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인장,다육식물

(52)
백년초 백년초 일부 농가에서 재배도 하지만 노지월동이 되기에 화단 등의 양지바른 곳에 심어요. 마이산 남부의 돌탑 광장 암마이봉 밑에 꽃이 피어 있더군요. 많은 꽃이 피어 쉽게 눈길을 당기는 꽃이기에 담아 왔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에 속하는 선인장의 한 무리. 분포 : 한국 북제주군 (학명 : Opunitia humifusa, Opunitia ficus-indica) 서식 : 재배 (크기 : 꽃 크기 2~3 cm정도) 백년초는 손바닥선인장, 부채선인장이라고도 부른다. 제주도에 유일하게 자생하는 토종 선인장이다. 줄기는 선인장에서 잎처럼 보이며 다육질로서 몇 군데가 마디처럼 잘록하며 이것을 경절(莖節)이라고 한다. 경절은 원통 모양, 공 모양, 타원 모양 등 그 모양이 여러 가지이며, 그 모양..
백단 '손가락선인장' 백단 '손가락선인장' 여산면 교창삼거리 인근 민가에서 3년 전에 처음 만났었네요. 꽃이 본 듯하다 싶더니 역시 손가락선인장이였어요. 자태가 아름다운 모습이기에 식사하러 갔다가 발견하고 나중에 카메라 들고 갔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석죽목 선인장과의 케마이케레우스속 식물. 분포 : 멕시코 이달고, 케레타로 주 (학명 : Chamaecereus silvestrii (Speg.) Britt. et Rose) 서식 : 관상용 재배 (크기 : 길이 10㎝ 정도) 손가락선인장(백단)은 해발 1000~2300m의 암석 지대에 자생한다. 건조하고 한랭한 기후에 내성이 강하다. 종의 형용어는 인명(人名)에서 유래한다. 줄기는 짧은 봉상(棒狀)으로 길이 10㎝ 정도이며 지면을 아래로 늘어지면서 신장하고 가지를 친다. ..
칼란코에 칼란디바 '겹꽃' 칼란코에 칼란디바 '겹꽃' 홑꽃은 칼란코에, 겹꽃은 칼란디바 라고 부르는데 . . . 겹꽃인 칼란디바 꽃들이 색색이 피어 있기에 담아 왔었네요. 이름을 칼란코에, 칼랑코에, 카랑코에 등으로 불리지요. 영문의 해독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살질성 화초. 분포 : 마다가스카르 섬 원산지, (학명 : Kalanchoe blossfeldiana) 서식 : 마다가스카르 섬 원산지 (크기 : 높이는 30~50 cm) 칼란코에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열대의 다육질의 꽃 식물로서 125종으로 이루어진 한 속(屬)이다. 주로 구세계 원산이며, 신세계로 소개된 이후 몇 종이 이곳에서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대부분이 관목 또는 다년생 식물이나 몇몇은 일년생 또는 이년생이다. 가장 큰 ..
오톤나카펜시스 오톤나카펜시스 유통명은 '진주목걸이'라고 많이 부르지요. 통상적으로 '오톤나카펜시스' 라고 부르는데 학명과 영명을 합쳐 오톤나카펜시스'리틀 피클리스' 라고불러요. 꽃이 노란 색으로 피고 잎이 통통하게 생긴 다육식물입니다. 분류 : 외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덩굴성 세덤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 분포 : 남아프리카 케이프지역 원산지 (학명 : Othonna capensis 'Little Pickles' ) 서식 : 관상용,정원 바위 틈, 지표식물,걸게 화분용 (크기 : 높이 30 cm 정도) 오톤나카펜시스는 학명이 Othonna capensis 인 덩굴성 다육식물이다. 전세계에 100여종이 Othonna 속으로 다육식물로 부터 작은 관목에 이르는 다양한 식물이 있다. 햇빛을 받으면 잎이 붉은 루비색으로 변..
청법사 '블러싱 뷰티' 청법사 '블러싱 뷰티' 다육식물 청법사의 종류 같은데 . . . . 검색을 찾아 봐도 정확히 나오질 않아요. 에오니움 '블러싱 뷰티' (Aeonium 'blushing Beauty’ ) 또는 Aeonium arboreum 'blushing Beauty’ . 두 종류의 잎색이 비슷한데 에오니움 '블러싱 뷰티' (Aeonium 'blushing Beauty’ ) 가장 근접하네요. 청법사 라고 알려 주시는데 청색과 암적색이 섞여 있어 찾아 보았네요. 일단 에오니움 '블러싱 뷰티' 이니 청법사 '블러싱 뷰티' 라는 이름으로 올려 봅니다. 분류 : 쌍덕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다육식물 . 분포 : 카나리아제도, 동아프리카, 모로코 (학명 : Aeonium 'blushing Beauty’ ) 서식 : 분화용, 관상..
