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11) 썸네일형 리스트형 캐넌볼나무 캐넌볼나무 작년 10월에도 꽃이 핀 모습으로 반기더니 금년 초에도 꽃이 피어 있어요. 열매를 만나 볼 수가 있을까 싶어 캐넌볼나무 밑에 가면 위를 쳐다 보네요. 이번에도 혹시나 열매가 있을까 싶었더니 꽃이 높은 곳에서 피어 있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오예과(Lecythidaceae)의 낙엽활엽교목. 분포 : 남아메리카 북동부 원산지 (학명 : Couroupita guianensis Aubl )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최대 35m ) 캐논볼나무(Cannonball Tree)는 중앙·남아메리카 북동부 원산지인 낙엽활엽교목이다. 국명은 없으며 영문명은 공통적으로 '캐논볼 트리(Cannonball Tree)'라 부른다. 이명으로 대포알나무, 대포 볼 트리 (Couroupita g.. 우네도 '딸기나무' 우네도 '딸기나무' 작년에는 3월 초에 큰 화분에 심어져 있더니 금년에는 지중해관의 화판에 심어져 있어요. 꽃이 핀 모습을 보고 명찰을 확인 하니 우네도'딸기나무' 이네요. 3번째 만남으로 열매를 보았으면 싶은데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 딸기나무 속의 상록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분포 : 지중해, 서유럽, 북아메리카 원산지. 모로코,프랑스,포르투칼,아일란드 (학명 : Arbutus unedo L.) 서식 : 관상용, 약용, 식용 재배 ( 크기 : 높이 5~10m 정도) 우네도'딸기나무'는 진달래과 딸기나무 속의 상록 관목(shrub)이다. 전 세계에 13종이 분포하고 한국은 모식종인 '우네도딸기나무', 멘지스딸기나무 등의 2종이 등록되어 있다. 영명은 식용딸기를 닮아서 .. 루엘리아 '후밀러스' 루엘리아 '후밀러스' 양지바른 땅의 그늘에서 자라며 생명력이 강한 식물입니다. '루엘리아후밀리스'는 야생 페튜니아(Petunia) 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런지 매년 숲길 나무 그늘에서 꽃이 피어 반겨 주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꿀풀목 쥐꼬리망초과의 여러해살이풀(상록 관목). 분포 : 북아메리타 동부 원산지 (학명 : Ruellia humilis) 서식 : 관상용 (크기 : 높이 30~60cm정도) 루엘리아 후밀리스(Ruellia humilis Nutt)는 양지바른 곳이나 비옥한 땅의 부분 그늘에서 잘 자란다. 원산지에서는 상록 관목,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며 가믐에 강하고 생명력이 강한식물이다. 영명은 Wild Petunia, Hairy Petunia, Lowwild Petunia 등이다. 줄.. 참싸리나무 참싸리나무 처음 만났었던 곳은 정동진 해안지역 이였던 것 같아요. 지금은 중앙체육공원 길의 언덕, 대아수목원 계곡, 국립생태원의 '한반도 숲길' 등에서 만나고 있어요. 잎이 작고 둥근 모양이고 심장형으로 잎끝이 오목하게 패인 모습이 특이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낙엽관목.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학명 : Lespedeza cyrtobotrya) 서식 : 산이나 들의 양지 (크기 : 높이 2m 내외) 참싸리는 산이나 들의 양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2m 내외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둥글게 된다. 늙은 나무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작은가지에 능선과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은 파.. 흰무릇 흰무릇 매년 8~9월에 피어 반겨 주는데 경기도 수원 지역에 자생한다네요. 모래와 흙이 섞여 있는 양지 바른 곳에서 자라고 있어요. 늦은 듯하지만 자료를 위하여 정리 중에 올려 봅니다.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수원지역 (학명 : Scilla scilloides f. albiflora Y.N.Lee) 서식 : 해가 잘드는 들판 (크기 : 꽃대 높이 20~50cm) 흰무릇은 해가 잘 드는 곳이나 반 그늘진 곳의 들에서 자란다. 비늘줄기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 2~3cm이고, 외피는 흑갈색이다. 수염뿌리가 내린다. 잎은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2개씩 나오고 길이 15~30cm, 폭 4~6cm로서 약간 두껍다. 