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새
몸체가 작으면서 짙은 갈색에 조금은 어두운 색이라 발견하기 어려워요.
계곡의 바위 틈새 등에서 날쌔게 날아 다니기에 촬영도 어렵더군요.
옛날에는 시골에서 가끔씩 만났었는데 도심은 산지에 가야 만날 수가 있네요.
멀리서 몇 컷을 찰칵 찰칵 하였더니 다행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찍혔어요.
분류 : 참새목 굴뚝새과의 텃새. 굴뚝새.
분포 : 한국,유럽~아시아 지역 (학명 : Troglodytes troglodyes)
서식 : 아고산대, 낮은 산지 숲 (크기 : 몸길이 10cm, 날개길이 4.7~5.5cm )
생활 : 번식 형태는 일부다처제.
특징 :
몸길이 약 10cm, 날개길이 약 4.7∼5.5cm 가량의 작은 새이다.
온몸이 짙은 갈색을 띠며 가느다란 검은색 가로무늬가 있다.
몸통 아랫면은 빛깔이 조금 연하다.
부리가 짧고 뾰족하며 꼬리도 짧다. 짧은 꽁지를 세울 때도 있다.
울음소리는 굴곡이 심하게 몸을 뒤로 젖히며 지저귀며 작은 몸집과는 달리 매우 크다.
수십 초 동안 복잡한 소리를 낸다. 120여 개의 다양한 소리를 내는 새로 알려져 있다.
울음소리를 전형적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수컷은 텃세권 안에 여러 개의 둥지를 만들고 여러 마리의 암컷과 짝을 짓는다.
번식기는 5∼8월이며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번식 형태는 일부다처제이다
둥지는 숲의 바위틈이나 농가 헛간 등지에 이끼와 가느다란 풀뿌리로 둥지를 튼다.
알자리에는 깃털 등을 깔고 4∼5개의 흰색 알을 낳는다.
서식은 여름에는 아고산대 산지에 살다가 겨울에는 낮은 산지나 평지로 내려와 산다.
대개 우거진 숲속이나 덤불 속에 숨어 살기 때문에 모습을 관찰하기는 쉽지 않다.
먹이는 관목의 숲 사이, 계류의 바위 위, 벼랑, 인가의 처마 밑에서 찾으며 곤충류를 주식으로 하고 거미류도 먹는다.
한국 전역에 서식하고 중앙아시아, 유럽, 만주 및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등에 서식한다.
노랑턱멧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13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5S6R/90?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5S6R/21?svc=cafeapi
노랑턱멧새 수컷 https://cafe.daum.net/510211/5S6R/60?svc=cafeapi
동고비 https://cafe.daum.net/510211/5S6R/214?svc=cafeapi
동박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203?svc=cafeapi
되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183?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5S6R/136?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5S6R/129?svc=cafeapi
되새(수컷) https://cafe.daum.net/510211/5S6R/72?svc=cafeapi
멋쟁이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18?svc=cafeapi
밀화부리 https://cafe.daum.net/510211/5S6R/18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5S6R/165?svc=cafeapi
밀화부리 가족 https://cafe.daum.net/510211/5S6R/211?svc=cafeapi
방울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71?svc=cafeapi
미국황금방울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74?svc=cafeapi
때까치 https://cafe.daum.net/510211/5S6R/212?svc=cafeapi
쑥새 https://cafe.daum.net/510211/5S6R/213?svc=cafeapi
후투티 https://cafe.daum.net/510211/5S6R/204?svc=cafeapi
굴뚝새.
2025. 4. 1. 전북 완주군 전북도립공원 모악산 구이 계곡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