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화(초본, 외래식물)

밥티시아 '흰갯활량나물'

밥티시아 '흰갯활량나물'

밥티시아 아우스트랄리스 (Baptisia Australis) 로 콩과 식물.
갯활량나물은 유통명인 듯해요.
흰색의 꽃이 피어 있기에 담아왔었네요.

오늘은 군산시 비응도에 다녀왔어요.
큰방울새란, 닭의난초돌가시나무, 애기달맞이꽃, 갯메꽃 . . .
모래지치, 갯국, 인동초, 갯까치수염, 갯기름나물, 사스레피나무, 예덕나무 등이 많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러시아, 북미 (학명 : Baptisia australis)
서식 : 바닷가의 모래땅, 관상용 (크기 : 높이 1~1.5m 정도)

밥티시아 아우스트랄리스 (Baptisia Australis)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영명은 Blue Wild Indigo 이다. 원예종으로 유통명은 밥티샤, 갯활량나물이라 부르기도한다. 높이는 1~1.5m 정도이다.
뿌리는 깊게 뻗어 자라며 가지를 치기 때문에 가뭄에 강하고 나무 같은 검은색의 사마귀 모양의 작은 혹들이 나있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줄기에 상처가 나면 즙이 나오는데 공기에 닿으면 짙은 청색으로 변한다.
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3출엽이다.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둥글다.
잎겨드랑이에 마주나는 턱잎과 잎자루가 달린다. 잎뒷면의 중앙 잎맥이 뚜렷이 돌출되어 보인다.

은 5~8월에 노랑, 파랑, 짙은 자주, 흰색 등으로 다양한 색으로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길이는 2.5cm정도이며 줄기 끝의 긴 꽃대에 콩과 비슷한 꽃이 무리지어 달려핀다.

열매는 협과로 꼬투리는 짧은 대가 있고 편평한 선형이며 깍지 안에 12~15개의 검은색 종자가 들어 있다.
남색(쪽빛,indigo) 염료를 추출하는데 사용했으나 요즘은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석회질이 없는 사질토에서 잘 자란다. 햇 볕을 좋아 하지만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
계곡을 따라 숲이 가장자리에서 야생적으로 자라는 것을 볼 수가 있으며 건조한 곳에서도 잘 견디어 생명력 강하다
북아메리카 중부 및 동부지역이 원산지이며 약 2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본종은 잎이 3소엽으로 갈라진다.
한국은 함남 원산 함북 성진, 경성 서수라에 분포하고 일본, 러시아, 북미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밥티시아'갯활량나물' https://cafe.daum.net/510211/4bCc/6695?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5917?svc=cafeapi
밥티시아'갯활량나물' 열매 https://cafe.daum.net/510211/4bCc/5918?svc=cafeapi

밥티시아 '흰갯활량나물'.
2024. 5. 6.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여미지식물원' 에서.

'원예화(초본, 외래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금영화  (0) 2024.06.12
네오마리카 그라실리  (1) 2024.06.12
죽엽석곡  (1) 2024.06.07
향설초  (0) 2024.06.06
에키움 불가레  (0) 202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