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48)
네페타 라세모사 네페타 라세모사난쟁이개박하,  페리시안 캣민트 등으로 불리는데 . . .식물에서 나오는 오일 향이 고양이가 좋아 하는 듯해요.무리지어 우거져 자라고 있기에 급히 찰칵해 왔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꿀풀목 꿀풀과 개박하 속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러시아의 코카서스, 터키, 이란 원산지 (학명 : Nepeta racemosa)서식 : 약용,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 30~90cm)네페타 라세모사 '워커즈 로우' (Nepeta racemose 'Walker's Low')는 꿀풀과의 다년초로 허브민트과의 식물이다.양지바른 곳이나 부분 그늘에 자란다. 난쟁이 개박하, 페르시안 캣민트 라고 부르기도 한다.속명은 라틴어 nepeta (고양이 박하)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에트루리아 도시인 네페테 (Nepete)..
겹물망초 겹물망초겹물망초 '필라 노디플로라'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분경원'에 많이 자라는 식물이지요.최근에는 여기 저기 민가, 공원 등지에서도 많이 보이더군요.지치과인 물망초와  관련이 없는 마편초과의 식물인데 . . . 유통명으로 겹물망초 라고 불리고 있는 듯해요.익산시 팔봉동의  '카페 링크' 뜰에 아름답게 피어 있어 담았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아메리카 원산지. 페루, 유럽, 일본 (학명 : Phyla nodiflora(L.) greene)서식 : 관상용 재배, 노지월동 (크기 : 높이 5~10cm정도, 길이 20~50cm 정도)필라 노디플로라(겹물망초)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지방에 자생하는 마편초과 식물이다남부지역에서는 노지월동이 가능한 도입종이다.유통명은..
할미밀망 할미밀망작년에는 2023. 5. 9. 만났었는데 . . .올해는 제주도 여행을 다녀 온 후에 찾아 갔더니 꽃이 지고 안 보여요.아쉬움 마음을 달래며 하산 중에 응달 진 계곡 물가에 하얀 미소.할미밀망 한 속이 피어 반겨 주더군요.들판에 피는 사위질빵하고 식물체, 꽃 모양이 비슷하지요.할미밀망은 산 속에 자라며 사위질빵 보다 크고 큰 꽃이 피어 달라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분포 : 강원 가리왕산, 경북 황장산, 전북 덕유산 · 대아수목원 (학명 : Clematis trichotoma Nakai)서식 : 숲 가장자리 (길이 5 m, 지름 3 cm 이상)할미밀망은 할미질빵·셋꽃으아리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돌이나 나무를 기어 오르는 습성이 있고..
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 덜꿩나무 . . .덜꿩나무는 꽃이 4~5월에 피지만 가막살나무는 5~6월에 피어요.잎을 보면 덜꿩나무는 좁고 길쭉한 타원형이지만 가막살나무는 넓은 타원형이지요.가막살나무는 잎끝이 둥그스럼한데 산가막살나무는 잎끝이 뾰족하여 구분이 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산토끼꽃목 인동과의 낙엽관목.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 (학명 : rnum dilatatum)서식 : 산허리 아래의 숲속 (크기 : 높이 약 3m)가막살나무는 산허리 아래의 숲속에서 자란다. 수고는 높이 3m 정도이다.잎은 마주나며 둥글거나 넓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잎 뒷면에 액을 분비하는 선점이 있고 양면에 별 모양 털이 난다.잎자루는 길이 6~20mm이고 턱잎은 없다.(덜꿩나무는 ..
네눈들명나방 네눈들명나방2012.6월에 처음 만나고 두번째 만남이네요.타래난초를 촬영하고 있는데 풀 속으로 파고 들며 숨더군요.몸체가 작은 편에 속하는 녀석이지요. 분류 : 나비목 풀명나방과(이전, 포충나방과)의 곤충. 네눈들명나방.분포 : 한국·일본·중국·인도·러시아·네팔·대만 (학명 : Pleuroptya quadrimaculalis 'Kollar')서식 : 산지 (크기 : 날개 길이 22~27mm)출현 : 성충 5~7월, 9~10월. 연중 2회.특징 : 전국에 광역 분포.날개길이는 22∼27 mm이다.머리와 가슴은 연한 황갈색이고, 이마에는 회흑색의 비늘가루가 섞여 있다.더듬이는 수컷이 미모상(가는털) 이며, 암컷은 실 모양이다.앞날개는 회갈색 바탕에 백색의 큰 콩팥 모양 무늬가 명료하게 나타나 보이고,그 안쪽..
