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이야기(조류 종류,새,물새)

괭이갈매기, 청둥오리

괭이갈매기, 청둥오리

생선 등을 사기 위하여 군산 해망동 수산물센터에 가는데 . . .
오랫만에 찾아 갔더니 주변이 확장되고 변화가 있더군요.
수산물센터 건물을 새로 짓고 주변을 정리하는 등 큰 공사를 하였어요.
전에는 한 곳에 모여 있어 별로 돌아 다니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멀리 돌아 다녀야 했어요.

 

분류 : 도요목 갈매기과의 조류. 괭이갈매기.
분포 : 한국·일본·중국(북동부)·사할린섬·쿠릴열도·연해주  (학명 : Larus crassirostris)
서식 : 바다·해안·하천 (크기 : 몸길이 약 46cm, 날개길이 34∼39cm)
생활 : 무리 생활,  생식 : 난생(1회에 4~5개)

특징 : 
몸길이 약 46cm, 날개길이 34∼39cm의 중형 갈매기이다.
머리와 가슴·배는 흰색이고 날개와 등은 잿빛이다.
꽁지깃 끝에 검은 띠가 있어서 다른 갈매기류와 구별된다.
부리는 다른 종에 비해 긴 편이고 끝 부분에 빨간색과 검은색 띠가 있다.
어린 새끼는 검은 갈색이며 얼룩무늬가 있다.
번식기는 5∼8월이지만 번식지에 모이는 것은 이른봄이다.
번식지는 대개 무인도 풀밭이며 큰 집단을 이루어 마른 풀로 둥지를 틀고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8월 말경에 어린 새끼와 함께 번식지를 떠나 바다 생활에 들어가는데, 먹이 물고기·곤충·물풀 등이다.
새끼 3년쯤 자라서 어른새가 된다. 울음소리가 고양이 울음소리와 비슷하다.
물고기떼가 있는 곳에 잘 모이기 때문에 어장을 찾는 데 도움을 주어 예로부터 어부들의 사랑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집단 번식지인 충남 태안군 근흥면·난도(卵島), 경남 통영시 한산면 홍도(鴻島),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한국·일본·중국(북동부)·사할린섬(남부)·쿠릴열도(남부)·연해주 등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앞바다에서 겨울을 난다. 동북아시아 특산종이다.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청둥오리.
분포 : 북반구  (학명 : Anas platyrhynchos)
서식 : 하천·호수·못 등지의 풀밭이나 습지 (크기 : 수컷 약 60cm, 암컷 약 52cm)
생활 : 무리생활, 생식 :1회에 6∼12개의 알을 낳음.

특징 :
몸길이는 수컷이 약 60cm, 암컷이 약 52cm이다.
수컷은 머리와 목이 광택있는 짙은 녹색이고 흰색의 가는 목테가 있다. 윗가슴은 짙은 갈색이다.
꽁지깃은 흰색이지만 가운데꽁지깃만은 검정색이며 위로 말려 올라갔다.
부리는 노란색이다.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진다.
집오리의 원종이며, 한국에서는 가장 흔한 겨울새이자 대표적인 사냥용 새이기도 하다.
만·호수·못·간척지·하천·해안·농경지·개울 등지에서 겨울을 나는데,
에는 만이나 호수·해안 등 앞이 트인 곳에서 먹이를 찾고 저녁이 되면 논이나 습지로 이동하여 아침까지 머문다.
하늘에서는 V자 모양을 이루고 난다.
산란 4월 하순에서 7월 상순까지 한배에 6∼12개의 알을 낳아 28∼29일 동안 암컷이 품는다.
식성은 풀씨와 나무열매 등 식물성 먹이 외에 곤충류와 무척추동물 등 동물성 먹이도 먹는 잡식성이다.
북위 30∼70° 사이의 북반구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하며 지역적 기후 조건에 따라 남쪽에서 겨울을 난다.

괭이갈매기, 청둥오리.
2023. 3. 11. 전북 군산시 해망동 수산물센터 주변에서.

'동물이야기(조류 종류,새,물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황새  (0) 2024.01.30
흰빰검둥오리  (3) 2024.01.04
청둥오리  (0) 2023.12.09
먹황새  (0) 2023.07.27
박새  (0)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