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507)
양장구채 양장구채제주 민속촌, 휴애리 등을 찾아 가는 길에 시원한 바닷가를 보고 정차.주변에 넓은 주차 공간이 있기에 주차를 하고 쉬어 가기로 했지요.쉬는 목적도 있지만 해변의 야생화 탐사를 하기 위함이였네요.번행초, 갯무, 돌가시나무, 양장구채, 갯까치수염, 며느리밑씻개 . . .양장구채는 이름을 모르기에 바닷가 장구채를 치고 검색하여 찾았네요.양장구채 제주도, 남부지방 바닷가 저지대 자생하는 귀화식물이라고 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 장구채 속의 한 두해살이풀.분포 : 한국(제주도, 남도 지방 해안), 전 세계 (학명 : Silene gallica L.)서식 : 해안가 저지대 풀밭 (크기 : 높이 10~45cm 정도)양장구채는 제주도, 남부지역 해안가 저지대의 양지의 풀밭에 자란다.국명은 양장..
칼잎막사국 칼잎막사국2012년에 전초 모습이 길가에 자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 . .2015년에 제주도 방주 교회 화단에서 꽃이 핀 모습을 발견했었네요.이번에 여행길에 보니 이제는 여러 곳에 많이 번져 있더군요.민속촌, 휴애리 등을 관광하고 숙소에 오니 시간 여유가 있어요.숙소 주변이 해안가 이고 둘레길이 있어 돌아 보다가 돌담에 자라는 것을 만났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석죽목 석류풀과 상록 다육질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남아프리카 서부 케이프 해안지역 (학명 : Carpobrotus edulis N.E.Br.)서식 : 해안 모래 사구, 절벽 (크기 : 길이 1.5 m, 잎길이 10㎝, 폭 1~2㎝)칼잎막사국(漠沙菊)은 카르포브로투스(Carpobrotus) 속 다육식물로 해안 모래밭, 절벽 등지에 자생한다.edu..
국화잎아욱 국화잎아욱제주도 9년 전에 여행 할때 중문색달해변 주차장 옆의 풀밭에서 처음 만났지요.당시에는 애기수박풀이라 알고 그대로 게시를 하기도 했었네요.이번에도 그때의 기억을 상기하고 찾아 갔더니 변화가 있더군요.풀밭이던 곳이 보도블록이 깔려 있기에 실망하였네요.그러나 한창 찾아 보던 중에 보도블록 틈새에 자라며 반기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 국화잎아욱속 한.두해살이풀.분포 : 한국,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학명 : Modiola caroliniana (L.) G.Don)서식 : 제주도의 풀밭이나 길가 (크기 : 높이 15~40cm )국화잎아욱은 국화잎처럼 잎이 잘게 갈라지고 아욱과 식물이라는 뜻의 이름이다.원산지가 남아메리카이고 귀화식물이며,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높이는 15~40㎝..
개미자리 개미자리개미자리는 도로변의 담장 밑, 보도블록 틈새, 들판의 자갈 밭 등에 자라지요.큰개미자리는 해변에서 처음 만났는데 이번 여행에서는 우도에 갔지만 만나지 못했네요.우도에서 걸어서 탐사를 해야 하는데 순환버스를 타고 다녔어요.개미자리눈 여미지식물원 외곽의 풀밭에 많이 자생하더군요.분류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층층장구채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사할린섬·티베트·중국의 온대에서 아열대지방 (학명 : Sagina japonica (Sw.) Ohwi)서식 : 길가, 뜰의 응달 또는 양달 (크기 : 5∼20cm)개미자리는 개미나물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뜰의 응달 또는 양달에서 흔히 자란다.줄기는 높이 5∼20cm로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여러 대가 한 포기를 이룬다.윗부분에만 짧은 선모가 ..
노루발풀 노루발풀매화노루발을 작년에 만나지 못하여 찾으면서 담은 노루발풀.노루발풀도 조금 더 늦게 갔으면 꽃이 다 지고 못 만날뻔했어요.매화노루발은 줄기가 있고 잎이 층으로 달리며 톱니가 있어요.노루발은 줄기가 없고 꽃대가 올라와서 꽃이 피는데 잎에 톱니가 없어요.잎의 중맥과 측맥이 뚜렷하면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요.  응달에 있는 노루발풀의 모습들이 그래도 반겨 주어 담아왔네요.덕분에 매화노루발 새로운 자생지를 알게 되었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노루발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전북·경남·경북·강원·경기)·일본·타이완·중국·헤이룽강 (학명 :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서식 : 숲속 (크기 : 높이 약 26cm )노루발은 노루발풀이라고도 한다. 숲속에서 자란다. 높..