표면은 수채처럼 파지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여러 잎.. 연성각 선인장 연성각 선인장 귀면각과 연성각이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학명을 보면 각각 다르더군요. 귀면각선인장 鬼面角 Cereus puruvianus for. monstrosa / Cereus jamacaru 이고 연성각 連城角, Acanthocereus tetragonus / Cereus puruvianus Mill. cv. monstrosus(암석사자) 등이 소개되고 있어요. 귀면각과 비교가 되도록 이어서 게시를 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 기둥선인장아속의 일종. 분포 : 아르헨티나,브라질,페루,미국 플로리다(학명 : Cereus puruvianus / Cereus puruvianus Mill. cv. monstrosus)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3~10m정도) 연성각.. 귀면각 선인장 귀면각 선인장 귀면각과 연성각이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학명을 보면 각각 다르더군요. 귀면각선인장 鬼面角 Cereus puruvianus for. monstrosa / Cereus jamacaru 이고, 연성각 連城角, Acanthocereus tetragonus / Cereus puruvianus Mill. cv. monstrosus(암석사자) 등이 소개되고 있어요. 선인장 종류를 명찰이 달려 있어 담아 왔는데 정보를 얻기가 조금 난해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 기둥선인장아속의 일종. 분포 : 아르헨티나,브라질,페루,미국 플로리다(학명 : Cereus puruvianus / Cereus jamacaru)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3~10m정도) 귀면각선인장은 .. 선메꽃 선메꽃 여러 곳에서 만났던 선메꽃이지만 이번에 만난 것은 잎이 아주 작고 가늘게 생겼어요. 메꽃의 종류도 여럿이 있기에 메꽃을 만나면 항상 관찰을 하네요. 잎이 작고 가늘어서 특이하다 싶어 담아 주었던 것 같아요. 방문자센터 옆의 원앙새, 담비 등이 있는 사육장 철망에서 찰칵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중부지방 이북)·중국·시베리아 동부·몽골 (학명 : Calystegia davurica) 서식 : 산록이하, 들판 (크기 : 높이 60cm) 선메꽃은 들판에서 자란다. 땅속줄기는 흰색이고 연하며 길게 벋으면서 번식한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서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높이가 6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7cm의 바소 모양이며 밑 부분이 화살 밑 모.. 노락선인장 노락선인장 사자금 '라이언금' 선인장, 환락선인장에 이어 노락선인장을 올려 보네요. 서로 엇비슷한 품종들이 만났기에 구분하기 좋으시게 올려 봅니다. 꽃이 핀 모습이였으면 더욱 좋았을 듯한데 꽃을 보기가 어려운 식물들인가 싶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 털기둥선인장 속의 일종. Espostoa 속 분포 : 에콰도루 남부, 페루 북부 원산지 (학명 : Espostoa lanata Britton & Rose)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높이 1.5~7m ) 노락선인장은 에콰도루 남부와 페루 북부지방 고지대에 자라는 선인장이다. 페루노인, 눈덩이선인장, 에콰도루선인장, 노락(老樂,日)선인장 등으로 불린다. 영명은 Peruvian Old Man Cactus 이다. 전체 모양은 나무 .. 환락선인장 환락선인장 정명은 '에스포스토아 멜라노스텔레' , 환락선인장은 유통명인 듯해요. 환락선인장은 노락선인장과 같은 품종으로 보기도 하는데 서로 다른 품종으로 차이가 있어요. 게시된 선인장을 서로 비교하시면서 확인해 보세요.(설명은 편집한 내용 임)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 털기둥선인장 속의 일종. 분포 : 에콰도루 남부, 페루 원산지 (학명 : Espostoa melanostele (Vaupel) Borg) 서식 :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 2~3 m ) 환락선인장(幻樂, 에스포스토아 멜라노스텔레 )은 석회암 지대인 800~2,500m 고도에 자란다. 에콰도루 남부와 페루의 안데스 산맥에 16종이 분포한다. 멸종 위기종으로 성장이 느린 선인장이으로 양털 같은 흰색의 털이 덮여 있다. 꽃.. 이전 1 ···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