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27)
노랑남천 열매 노랑남천 열매 초여름 6월에 꽃이 피던 노랑남천의 열매가 지금 익어가고 있어요. 남천에 비해 잎과 줄기가 노란 빛을 띠는 초록색이기에 구분이 됩니다. 선화로 큰 길가 화단에 심어 준 남천 중에 노란남천이 서너 그루가 있어요. 익산 천만송이국화축제 (2023.10.20~10.29) 축제가 시작되었기에 도보로 가면서 찰칵. 덕분에 인근에서 은목서가 피어 있는 모습도 만났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상록관목. 분포 : 중국 원산지,한국·일본·중국·인도 등지 (학명 : Nandina domestica THUNB) 서식 : 관상용 분재, 식재 (크기 : 높이 3m) 남천은 남천촉(南天燭)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에 심으며 북부지방에서는 분..
줄사철나무 열매 줄사철나무 열매 사철나무는 곧게 서서 자라고 줄사철나무는 덩굴성으로 나무와 다른 물체를 기어 오르며 자라지요. 용인시 물푸레마을에 가면 돌담이 아주 많은데 줄사철나무가 담쟁이 처럼 자라고 있어요. 아직 열매가 성숙하지 않았지만 보기 좋아 담아 주었네요. 분류 : 쌍덕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상록관목.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학명 :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서식 : 산기슭의 숲 (크기 : 길이 10m 이상) 줄사철나무는 덩굴성으로 신기슭의 숲속에 자라는 상록활엽 관목이다. 난대지방의 표고 100~900m에 자생하며 내한성과 내음성, 내공해성이 강하다 줄기는 길이 10m 이상으로 공기뿌리가 나와 다른 물체에 달라붙는다. 가지는 녹색이고 뚜렷하지 않은 잔 점이..
당잔대 당잔대 올해는 톱잔대를 찾아 갔었지만 누가 채취해 간 듯 보이지 않아요. 딱 한 그루가 이지역에 자생하고 있었는데 . . . . . . . 혹시 기후 때문인가 싶어 내년에도 다시 찾아 가 보려고 하네요. 다른 잡초와 어우려져 자라며 꽃이 피어 있는데 잎도 잘 보이질 않더군요. 동정하는데 꽃도 중요하지만 잎과 줄기도 중요하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전남·충북·경기·황해·평남·평북)·일본·중국 (학명 : Adenophora stricta Miq)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60∼100cm, 잎 길이 3∼7cm, 폭 1∼3cm) 당잔대는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60∼100cm이고 흰색 털이 약간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둥근..
단양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멸종 위기식물 ∥급) 식물로 지정된 야생화입니다. 현제는 여주의 바위 늪 구비습지에만 자생하고 있다고 하네요.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에 서너 곳에 심어져 있어요. 이곳 국립생태원은 에코리움 앞(물억색 단지 옆)에 조성된 화판형 화단에 심어져 있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분포 : 한국(경북·충북) (학명 :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서식 : 냇가 모래땅 (크기 : 높이 30∼50cm) 단양쑥부쟁이는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모래땅을 좋아한다.). 두해살이풀로 첫해의 줄기는 높이가 15cm이고 잎은 뭉쳐난다. 꽃줄기는 지난해의 줄기에서 계속 자라고 높이가 30∼50cm이며 털이 다소 있고 자줏빛이 돌며 가지가 많..
