 일본 (학명 : Symplocos paniculata)서식 : 산지의 약간 습한 곳 (크기 : )검노린재는 낙엽활엽 관목으로산지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란다.어린가지에 잔털이 있고 2년생 가지에는 숨구멍이 뚜렷하며 회갈색이다.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양 끝이 뾰족하며 잎맥에 털이 있다.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톱니가 뾰족하고 잎자루에도 털이 있다.꽃은 5~6월에 흰색으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圓錐花序]로 달려 핀다.꽃받침잎은 달..
예덕나무 새싹 예덕나무 새싹예덕나무가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많이 자라는 듯해요.중부 지방에는 예덕나무가 보이질 않더군요.이곳 군산시 비응도 마파지길을 걸어 가면 좌우에 예덕나무가 많아요.6.28일에 닭의난초를 만나러 갔더니 예덕나무 암꽃, 수꽃이 한창이더군요.예덕나무는 암수딴그루에 꽃이 피기에 꽃이 피면 주변에서 함께 담아야 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낙엽 소교목.분포 : 한국·일본·중국 (학명 : Mallotus japonicus)서식 : 바닷가 (크기 : 높이 10 m. 등산로 가장자리에 많이 자생)예덕나무는 주로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 10 m에 이른다.줄기는 어릴 때는 비늘털로 덮여서 붉은빛이 돌다가 회백색으로 변하고 가지가 굵다.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표면에는 대개..
흰협죽도 흰협죽도대전현충원에 들려 국립세종수목원에 가기 위하여 이동 중에 점심.식사를 하고 나오는데 식당 앞에 흰꽃 협죽도가 반겨 주더군요.오늘(25.6.28)은 장맛비가 온다고 하여 망설이다가 군산시 비응도에 다녀왔어요.편도 1시간 정도 걸리는데 날씨가 어떻게 무더운지 혼쭐 났었네요.다행히 닭의난초를 만났지만 좀개자리, 개자리, 큰방울새란 등은 만나지 못했네요.큰방울새란은 열매가 달려 있더군요. 개자리,좀개자리는 공사를 하는 중에 전부 파헤쳐져 있어요.비응도 마파지길 관광명소를 위한 공사라고 하지만 덕분에 여러 야생화들이 안 보이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협죽도과의 상록관목.분포 : 한국(제주, 남부),중국, 일본 대만,콜롬비아, 온두라스, 인도, 멕시코 (학명 : Nerium oleander L)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