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687)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나리냉이 미나리냉이 냉이의 종류도 다양한 듯하지요. 지금 산지에 가면 하얀 물결이 넘실 되는 듯한 풍경이 보여요. 군락을 이룬 미나리냉이꽃의 풍경이지요. 한창 피어 나기 시작하는 미나리냉이 입니다. 모약산, 천호산, 대아수목원, 경기도 청계산 등지에서 많이 만났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 북부·시베리아 동부 등지 (학명 : Cardamine leucantha) 서식 : 산지의 그늘진 곳 (크기 : 높이 40∼70cm) 미나리냉이는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으면서 번식한다. 줄기는 높이가 40∼70cm이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5∼7개이고 길이 4∼8cm, 폭 1∼3cm의 넓은 바소 모.. 백작약 백작약 야생화로 백작약, 산작약 등이 있는 듯합니다. 아직 산작약은 만나지 못한 꽃이지요. 작년에 4월 27일에 늦게 찾아 갔더니 딱 한송이가 반기더군요. 올해는 조금 앞당긴다 싶게 개화기가 빨라졌기에 찾아 갔더니 막 개화가 시작된 모습. 주변의 복분자 딸기나무를 정리하고 찰깍 해 왔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사할린섬 (학명 : Paeonia japonica) 서식 : 깊은산 나무 밑 (크기 : 높이 40∼50cm) 백작약은 강작약이라고도 하며 깊은 산속의 나무 밑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40∼50cm이다. 뿌리는 살찌고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번 갈라진다. 작은.. 제비꽃 제비꽃 제비꽃의 특징은 꽃자루가 잎자루와 잎을 합친 것 보다 더 길게 높이 솟구쳐 피지요. 최근에 흰들제비꽃 이라고 소개가 되는 종이 있네요? 2015년에 한국식물학회지에 발표 되었다는데 검색을 하면 정보가 나오질 않아요. 흰제비꽃, 흰젖제비꽃 등과 조금 차이 나는 모습이 발견이 되기는 하더군요. 흰제비꽃은 아랫입술과 좌우측판에 줄무늬가 있고 흰젖제비꽃은 아랫입술에만 줄무늬가 있고 좌우 측판에는 없지요. 흰들제비꽃이라 소개 되는 것을 보니 아랫입술, 좌우 측판, 윗입술 등 전체에 줄무늬가 있어요. 이곳 용화산에서도 가끔 보이던 모습이네요. 다음에 찾아 가 보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제비꽃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동부 (학명 : Viola mandshurica.. 남산제비꽃 남산제비꽃 길제비꽃 이라고 남산제비꽃의 잎이 펴지기 전의 모습과 비슷한 것이 있지요. 일본 사이트에 소개되고 있다는 조언을 얻었는데 지금 우리는 남산제비꽃으로 통합되었나 봅니다. 남산제비꽃을 보면 꽃받침이 녹색인 것과 갈색인 것이 두 부류로 보이더군요. 제비꽃 종류를 올해는 개화기를 못 맞추어 많이 담아 주지 못한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제비꽃(측막태화)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학명 :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 Maek. ex Hara)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10~15cm) 남산제비꽃은 주로 산지에서 자란다. 키는 높이 10~15cm정도이다. 잎이 완전히 3개로 갈라지고 옆쪽 잎이 다시 2개씩 갈라.. 냉초 앵초 이곳 천호산 계곡 산지에 군락을 이루고 자생하는 곳이 있는데 못 갔네요. 앵초는 산지 계곡에 많이 자생하는 야생화이지요. 큰엥초는 아직 야생에서 만나지 못하고 서천 국립생태원 '한반도 숲 길'에 만나 보았네요. 최근에는 꽃을 만나기 더 어렵더군요. 이번 주에 한번 찾아 가 보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시베리아 동부 (학명 : Primula sieboldii E. Morren) 서식 : 산과 들의 물가나 풀밭의 습지 (크기 : 꽃줄기 높이 15~40cm) 앵초는 산과 들의 물가나 풀밭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달리며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많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길이 4∼10cm의 달걀 .. 흰민들레 (2) 흰민들레 (2) 흰민들레꽃이 다른 모습이기에 2차로 다시 올려 봅니다. 