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붉은토끼풀

붉은토끼풀

붉은토끼풀은 외래종이였는데 지금은 귀화식물로 야생화가 되었어요.
하천변, 논가의 둑, 물기 있는 습지대에 많이 자생하더군요.
봄철 5월부터 계속 피고 있는데 11월에도 피어 반겨 주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유럽 원산지, 전 세계 (학명 :  Trifolium pratense L)
서식 : 들 (크기 : 높이 30∼60cm)

붉은토끼풀은 홍차축조(紅車軸草)·붉은토끼풀꽃·홍삼엽(紅三葉)·금화채(金花菜)라고도 한다.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까지 자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은 어긋나고 3개로 갈라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거나 다소 파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 중앙에 八자의 흰 무늬가 있다.
턱잎은 잎자루의 밑부분에 붙어 있고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5∼9월에 피고 홍색빛을 띤 자주색을 띠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뾰족하며 털이 많다.
꽃잎의 길이는 12~16mm로 조그맣다.

열매는 협과로 8~9월에 여문다. 유럽 원산지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작은꽃의 통이 길기 때문에 밀원식물로서는 부적당하고 식물체의 수명이 짧으나 뿌리는 깊게 들어간다.
사료로 심고 있으나 번져나간 것이 야생상으로 자라며 귀화식물이 되어 버린 듯 하다.
토끼풀과 비슷하지만 꽃자루가 거의 없고 포가 없으며 원줄기에 퍼진 털이 있다.
유럽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한다.

토끼풀 https://cafe.daum.net/510211/4bCc/5179?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4300?svc=cafeapi
붉은토끼풀 https://cafe.daum.net/510211/4bCc/6961?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703?svc=cafeapi
흰토끼풀 https://cafe.daum.net/510211/4bCc/1206?svc=cafeapi
애기노랑토끼풀 https://cafe.daum.net/510211/4bCc/669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6141?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963?svc=cafeapi
잔개자리 https://cafe.daum.net/510211/4bCc/4561?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4275?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727?svc=cafeapi
개자리(제주우도) https://cafe.daum.net/510211/4bCc/7084?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260?svc=cafeapi
개자리(애월해변) https://cafe.daum.net/510211/4bCc/7068?svc=cafeapi
자주개자리 https://cafe.daum.net/510211/4bCc/5812?svc=cafeapi
              https://cafe.daum.net/510211/4bCc/3735?svc=cafeapi 

 붉은토끼풀.
2024. 11. 1. 경기 광명시 하안동 '안양천변'에서.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박  (0) 2024.12.13
댑싸리 풍경  (0) 2024.12.13
감국  (3) 2024.12.05
야고 '하늘공원'  (1) 2024.12.04
애기달맞이꽃  (0) 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