매화노루발 매화노루발작년에는 9월까지 찾아 갔지만 식물체만 보고 꽃은 못만났지요.올해는 다시 살아 있으려나 싶었지만 보이질 않더군요.아쉬움 속에 주변을 살살이 탐색을 하던 중에 한송이 핀 매화노루발.주변에 여러 속이 자라고 있는 새로운 자생지를 발견하였어요.노루발풀은 뿌리에서 잎이 나와 모여 있고 꽃줄기가 올라오는데,매화노루발은 줄기가 있고  줄기에 잎이 층으로 달리고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어요.노루발풀은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잎맥이 뚜렷하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노루발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중국·사할린섬 (학명 : Chimaphila japonica)서식 : 바닷가의 숲속 (크기 : 높이 5∼10cm)매화노루발은 매화노루발풀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각처의 산지, 바닷..
애기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중문색달해변 해수욕장 모래 언덕에서 2015. 5월 중순에 처음 만났지요.이번에는 색달해변 해수욕장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쇠소깍으로 직행.다행스럽게 번행초, 염주괴불주머니, 애기달맞이꽃이 반겨 주더군요.애기달맞이꽃은 달맞이꽃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꽃과 잎이 훨씬 작게 피어요.특히 모랫밭을 기어 벋으며 자라기에 직립하는 달맞이꽃과 구분이 쉽게 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분포 : 북· 남미 원산지, 한국 ·전 세계 (학명 : Oenothera laciniata Hill)서식 : 해안가, 양지바른 모래땅 (크기 : 높이 20~60cm)애기달맞이꽃은 북·남아메리카 원산으로 제주도 바닷가에 흔히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높이는 20~60cm이다.줄기는 옆으로 벋으며 여..
큰점나도나물 큰점나도나물9년 전 제주도 여행시에 처음 만났는데 . . .2년 전에는 광명시 안양천 '하안교' 부근 강변에서 피어있더군요.이번 제주 여행 탐사 목표 중의 하나인 '큰점나도나물'.비바람 속에 우의도 입지 못하고 촬영을 하였어요.예년에 비해 개체수가 아주 많이 보이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 · 일본 · 중국 · 러시아 (학명 :  Cerastium fischerianum)서식 : 바닷가 (크기 : 높이 30 cm 정도)큰점나도나물은 이명으로 북점나도나물, 큰꽃점나도나물이라 부른다.밭이나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여러대가 모여 나고 자라며 전체에 잔털과 선모가 덮인다. 높이는 30cm 정도이다.잎은 마주 달리고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개자리 개자리개자리, 잔개자리는 9년 전에 우도에서 처음 만났었네요.이번에는 우도에 가서 순환버스로 일주하고 내리지 못해 못 만났어요.나중에 우도에서 촬영한 자료에 찍혔는지 보아야 할 듯합니다.개자리와  잔개자리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요.꽃차례를 보면 잔개자리는 둥글게 피고 잎이 개자리 보다 조금 작은 듯싶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두해살이풀.분포 : 유럽 원산지, 한국(전역) (학명 : Medicago hispida Gaertner)서식 : 들, 길가 빈터 (크기 : 길이 60∼90cm)개자리는 들이나 길가의 빈터에서 자란다. 전체가 관목처럼 보이고 털이 빽빽하게 난다.줄기는 밑에서 여러 개 갈라져 비스듬히 서거나 옆으로 땅을 기고 길이가 60∼90cm에 이른다.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다. ..
개모밀덩굴 개모밀덩굴이제 제주도에 도착하고 숙소에 체크인 하고 나니 . . . 조금은 시간 여유가 있을 듯하여 숙소 주변을 살피니 꽃들이 반기네요.개모밀, 병꽃나무, 호주매화, 새우란, 금새우란  .  . .육지에서는 모두 온실이나 화분에 심어 주어야 할 식물들이 모두 노지에서 자라고 있어요.개모밀덩굴이 원예종인 줄 알았더니 바닷가에도 자라는 야생화이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남부 지방, 제주)·일본·중국·말레이시아·인도·히말라야 동부 (학명 : Ampelygonum umbellatum)서식 : 양지바른 바닷가 (크기 : 높이 10∼15cm)개모밀덩굴은 적지리(赤地利)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 10∼15cm이다.줄기는 길게 뻗으면서 마디마다 뿌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