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산하, 고향 소식(풍경, 행사, 소식)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완주 대둔산구름다리 길 완주 대둔산구름다리 길 주차장→ 케이블카 →완주 대둔산구름다리→ 약수정 휴게소 →삼선계단 →마천대. 마천대에 가려면 3번째에 이르는 길목인 금강구름다리에서 본 풍경들입니다. 케이블카를 타고 내리면 되나 싶어지만 가파를 계단을 오르 내려야 하네요. 노약자, 어린아이들은 조심해야 할 듯해요. 1, 2대 금강구름다리, 3대(현세대) 완주 대둔산구름다리,통상 구름다리 라고 부르지요. 흔들 흔들 고소공포증 있는 분들과 노약자들은 조심해야겠더군요. 나이드신 여성분들이 앞서 가시면서 좔영 중인데 발을 굴러 흔들어요. 대둔산(879.1m) 위치 : 도로명 (전북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공원길 11) 지 번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611-34) 찾아가는길 : 전주에서 17번 국도 → 봉동 → 고산 → 운주 → 대둔산 .. 케이블카 풍경 케이블카 풍경 주차장에 주차하고 케이블카를 타고 대둔산에 오르는 중에 본 풍경입니다. 케이블카 안에서 촬영이 되어 유리창 그림자도 보이네요. 단풍은 벌써 지고 나뭇잎들이 떨어져 보이질 않더군요. 케이블카에서 내리고 계단을 오르면 금강구름다리가 나오지요. 대둔산(879.1m) 위치 : 도로명 (전북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공원길 11) 지 번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611-34) 찾아가는길 : 전주에서 17번 국도 → 봉동 → 고산 → 운주 → 대둔산 입장료 : 무료. 케이블카 운영 시간 : 09:00~18:00 케이블카 이용료 : 대인 1인기준(왕복) 15, 000원 (국가유공자, 장애인 : 13,500원) 대인 1인기준(편도) 12, 000원. 소인은 편도 9, 000원, 왕복 11,500 원. 노령.. 대둔산 주차장 풍경 대둔산 주차장 풍경 대둔산 입구에 도착하여 주차장으로 안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무료 주차 인데 평일이라 한산하나 싶었지만 대부분 주차공간이 주차 되어있어요. 주차장에서 부터 케이블카 탑승하는 곳까지 가면서 담은 풍경이네요. 대둔산 주차장 위치 : 도로명 (전북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공원길 11) 지 번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611-34) 대둔산(879.1m) 위치 : 도로명 (전북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공원길 11) 지 번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611-34) 찾아가는길 : 전주에서 17번 국도 → 봉동 → 고산 → 운주 → 대둔산 입장료 : 무료. 케이블카 운영 시간 : 09:00~18:00 케이블카 이용료 : 대인 1인기준(왕복) 15, 000원 (국가유공자, 장애인 : 13,500원) .. 배꽃재의 대둔산 풍경 배꽃재의 대둔산 풍경 가까운 곳이라 생각하고 여러번 가 본다고 생각하였지만 이번이 처음 이였어요. 대아수목원, 천등산에서 운주면 방향으로 조금만 더 가면 되는 곳이네요. 네비에 주소를 입력하고 달리다 아차 하는 순간에 익산 I· C를 통과 해 버렸다. 그래 가다 보면 대둔산 길에 이르는 곳이 나오리 생각하고 달렸더니 . . . 나오다 보니 하필 하이패스 전용 I· C 인데 직원을 부르는 스위치를 눌러도 별무소식. 나중에 요금 내라고 통보가 오면 내려고 그냥 지나쳤네요. I· C를 나와서 보니 완전 시골길 같은 좁은 도로. 또 어쩌다 보니 수락계곡 길로 접어 들고. 안되겠다 싶어 초행길이니 주변 주민들의 도움으로 찾은 곳이 '배꽃재맛집'이였네요. 주차장에 일단 주차를 하고 '대둔산 뷰'가 좋은 곳이란 것을.. 차나무밭 길 풍경 차나무밭 길 풍경 차나무 밭을 가지치기 정비를 해서 꽃이 핀 모습을 못 보았네요. 산기슭에 작은 밭을 형성하여 자연산으로 자라는 곳에서 꽃을 만났지요. 이때 쯤에는 애기단풍나무도 물들기 시작할 무렵이라 별로 였었네요. 아마 지금 쯤이면 만추의 가을풍경이 연출되고 있을 듯해요.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지번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선운사는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산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보물 제290호. 선운산 자락에 위치한 선운사는 김제 금산사(金山寺)와 함께 전라북도의 2 대 본사로서 유구한 역사와 함께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절의 이름은 “구름 속에서 참선 수도하여 큰 뜻을 깨친다”는 ‘참선와운(參禪臥雲)’에서 유래되었다. 