대학교 약초원에 아주 많이 번져 있어요. 꽃잎 안쪽이 노란 빛이 적고 전체적으로 흰색이 많은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만주·우수리 (학명 : Taraxacum coreanum) 서식 : 산기슭과 들의 양지 (크기 : 꽃줄기 30cm 내외) 흰민들레는 양지에서 자란다. 원줄기가 없고 굵은 뿌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밑이 좁아지며 양쪽가장자리는 무잎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5∼6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4∼6월에 피고 처음에는 잎보다 짧은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1개씩 두상꽃차례가 하늘을 향하여 달리며 두화 밑에 털이 .. 천문동 수꽃 천문동 수꽃 천문동은 암, 수꽃이 다르게 피는데 구분하기 쉬운 자료가 없지요. 몇해 전에 담아와서 게시를 한 줄 알고 찾으니 안 보이더니 오늘에서야 발견하여 올립니다. 암꽃 수꽃을 비교하고 구분 하게끔 연달아 올려요. 수꽃은 꽃에 암꽃과 달리 열매 모양이 없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학명 :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서식 : 바닷가 (크기 : 줄기길이 1∼2m) 천문동은 우리나라 남부 바닷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많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의 밑부분은 달걀 모양의 비늘 조각이 있다. 줄기는 녹색으로 길이 1∼2m에 달하며 덩굴성이고 잎같이 생긴 가지는 1∼3개씩.. 천문동 암꽃 천문동 암꽃 천문동은 암, 수꽃이 다르게 피는데 구분하기 쉬운 자료가 없지요. 몇해 전에 담아와서 게시를 한 줄 알고 찾으니 안 보이더니 오늘에서야 발견하여 올립니다. 암꽃, 수꽃을 비교하고 구분 하게끔 연달아 올려요. 암꽃은 꽃에 열매 모양이 달려 있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학명 :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서식 : 바닷가 (크기 : 줄기길이 1∼2m) 천문동은 우리나라 남부 바닷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많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의 밑부분은 달걀 모양의 비늘 조각이 있다. 줄기는 녹색으로 길이 1∼2m에 달하며 덩굴성이고 잎같이 생긴 가지는 1∼3개씩 모여.. 흰노랑민들레꽃 흰노랑민들레꽃 흰민들레꽃과 비슷하지만 흰민들에는 꽃술의 가운데 부분만 노란빛이 도는데 비해, 흰노랑민들레꽃은 꽃잎 가장자리만 조금 흰색이 빛추고 안쪽은 대부분이 노란색이지요. 원광대학교의 약초원의 흰민들레꽃은 꽃잎 전체가 흰색이기도 하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학명 : Taraxacum coreanum var. flavescens Kitam) 서식 : 양지바른 곳 (크기 : 높이 10~20cm) 흰노랑민들레는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 혹은 반음지에서 자란다. 키는 높이 10~20㎝이다. 잎은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고 양쪽 면에 털과 톱니가 있다. 꽃은 연노란색으로 민들레와 흰민들레가 합쳐진 것처럼 보.. 흰민들레꽃 흰민들레꽃 민들레꽃도 변이가 있는 것인지 조금 비슷한 모습이네요. 이곳 천호산의 흰민들레꽃과 흰노랑민들레꽃이 헛갈리게 보이기도 해요. 원광대학교 약초원의 흰민들레는 꽃술까지도 흰색인지 꽃이 모두 흰색으로 보이더군요. 원광대학교 흰민들레꽃은 다음에 정리를 하여 올려 볼 예정입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만주·우수리 (학명 : Taraxacum coreanum) 서식 : 산기슭과 들의 양지 (크기 : 꽃줄기 30cm 내외) 흰민들레는 양지에서 자란다. 원줄기가 없고 굵은 뿌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밑이 좁아지며 양쪽가장자리는 무잎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5∼6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4∼6월에..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