쑥부쟁이 쑥부쟁이 쑥부쟁이의 종류도 다양하지요. 산지에 피고 있는 개쑥부쟁이, 쑥부쟁이는 잎을 보고 구분이 될 듯해요. 특히 가새쑥부쟁이, 버드쟁이나물 등은 잎과 톱니 수를 헤아려 보고 동정하기도 합니다. 섬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처럼 바닷가 근처의 식물들도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시베리아 (학명 : Kalimeris yomena Kitam) 서식 :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 (크기 : 높이 30∼100cm) 쑥부쟁이는 권영초·왜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30∼100cm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흰나팔꽃 흰나팔꽃 나팔꽃의 종류는 여럿이 있지요. 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미국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흰나팔꽃, 애기나팔꽃, 별나팔꽃, 일본나팔꽃, 이곳 대아수목원 입구 '수목교' 건너편 우측 언덕배기에 자라면서 꽃이 피네요. 올해는 길가를 예초기로 정비를 해서 꽃이 많이 보이질 않더군요. 나팔꽃은 꽃의 색, 꽃모양, 잎모양 등을 보고 이름을 구분할 수가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인도 원산지, 아시아 분포 (학명 : Pharbitis nil (L.) Roth ) 서식 : 길가나 빈처 (크기 : 길이 약 3 m) 나팔꽃은 인도가 원산지인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관상용으로 심지만 길가나 빈터에 야생하기도 한다. 줄기는 아래쪽을 향한 털들이 빽빽이 나며 길게 뻗어 ..
카나리아해수선화 카나리아해수선화 거미백합'스파이더 릴리'와 꽃이 비슷하지만 조금 작은 꽃이 피어요. 작년에는 만나지 못하였더니 올해는 가을에 피어 반겨 주네요. 꽃줄기 2개가 따로 따로 다른 뿌리에서 나와 피어 있더군요.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 원산지 (학명 : Pancratium canariense )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바위 틈, 관목 사이 (크기 : 꽃줄기 높이는 80cm정도) 카나리아해수선화(Canary Sea Daffodil)로 불리는 판크라티움 카나리엔세 (Pancratium canariense)는 구근식물이다. 주로 바위 틈이나 관목 사이에서 자라고 건조한 기후도 잘 이겨내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다. 비늘줄기는 목이 짧은 전구 모양으로 형성..
말오줌때나무 말오줌때나무 열매 말오줌나무 라고 이름이 비슷한 나무가 있어요. 딱총나무 종류이지요. 말오줌때나무와 꽃과 열매가 다르기에 구분이 됩니다. 국립생태원 정문에 들어 서면 전기차 타는 곳의 좌측 야산에 열매가 익어 가네요. 새들이 열매를 먹지 않는지 주렁주렁 달려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고추나무과의 낙엽관목. 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 (학명 : Euscaphis japonica) 서식 : 산기슭이나 바닷가 (크기 : 높이 약 3m) 말오줌때나무는 칠선주나무·나도딱총나무라고도 한다. 산기슭이나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 약 3m이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약 25cm이다. 작은잎은 5∼11개이며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보..
투구꽃 투구꽃 고창선운산,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고창읍 덕정리 고인돌들꽃학습원 . . . 여러 곳에서 투구꽃을 만났네요. 대아수목원에는 투구꽃과 비슷한 세잎돌쩌귀가 계곡에 많이 자생하지요. 이곳 국립생태원의 '한반도 숲길' 야산의 나무 밑의 한 곳에 투구꽃이 매년 반겨 주어요. 작년에 비해 올해는 꽃이 아주 많이 달려 피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subsp. Jaluense) 서식 : 깊은 산골짜기 (크기 : 높이 약 1m) 투구꽃은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새발처럼 생기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
노랑배수중다리꽃등에 노랑배수중다리꽃등에 경기 광명시에서 2021. 5월에 만났던 녀석 같아요. 작은 녀석이 이름은 아주 길게 달고 있네요. 서양등골나물을 촬영하는데 날아와서 방해를 하기에 찰칵해 주었어요. 분류 : 파리목 꽃등에과의 곤충. 노랑배수중다리꽃등에. 분포 : 한국 · 중국 · 일본 (학명 : Mesembrius flaviceps ) 서식 : 낮은 야산이나 들판 (크기 : 몸길이 10~14mm) 특징 : 성충의 몸길이는 10-14mm이다. 머리는 가슴보다 폭이 넓고, 뺨은 갈색을 띤다. 더듬이는 황색이지만, 제 3마디는 흑색이다. 가슴등판은 흑색이며 2쌍의 황색줄을 갖는다. 배는 머리와 가슴을 합친 길이보다 짧으며, 제 2배마디에서 가슴보다 폭이 넓다. 다리는 흑색이며, 부분적으로 황색을 띤다. 한국·일본·중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