선운사 대웅전.. 선운사로 가을풍경 선운사로 가을풍경 장성 백양사 풍경을 담아 와서 올리면서 늦어졌네요. 선운사 정문 (일주문)까지의 도로명이 선운사로 라고 지도에 표시됩니다. 지금 쯤 가면 만추의 가을 풍경을 볼 수가 있을지 모르겠어요. 10월 말경의 선운사 진입하는 도로(선운천 길)의 풍경을 담았었네요.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지번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선운사는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산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보물 제290호. 선운산 자락에 위치한 선운사는 김제 금산사(金山寺)와 함께 전라북도의 2 대 본사로서 유구한 역사와 함께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절의 이름은 “구름 속에서 참선 수도하여 큰 뜻을 깨친다”는 ‘참선와운(參禪臥雲)’에서 유래되었다. 선운사 대웅전은 .. 쌍계루 2연못풍경 쌍계루 2연못풍경 쌍계루 아래에 첫번재 연못, 그 밑의 두번째 연못 풍경입니다. 2연못 밑으로 쌍계루는 잘 보이질 않지만 백학봉이 보이는 3연못이 있지요. 시간이 되면 겨울 설경을 만나 보고 싶기도 하네요. 백양사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사찰. 백제시대 (632년) 무왕 여환이 창건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 조선팔경의 하나로 절경(絶景)과 설경(雪景)으로 유명한 곳이다. 백학봉 백암산 (내장산 국립공원에 포함) 아래에 위치한 암벽. 식생 경관이 아름다운 명승 38호(2008년 지정) 대한 8경의 하나로 꼽혀지는 이름난 곳이다. 백암산에서 뻗은 능선이 백학봉까지 이러진다. 쌍계루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 내장산 국립공원 안에 있는 절로 백제 무.. 백학봉 보이는 연못풍경 백학봉 보이는 연못풍경 백학봉이 보이는 곳의 연못은 쌍계루 밑으로 3번째 연못. 첫번째 연못은 백학봉과 쌍계루의 반영이 뚜렷이 보이는 곳이지요. 두번째 연못은 백학봉과 쌍계루가 보이면서 일부 지역에서 반영도 보입니다. 세번째 연못은 백학봉은 보이나 쌍계루가 보이질 않는 곳이네요. 세번째 연못을 촬영하면서 쌍계루가 안 보이기에 이상하다 생각이 들어 물어 보았네요. 위로 올라 가면 연못과 쌍계루 그림자 촬영하는 곳이 있다고 하더군요. 백양사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사찰. 백제시대 (632년) 무왕 여환이 창건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 조선팔경의 하나로 절경(絶景)과 설경(雪景)으로 유명한 곳이다. 백학봉 백암산 (내장산 국립공원에 포함) 아래에 위치한 암벽. 식생 경관이 아름다운 .. 백양사 길 풍경 백양사 길 풍경 백양사로 오르는 길은 도로명이 '백양로' 이지요. 백양사 길(路) 단풍 터널을 올해도 볼 수가 있을까 싶었지만 벌써 낙엽이 되어 버린 듯해요. 아쉬운대로 백양사를 오르면서 몇 컷을 담아 보았네요. 그래도 쌍계루의 작은 연못 3곳의 풍경으로 위안이 되었어요. 위치 주소 :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백양사 대웅전. 분야 유형 : 불교 유적 시대 성격 : 고대~삼국시대 창건한 사찰. 건립시기 : 632년 (백제 무왕 33년) 소 재 지 :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 (白巖山) 정 의 :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암산(白巖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여환이 창건한 사찰. 내 용 :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무왕 33년) 여환(如幻)이 창건하여 백양사라고 .. 가인교 하천 풍경 가인교 하천 풍경 가인교 밑으로 흐르는 하천이 약수천 이라 부르는 듯해요. 하천의 이름인 약수천 보다 기억하기 쉽게 가인교 하천 이라 불렀어요. 단풍은 작년에 비하면 턱없이 볼품이 없어 보이네요. 가인교 백양사 아래에 위치한 장성 가인야영장에 들어 가는데 약수천 위로 설치된 교량. 가인야영장은 백암산 백양사 아래에 있어 백양로 길을 따라 가며 백양사매표소를 지나야 한다. 백양사 일주문을 지나 첫번째 갈림길에서 왼쪽 가인마을 길 (좌회전)의 교량. 가인교 지나면 오른쪽에 가인야영장이 위치. 계곡 마을 이름이 가인마을이자 가인교, 가인야영장 등으로 불린다.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108. 가인야영장은 인터넷 예약제. 연락처는 061-393- 3088. 백학봉, 쌍계루 연못반영 https://cafe.da..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