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수생식물, 덩굴식물)

조름나물

조름나물

조름나물은 아직 을 만나지 못하였어요.
서천 국립생태원의 작은 연못가에 자라는 것과 전주수목원의 제2수생원에 자라는 것만 보았네요.
올해는 4월부터 국립생태원에 찾아가 꽃이 피었나 확인해 보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국화목 용담과(조름나물과) 여러해살이 수초. 
분포 : 한국, 일본, 북유럽의 한대 (학명 : Menyanthes trifoliata L.)
서식 : 고원지대의 늪가, 도랑, 연못,늪의 물속, 습지 (크기 : 꽃줄기 길이 20~40cm )

조름나물은 국화목 용담과 다년초 수초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5개 속 약 60 ~ 70여 종이 있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어나며 자란다. 직경 7~10mm이다.
뿌리줄기(지하경)에서 잎자루가 길게 나오고 3갈래의 잎이 5~6개씩 나온다.
잎자루의 밑부분은 엽초상(葉鞘狀)이 되어 줄기를 싸고 있다. 
은 마주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장타원형, 난상(卵狀)의 타원형, 능상(菱狀)의 타원형이다. 길이 4~8cm, 너비 2~5cm이다.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모양이다.

은 4~8월에  흰색으로 여름에 뿌리 잎 사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苞)는 난상원형(卵狀圓形)이며 길이 3~8mm이고 화경(花梗)은 길이 1~2.5cm이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5갈래로 길게 갈라진고 갈래조각은 장타원형의 피침형이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중간까지 5개로 갈라지며 안쪽에는 흰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5개이며 화관통 안에 붙고 암술이 1개 있으며 포기에 따라 암 수술의 길이가 차이가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암술대가 긴 꽃에서만 맺으며 직경 5~7mm이다.
종자는 둥글며 직경 2.5~3mm이다.
잎에는 메틸아민(C15H22O9), 메니아산 등 알칼로이드와 타닌 및 지방 성분 등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소화불량증, 위장카타르, 식욕부진 등에  약용으로 쓴다.
높은 고원지대의 늪가, 도랑, 연못,늪의 물속, 습지 등에서 자란다.  
북방계 식물로서 우리나라에는 몇몇 곳의 자생지만이 있다.
한국(자강도 욜림군 등의 북부,경북 봉화 습지,태백 산간 오지), 일본, 북유럽의 한대에 분포한다.

조름나물(불티 님)  https://cafe.naver.com/tktlffl/11857

조름나물.
2024. 10. 23.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제2수생원'에서.

'야생화(수생식물, 덩굴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통발  (1) 2025.02.03
부레옥잠  (1) 2024.10.23
자라풀  (0) 2024.09.21
가시연꽃  (0) 2024.09.20
마름  (0)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