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현호색
현호색 종류도 여럿이 있기에 자꾸 혼동되지요.
애기현호색, 빗살현호색, 조선현호색, 남도현호색 . . .
애기현호색은 잎이 작고 가늘게 많이 가라진 모습이기에 쉽게 구분이 되어요.
모악산 구이계곡에 현호색 군락이 무성하게 이뤄져 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중부 이북)·만주·우수리강 (학명 : Corydalis fumariaefolia)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약 25cm)
애기현호색은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25cm이다.
줄기는 1개이고 길이 10∼20cm, 지름 약 1.5cm의 덩이줄기가 달린다.
아랫부분의 잎은 비늘조각 모양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1∼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겹잎이다.
작은잎은 깃꼴로 잘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줄 모양이다.
꽃은 3~4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서 끝이 갈라진다.
작은꽃자루는 가늘고 길며 꽃의 통부분 한쪽에 꿀주머니가 있다. 수술은 6개로서 2체로 갈라진다.
열매는 긴 타원 모양 삭과로서 길이 약 2cm이다. 종자는 공 모양에 검은빛이 나고 윤이 난다.
덩이줄기에 진통작용과 항궤양 효과가 있어서 위경련 등에 약재로 쓴다.
한국(중부 이북)·만주·우수리강에 분포한다.
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6258?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099?svc=cafeapi
가는잎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6256?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545?svc=cafeapi
남도현호색(완주) https://cafe.daum.net/510211/4bCc/7299?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700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591?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249?svc=cafeapi
남도현호색(임실) https://cafe.daum.net/510211/4bCc/5594?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593?svc=cafeapi
댓잎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3929?svc=cafeapi
들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5160?svc=cafeapi
빗살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701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25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4221?svc=cafeapi
쇠뿔현호색(완주) https://cafe.daum.net/510211/4bCc/659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248?svc=cafeapi
애기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5544?svc=cafeapi
http://cafe.daum.net/510211/4bCc/3871?svc=cafeapi
왜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4208?svc=cafeapi
점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2761?svc=cafeapi
조선현호색 https://cafe.daum.net/510211/4bCc/7029?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949?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149?svc=cafeapi
현호색 종합 https://cafe.daum.net/510211/4bCc/4574?svc=cafeapi
애기현호색.
2024. 4. 1. 전북 완주군 전북도립공원 모악산 구이계곡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