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골무꽃
흰색으로 피는 떡잎골무꽃이 처음에는 흰골무꽃 인 줄로 알았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선운산에서 만났던 것이 흰골무꽃이더군요.
작년에는 상경 후에 내려와서 6월에 탐방을 하였더니 늦어 버렸었네요.
올해는 조금 일찍 찾아 간다고 하였지만 한창 피고 있던 모습이더군요.
어제는 대전현충원 참배와 국립세종수목원 견학을 아침부터 출발.
대전현충원 참배하고 나오니 14:00시 되어 중식을하고 세종수목원으로 출발.
15:40분경에 국립세종수목원에 도착하였는데 16:00시에 출발이라네요.
1시간 동안 땀을 비오듯 흘리면서 돌아 다녔더니 맨 마지막에 버스에 도착.
새로운 꽃들을 많이 담았지만 어떻게 촬영을 하였는지 모르게 급히 담았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경기, 강원 금강산 이남),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차이나 (학명 : Scutellaria indica f. albiflora Y.N.Lee)
서식 : 숲 가장자리 그늘진 곳 (크기 : 높이 20~30cm)
흰골무꽃은 숲 가장자리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골무꽃과 닮았다. 높이는 20~30cm이다.
줄기는 모나며 곧게 서고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심장 모양 또는 원형으로 잎자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길이와 나비 모두 1∼2.5cm 정도이며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이삭모양의 총상꽃차례로 꼭대기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2줄로 빽빽이 달린다.
화관은 긴 통 모양이고, 밑부분은 구부러진다.
끝이 입술 모양이고, 윗입술꽃잎은 투구 모양이며, 아랫입술 꽃잎은 넓고 자주색 점이 있다.
수술은 2강 웅예(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이다. 포에는 자루가 있고 둥글다.
열매는 분과로 길이 1mm 정도이고, 꽃받침에 싸여 있고 7월에 익는다. 어린싹은 식용한다.
한국(경기도, 강원도 금강산 이남, 전북 고창 선운산),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4170?svc=cafeapi
흰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667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196?svc=cafeapi
광릉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6673?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346?svc=cafeapi
떡잎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6666?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952?svc=cafeapi
흰떡잎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6667?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188?svc=cafeapi
구슬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7096?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205?svc=cafeapi
그늘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6017?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4417?svc=cafeapi
산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7340?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709?svc=cafeapi
참골무꽃 https://cafe.daum.net/510211/4bCc/6736?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418?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799?svc=cafeapi
흰골무꽃.
2025. 5. 20.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