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목화(야생 나무,목본,덩굴식물)

만첩삼색도화

만첩삼색도화

삼색도화(三色桃花)는 꽃잎이 홑꽃이고 만첩삼색도화 겹꽃을 말하지요.
올해도 막 피기 시작하는 모습을 담아 주었는데 너무 높이 피어 있었어요.
우선 작년(2024. 4월)에 담아 두고 게시를 못한 자료를 먼저 올립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소교목.
분포 : 중국 원산지,한국,중국 (학명 : Prunus persica 'Versicolour')
서식 : 정원용, 조경용 식재 (크기 : 높이 3 ~8m 정도 )

삼색도화(三色桃)는 한나무에서 삼색 꽃이 피는 꽃복숭아 일종이다.
같은 나무 한 가지에 붉은색, 흰색, 분홍색,복합색의 꽃이 동시에 핀다.
Versicolour는 라틴어로 ‘다양한 색깔’ 또는 ‘변색하는’을 의미이다.

만첩삼색도화는 복사나무'버시컬러(Versicolour) 라고 부르는 원예 수종인 듯하다.
삼색도화(三色桃花: 홑꽃)는 개량종이 아닌 아주 예전부터 있었던 자연 품종이다.
이명(외래명)으로 꽃복사나무, 살금벽도, 삼색도, 삼색도화, 오색도화, Flowering Peach, 三色桃, 撒金碧桃 등으로 불린다.

나무는 줄기가 곧게 서거나 수양버들처럼 늘어지기도 한다. 높이 3 ~8m 정도이다.
줄기나 가지에 수지(樹脂)가 들어 있어, 상처가 나면 분비된다.
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선 바소꼴로 넓다
잎길이 8∼15cm이며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는 꿀샘이 있다.

 4~5월에 잎보다 먼저 분홍색, 백색, 적색, 복합색(혼합색)으로 핀다.
꽃잎은 홑꽃은 5장이고 겹꽃은 많은 꽃잎이 달린다.
홑꽃은 삼색도화라 하고, 겹꽃은 만첩삼색도화라 부르며 겹꽃은 3주 가까이 오래 피기도 한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7∼8월에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씨앗은 약재로 사용한다
번식은 주로 접목 번식(복사나무 대목에 접목하여 품종 특성 유지) 한다.
삽목 번식도 가능하나 성공률이 낮고 종자번식은 원래 특성이 변할 수가 있다.
꽃말은 '매력, 용서, 유혹, 희망' 이다. 

삼색도화는 중국이 원산지인 '삼색도(三色桃)'란 복숭아나무 품종이다.
한국, 일본, 동아시아 온대 기후 지역에서 소규모 재배되며, 일부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도 관상용으로 심는다.
우리나라는 조경용, 정원용, 관상용으로 심는다.

원예품종으로 개량종은 다음과 같다.
프루누스 페르시카   '베르시컬러' : 삼색의 겹꽃이 피는 원예품종.
프루누스 페르시카   '알보플레나' : 백색의 겹꽃이 핀다.
프루누스 페르시카   '클라라 마이어' : 연분홍의 겹꽃이핀다.
프루누스 페르시카   '마그니피카' : 적색의 겹꽃이 핀다.

능수백도화'수양'  https://cafe.daum.net/510211/4bSN/3439?svc=cafeapi
능수만첩오색도화 https://cafe.daum.net/510211/4bSN/2882?svc=cafeapi
복숭아나무'복사꽃' https://cafe.daum.net/510211/4bSN/3475?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SN/2881?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SN/2364?svc=cafeapi
바래복숭 https://cafe.daum.net/510211/4bSN/2878?svc=cafeapi
남경도'꽃복숭아' https://cafe.daum.net/510211/4bSN/2022?svc=cafeapi
만첩백도화 https://cafe.daum.net/510211/4bSN/2664?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SN/1155?svc=cafeapi
만첩홍도'겹홍도' https://cafe.daum.net/510211/4bSN/3074?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SN/2374?svc=cafeapi
삼색도'복합색' https://cafe.daum.net/510211/4bSN/1591?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SN/1156?svc=cafeap

만첩삼색도화.
2024. 4. 12.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호 쉼터 주변에서.

'수목화(야생 나무,목본,덩굴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화말발도리  (0) 2025.05.01
흰겹벚나무  (0) 2025.04.29
만첩홍도 '겹홍도'  (0) 2025.04.26
목련 '섐페인'  (1) 2025.04.24
겹벚나무  (0)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