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비목 나방 종류

(34)
끝짤룩노랑가지나방 끝짤룩노랑가지나방 전에는 곤충을 찾아서 들판과 야산 기슭, 산지 등에 많이 다녔네요. 지금은 꽃을 탐색 중에 얌전히 앉아 있는 녀석은 담아 주고 있어요. 비가 그친 직후나 이른 아침에 가면 나방, 나비 등이 만히 날아 가지 못하지요. 이곳 천호산에 오르면 곤충들이 많이 반겨 주는데 모른체 하고 있네요. 분류 : 나비목 자나방과의 곤충. 끝짤룩노랑가지나방. 분포 : 한국,일본,대만 (학명 : Pareclipsis gracilis 'Butler') 서식 : 낮은 산지 (크기 : 날개편 길이 30~38mm) 출현 : 성충 5월, 7~8월. 특징 : 전국 국지적 분포. 날개편 길이 30~38mm 정도이다. 더듬이는 수컷은 섬모상이나 실모양에 가깝다. 암컷은 실 모양이다. 몸과 날개는 담황갈색으로 암회색 점이 산..
북방물결수염나방 북방물결수염나방 처음 만나는 수염나방 종류인 듯해요. 이름도 모르고 담아 와서 검색으로 겨우 명찰을 달아 주었네요. 하지만 자료에 대한 정보가 전혀 나오질 않는 듯해요. 짚신나물을 촬영하는데 녀석이 날아 가 풀 속 깊이 숨기에 찰칵했었네요. 분류 : 나비목 밤나방과 Sinarella 속의 곤충. 북방물결수염나방. 분포 : 한국 전지역 (학명 : Sinarella cristularis 'Staudinger, 1892') 서식 : 산지 숲 초원 (크기 : 날개편 길이 22mm) 출현 : 성충은 8~9월. 특징 : 날개편 길이는 22mm이다. 외횡선이 전연과 닿는 곳 바로 옆에 속에 흰줄이 있는 검은 무늬가 있다. 성충은 8~9월에 나타난다. 꼬마세줄수염나방과 비슷하나 날개 바탕색과 외횡선의 모양이 다르다. ..
노란닥나무들풀나방 노란닥나무들풀나방 처음에는 띠무늬들명나방인가 싶었는데 무늬가 다른 것이 수상하였네요. 다른 이름이 있을 것 같아 '곤충나라 식물나라'에 동정을 부탁하며 올렸네요. '곤충나라 식물나라' 회원님들의 알려 주심에 의거 이름을 알게 되었어요. 학명 외에는 자료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어 참조하시게 나름대로 편집을 하였네요. 분류 : 나비목 풀명나방과(Crambidae) 들명나방아과(pyraustinae)의 곤충. 노란닥나무들풀나방. 분포 : 한국, 중국, 대만 (학명 : Glyphodes formosanus Shibuya,1928) 서식 : 산과 들의 초원 (크기 : 날개 길이가 20mm내외) 출현 : 성충 5~9월. 특징 : 날개 길이가 20mm내외 이고 앞날개와 뒷날개 바탕은 흰색이다. 앞날개는 기부에 담갈색..
얼룩애기물명나방 얼룩애기물명나방 2012. 8. 31. 천호산 기슭에서 만나고 이번이 두번째의 만남인 듯해요. 천적이 무서워서 인지 날아가서 앉는 곳이 바위 측면, 튼 돌맹이 측면 등에 많이 앉아요. 아마 날개의 무늬색과 바위의 색이 자연 조화되어 위장이 되는 듯합니다. 명나방 종류가 아주 다양하여 자료를 저장할 때에 이름 앞에 "명, 들명, 물명" 등을 붙여주네요. 분류 : 나비목 명나방과의 곤충. 얼룩애기물명나방. 분포 : 한국 · 일본 · 중국 (학명 : Nymphula enixalis 'Swinhoe') 서식 : 연못, 늪, 호수, 물가 주변 (크기 : 날개 편 길이 15~22mm) 출현 : 성충 7~10월 경. 특징 : 전국 광역에 분포한다. 머리는 담갈색의 인편으로 덮여 있다. 더듬이는 갈색이다. 날개 편 길..
앞붉은명나방 앞붉은명나방 가족은 병원에 검진차 갔시고 . . . 노트북이 있어 심심하던 차에 자료를 위하여 올려 봅니다. 발생된지 오래 되었는지 색이 많이 바랬네요. 분류 : 나비목 명나방과의 곤충. 앞붉은명나방. 분포 : 한국 ·일본 ·타이완 ·인도 ·중국 ·시베리아 동부 ·유럽 (학명 : Oncocera semirubella) 서식 : 콩과식물 주변 (크기 : 날개 길이 22∼28 mm) 출현 : 성충 6~8월 발생. 특징 : 날개 길이 22∼28 mm이다. 머리는 황백색이며 가슴의 등면 및 어깨판은 짙은 황색이다. 더듬이는 실 모양이고 연한 황갈색이다. 앞날개는 앞가두리를 따라 백색 띠가 있으며 보통 앞쪽 절반은 적색, 뒷가두리쪽 절반은 황색을 나타내나 개체에 따라 전체가 황색인것, 전반부가 흑갈색인 것도 있다..