다육식물 '청법사' 다육식물 '청법사' 다육식물 법사들 중에 청법사, 금법사,흑법사, 달마법사 등이 있다네요. 아직 달마법사는 만나질 못하였어요. 꽃이 피어 있기에 촬영을 하였는데 조금 안쪽에 멀리 있어서 접사를 못하였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다육식물. 분포 : 카나리아제도,동아프리카,모로코 (학명 : Aeonium arboreum) 서식 : 분화용, 관상용 (크기 : 높이 25~100cm정도) 청법사는 일반명 Tree Aeonium, Tree Houseleek, lrish Rose 라고 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온다. 높이는 25~100cm 정도이다. 잎은 푸른색으로 로제트형으로 뭉쳐나고 직경 7~15cm정도의 잎장이 긴 주걱모양이다. 꽃은 늦봄~여름에 밝은 노란색으로 가지..
선인장 '홍기린' 선인장 '홍기린' 홍기린은 홍채각 이라 부르기도 하지요. 가시가 붉은 색으로 보여 부르는 이름 같아요. 자료에 대한 정보를 여러 곳에서 모아 편집한 내용입니다. 분류 : 쌍덕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 유포르비아속의 다육식물. 분포 : 남아프리카 원산지 (학명 : Euphorbia enopla Boiss) 서식 : 관상용, 온실, 분 재배 (크기 : 높이 0.3 ~ 1 m정도) 홍기린(홍채각)은 대극과의 유포르비아속 다육식물이다. 국명은 '유포르비아 에노피아' 이다. 유통명이 홍기린,홍채각 이라 불린다. 영명은 Pincushion Euphorbia, Milk-barrel 이다. 줄기는 직경 1.5~2cm 정도의 기둥 모양이다. 체색은 진한 녹색이며 기부에서 분지한다. 가지는 직립성으로 단단하다. 높이는 0...
엽단선 '브라질부채선인장' 엽단선 '브라질부채선인장' 부채선인장, 손바닥선인장, 백년초, 엽선, 희금 등으로 불리는 선인장. 우리나라 제주도에 자생하는 유일한 선인장 종류의 한 품종 이라고 하네요. 기둥같은 큰 키에 손바닥모양의 잎이 달리고 꽃이 피어 있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석죽목(Caryophyllales) 선인장과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 분포 : 브라질, 아르헨티나 원산지 (학명 : Brasiliopuntia brasiliensis) 서식 : 건조한 지역, 사막지역 (크기 : 높이 20 m 정도) 엽단선 '브라질부채선인장'은 무덥고 건조한 사막지대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이다. 나무 모양의 선인장 일종으로 납작한 줄기가 부채 모양을 여러 개 붙인 것처럼 생겨서 붙은 이름이다. 엽선, 희금이라고도 불리고 손바닥선인장, 부채선..
클레이니아 네리폴리아 열매 클레이니아 네리폴리아 열매 이전에는 '세네시오 클레이니아 ' (Senecio Kleinia)로 불렀으나 지금은 '클레이니아 네리폴리아'로 불리네요. 이명으로 천룡(天龍), 유엽칠보수 등의 이름으로 많이 불리고 있는 듯합니다. 몇번 게시를 하였지만 학명과 이름을 모른체 수목원의 명찰대로 '세네시아' 로 게시를 하였었네요. 오늘 서천 국립생태원에 식물이 보이기에 명찰을 촬영해 와서 정보를 얻어 편집하여 올립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국화목 국화과 Kleinia(클레이니아) 속의 다육식물(낙엽관목). 분포 : 카나리아 제도,열대 아프리카 원산지, (학명 : Kleinia neriifolia / Senecio Kleinia) 서식 : 바위 겉, 바위 틈새 자생, 관상용, 온실 재배 (크기 : 높이는 3 m 이상..
칼랑코에 '핀나타' 칼랑코에 '핀나타' 금년 1.5일에 꽃망울이 달린 모습을 만났었지요. 꽃모습을 보고 싶다고 생각하였던 차에 마침 꽃이 피어 있더군요. 지금도 칼랑코에'핀나타'를 검색하면 칼랑코에 '피나타'(만손초)가 나오네요. 천손초, 만손초와 잎모양과 꽃 모양이 전혀 다른 듯한데 검색이 잘 안 되고 있어요. 학명으로 검색을 해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 분포 : 마다가스카르 원산지 (학명 : Kalanchoe pinnata (Lam.) pers.) 서식 : 관상용 온식 재배 (크기 : 높이 1 m 정도 ) 칼랑코에 핀나타(K. pinnata)는 다육식물로 여러해살이식물이다. 따뜻하고 온화한 기후의 열대수림, 건조한 낙엽수림, 산림의 암석 위에서 자란다. 'pinn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