후투티 새 후투티 새날아 가는 모습은 여러번 보았는데 . . .이렇게 촬영하기는 이번이 3 번째 이네요.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익산시 금마면 용화산.이번에는 미륵산 하단부에 큰하늘나리가 자생하기에 촬영차 탐방.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배낭을 내려고 하는데 앞 쪽에 움직이 보이네요.다시 보니 후투티 새 라는 녀석이 먹이를 찾고 있어요.소리나면 날아 갈까봐 배낭에서 급히 카메라를 내어 찰칵 찰칵 도찰.여러 컷을 찍고 휘바람을 한바탕 불어 주니 낌새를 차리고 날아 가네요. 분류 : 코뿔새목 후투티아 목(파랑새목) 후투티과의 조류. 후투티.분포 : 유라시아 대륙,아프리카 대륙, 열대아시아 (학명 : Upupa epops saturata)서식 : 구릉의 나무숲, 인가 지붕, 처마 밑 (크기 : 몸길이 약 28cm, 날개길이 약..
타래난초 타래난초예년보다 일 주일이 더 빠른 탐방인데 . . .가뭄 탓인지 벌써 꽃이 시들거나 지고 있어요.꽃이 밑에서 피어 올라 가는데 벌써 밑부분은 시들어 있네요.개체수도 예년에 비해 많이 보이질 않아요. 분류 :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중국·타이완·사할린섬·시베리아 등지 (학명 : Spiranthes sinensis 'Pres' Ames)서식 : 잔디밭, 논둑 (크기 : 높이 10∼40cm)타래난초는 잔디밭이나 논둑에서 자란다. 높이 10∼40cm이다.뿌리는 짧고 약간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5∼20cm, 나비 3∼10mm이고 주맥이 들어가며 밑부분이 짧은 잎집으로 된다.줄기에 달린 잎은 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대는 줄기 하나가 곧게 서며 길..
물참대 '댕강말발도리' 물참대 '댕강말발도리'물참대는 댕강말발도리 라고 부르기도 해요.작년 보다 5일 정도 늦은 방문이였는데 벌써 꽃이 지고 있네요.새로이 천호산 중턱에 임도를 만들어 놓았는데 물참대 군락지가 발견되었어요.작은 꽃이 아름답게 피는 나무이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분포 : 한국 ·중국 ·시베리아 동부 등지 (학명 : Deutzia glabrata Kom)서식 : 산골짜기 바위틈이나 숲가장자리 응달 (크기 : 높이 2m)물참대는 댕강말발도리라고도 한다. 산골짜기 바위틈이나 숲가장자리 응달에서 자란다.나무크기는 높이가 2m에 달하고, 나무 껍질은 회색 또는 어두운 회색이며 불규칙하게 벗겨지고,어린 가지는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잎은 마주나고 바소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2∼1..
은대난초 은대난초작년에는 5.11일 방문하였더니 꽃잎이 활짝 벌어진 모습이 반겼지요.올해는 제주도 여행을 다녀 온 후에 5일 늦게 찾아 갔었네요.벌써 꽃이 시들고 있는 것도 있지만 자생지에 묘지를 조성해 여러 개체가 안 보여요.꼬마은난초는 거(꿀샘)가 돌출되고 꽃송이 2~3개, 키가 아주 작음. 보호 식물이라네요.은대난초는 포기 전체에 털 같은 돌기가 나고, 밑의 첫째 포가 꽃차례보다 긴 것이 특징.은난초는 포가 꽃차례 보다 짧고 거(꿀샘)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민은난초는 포가 꽃차례 보다 짧고 거(꿀샘)가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이 특징. 분류 :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 (학명 : Cephalanthera longibracteata)서식 : 산과 들 (크기 : 높이 30∼..
갈색줄수염나방 갈색줄수염나방비슷한 녀석들이 많기도 하고 헛갈리는 종류도 많아요.물결수염나방, 세줄무늬수염나방, 지옥수염나방, 리치수염나방, 보라회색수염나방.결국은 갈색줄수염나방으로 명찰을 달았네요.(동정 잘못 되었으면 알려 주세요.) 분류 : 나비목 밤나방상과 줄수염나방아과의 곤충. 갈색줄수염나방.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학명 : Herminia tarsicrinalis 'Knoch, 1782')서식 : 산지, 들, 공원 숲 (크기 : 날개편길이 20~31 mm 내외)출현 : 연 2회 발생 (4~6월,8~10월)특징 :날개편길이 20~31 mm 내외이다.몸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띤다. 등쪽 가운데를 따라 흑갈색 역삼각형 무늬가 늘어선다.앞날개는 회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암색의 인편이 섞여 있다.내횡선과 아외연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