이화명나방붙이 이화명나방붙이 포충나방 비슷한데 이름을 찾으니 '이화명나방붙이' 종류이네요. 자료를 위하여 올려 봅니다. 분류 : 나비목 명나방과의 곤충. 이화명나방붙이. 분포 : 한국, 일본 (학명 : Chilo gensaneluus Leech, 1889) 서식 : 산야의 초원 (크기 : 날개편 길이는 25-38mm) 출현 : 1~12월중 나타나고 성충은 7~8월에 주로 발견. 특징 : 날개편 길이는 25-38mm이다. 머리는 담갈색 비늘로 덮여 있으며, 앞이마는 원추 모양으로 돌출한다. 더듬이는 황갈색이다. 작은턱수염은 담갈색에 황갈색 비늘이 섞여 있으며 끝이 팽대되어 있다. 아랫입술수염은 백갈색으로 선단은 흑갈색이 강하고, 거의 앞으로 향하며 길다. 가슴과 배의 등쪽면은 담갈색이고 배쪽면은 백갈색이다. 다리는 약간..
연물명나방 연물명나방 밝은 색의 날개 무늬가 아름다운 녀석이지요. 연못가에서 많이 발견이 되기도 해요. 국립생태원 습지체험원 연못가에서 날아 다니기에 담아 주었네요. 분류 : 나비목 명나방과의 곤충. 연물명나방. 분포 : 한국 · 중국 · 일본 (학명 : Elophila interruptalis) 서식 : 연못가 (크기 : 날개길이 21∼28㎜) 출현 : 성충 4~10월에 활동. 특징 : 흰무늬물명나방이라고도 한다. 날개길이 21∼28 mm이다. 머리는 백색이고 더듬이는 연한 황갈색이며 가는털 모양이다. 앞날개는 황색 바탕에 갈색으로 테두리가 된 백색 무늬가 여러 개 있는데, 기부 부근에서 앞가두리를 따라 있는 2개의 작은 것과 날개 중앙 중실 아래쪽에 원형에 가까운 큰 무늬가 있으며, 중실 위쪽 및 날개꼭지 방향..
목화명나방 목화명나방 목화명나방, 목화바둑명나방 . . . 목화명나방을 대체로 가끔 만나기는 하는데, 목화바둑명나방은 잘 보이질 않더군요. 국립생태원 '한반도 숲길'을 거닐고 있는데 나뭇잎 뒤에 숨더군요. 분류 : 나비목 명나방과의 곤충. 목화명나방. 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중국·시베리아·보르네오·스리랑카·인도 (학명 : Haritalodes derogata) 서식 : 빈터나 길가 (크기 : 날개길이 22∼34 mm) 출현 : 성충 5~9월, 연 2~3회 발생. 특징 : 솜들명나방이라고도 한다. 날개길이가 22∼34 mm이다. 머리와 가슴은 황백색이다. 앞 ·뒷날개의 바탕색은 짙은 황백색이다. 등판 및 어깨판에 3개씩 흑갈색 점이 있으며, 앞 ·뒷날개의 신장무늬와 횡선들이 뚜렷하다. 성충은 5∼9월에 나타나며 ..
무늬흰불나방 무늬흰불나방 장맛비 관계로 활동하며 담아 둔 미정리 자료들을 6월부터 거꾸로 정리하고 있어요. 6월~ 4월 사이에 많은 자료가 아직 정리가 안되어 창고에 저장을 못하고 있네요. 식물이든 곤충이든 인연이 없으면 만날 수가 었는 듯해요. 만나려고 아무리 찾아도 안 보이는데 인연이 있으면 우연히 발견이 되지요. 무늬흰불나방 2012. 7. 7.에 만나고 두번째 인 듯합니다. 분류 : 나비목 불나방과의 곤충. 무늬흰불나방. 분포 : 한국·일본·중국·인도 (학명 : Nyctemera adversata 'Schaller') 서식 : 산과들의 숲 (크기 : 날개길이 11∼14㎜) 출현 : 성충 7∼8월. 특징 : 전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주로 낮에 활동한다. 더듬이는 빗살 모양이다. 주둥이는 황색, 선단부는 흑색이..
배추좀나방 배추좀나방 이날 따라 좀나방 종류가 많이 발견이 되었어요. 이름도 모르면서 찰칵 해 왔더니 좀나방 종류의 곤충들이네요. 자료를 위하여 늦게나마 올려 봅니다. 분류 : 나비목 집나방과의 곤충. 배추좀나방. 분포 : 한국 (학명 :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서식 : 채소 재배 농경지 (크기 : 날개길이 10∼12mm) 출현 : 4~5월. 먹이 : 케일, 배추, 무 등 십자화과 식물. 특징 : 몸길이는 6 mm 정도이다. 앞날개는 흑회갈색 또는 담회갈색이다. 날개를 접었을 때 등쪽 중앙에 유황백색의 다이아몬드형의 무늬를 갖고 있다. 유충은 머리부분이 담갈색이고, 몸길이가 10mm 내외이다. 번데기의 크기는 6mm 내외로 몸색은 녹색담황색 또는 흑색을 띠며, 그물형상의 고치 속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