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507)
암대극 암대극식물체는 많이 본 듯한데 이름을 찾기 어렵더군요.암석의 틈에 자라기에 한자로 바위 암자. 암+대극이라고 불리는 듯해요.꽃과 열매의 모습이 특이한 대극인 듯합니다.식물을 대하기는 이번이 처음인 듯 싶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븐포 : 한국 제주도, 남해안 지역 (학명 : Euphorbia jolkinii Boiss)서식 : 해안의 암석지 (크기 : 높이 40~80cm)암대극은 제주도, 남해안 지역 해안의 암석지(바위 틈)에서 자란다.'해안의 바위 틈에서 자라는 대극'이라는 뜻의 이름이다.줄기는 무리지어 나며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높이는 40-80cm 정도 자란다.잎은 어긋나기하고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진다...
미나리냉이 미나리냉이이때 당시에 막 피기 시작하던 모습이였는데 . . .제주 여행 다녀 와서 어깨 아픔을 무릎쓰고 천호산에 탐사 강행.통원 치료를 하면서 이열치열이라는 말이 있듯이 배낭, 카메라 메고하였어요.벌써 미나리냉이는 꽃이 다 지고 안 보이더군요.은난초, 민은난초, 애기난초, 은대난초 등이 너무 늦어 버렸어요.예쁜 모습은 내년을 기다려야 다시 만나 볼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중국 북부·시베리아 동부 등지 (학명 : Cardamine leucantha)서식 : 산지의 그늘진 곳 (크기 : 높이 40∼70cm)미나리냉이는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으면서 번식한다.줄기는 높이가 40∼70cm이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잎은..
라눙쿨루스 라눙쿨루스노적봉 주차장에 주차하고 좌측의 유달산 등산로 계단을 따라 올라 가는데 반겨 주네요.여러 화초가 있었지만 우선 라눙쿨루스가 꽃이 크기 때문인지 눈길을 당겨서 찰칵.지금도 어깨가 통증이 있어 물리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 . .은난초, 민은난초, 은대난초, 새모래덩굴 등을 만나러 천호산에 다녀왔어요.시간이 너무 소비되어 병원 통원치료를 못 받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구근초.분포 : 동남 아시아와 동 남부 유럽, 카르파토, 로도스 섬 (학명 : Ranunculus asiaticus L  )서식 : 관상용 재배  (크기 : 높이 15~45 cm 정도)라눙쿨루스는 미나리 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의 일종으로 괴근을 가진 숙근초이다.아시아티아(asiaticus) 속 식..
서양금혼초 서양금혼초몇해 전에 제주도에 갔을때는 풀밭에서 발견이 되었는데 . . .이번에 제주도에 가니 큰 도로의 중앙분리대와 양쪽 도로 화단에 무수히 꽃이 피어 반겨요.일부로 화초를 화단에 심어 놓은 듯한 풍경이더군요.전북 군산시 금강 하구 둑 부근의 공원 풀밭에도 아주 많이 자생하고 있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유럽 원산지, 북미,아시아,유럽,아프리카 북부,남아메리카 분포 (학명 : Hypochaeris radicata L.)서식 : 산야의 풀밭 (크기 : 높이 30~50cm 정도)서양금혼초는 제주도 해발 500m이하, 남부지방의  풀밭에 자생한다.전북, 전남 등지의 들판의 풀밭에 발견되고 있는 귀화식물로 환경부지정 생태교란 식물 중의 하나이다.줄기는 여러대가 뭉쳐나고 높..
백작약 백작약작년의 보다 하루 이른 날짜 인 듯한데 꽃이 피어 있더군요.민둥뫼제비꽃, 태백제비꽃 등이 활짝 피어 있었어요.단풍제비꽃은 식물체만 확인해 왔고 노루삼은 더 기다려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일본·중국·사할린섬 (학명 : Paeonia japonica)서식 : 깊은산 나무 밑 (크기 : 높이 40∼50cm)백작약은 강작약이라고도 하며 깊은 산속의 나무 밑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40∼50cm이다.뿌리는 살찌고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잎은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번 갈라진다.작은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다.꽃은 3~5월에 흰색으로 피고 지름..
흰제비꽃 흰제비꽃서천 국립생태원의 에코리움 앞 잔디밭에 무리지어 자생하더군요.원광대학교 자연식물원에도 무리지어 자생하고 있어요.금마저수지 옆 금마관광단지 주변의 풀밭에도 아주 많이 자생하지요.흰제비꽃, 흰젖제비꽃, 흰들제비꽃 등이 무리지어 자생하는 특성이 있나 봐요. 분류 : 쌍떡잎식물 제비꽃목(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 원산지 (학명 : Viola patrini DC.)서식 : 산과 들 (크기 : 높이 10~15cm)흰제비꽃은 햇볕이 잘 쬐는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원줄기는 없으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피는 제비꽃을 말한다.뿌리가 흑갈색이며 근경은 짧다.잎은 다소 곧추서고 끝이 둔한 삼각상 바소모양 또는 긴 타원상 넓은 바소모양으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밑부분이 수평에 가까..
흰들제비꽃 흰들제비꽃선화로 옆의 전광사 정문 앞 공터 풀밭에  자라고 있는데 . . .금마면 용화산 기슭의 묘지 풀밭에도 많이 자라고 있지만 올해는 개체가 줄었어요.흰젖제비꽃, 흰제비꽃, 흰들제비꽃 . . .흰젖제비꽃은 꽃잎 아랫입술에만 자주색 줄무늬가 있지요.흰제비꽃은 꽃잎 윗입술, 좌우측판 입술, 아랫입술에 자주색 줄무늬 있어요.흰들제비꽃은 꽃잎 전체에  줄무늬가 있는데 꽃잎 바탕에 보라빛이 도는 모습이기도 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제비꽃목(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 원산지 (학명 : Viola betonicifolia Sm. var. albescens)서식 : 산과 들의 양지 바른 풀밭 (크기 : 높이 10~15cm )흰들제비꽃은 들판, 산기슭 묘지, 양지바른 풀밭에 흔히 자란다.햇볕..
꽃바지 꽃바지비슷한 꽃 모양으로 피는 것은 꽃마리가 있지요.꽃마리는 꽃잎 가운데에 노란색이 있는데 꽃바지는 노란색이 없고 모두 하늘색으로 피어 구분.참꽃마리는 산지의 숲가에 자생하며 꽃이 조금 크게 피어 쉽게 구분이 될 듯해요.오늘 모악산에 올라 가면서 보니 참꽃마리가 등산로 길가에 무리지어 자라며 꽃이 피었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지치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분포 : 한국(전북·경북·경남·제주)·동아시아의 온대와 열대 (학명 : Bothriospermum tenellum)서식 : 들, 민가 공터 (크기 : 높이 5∼30cm)꽃바지는 들이나 주택가 주변에서 자란다.줄기는 뭉쳐나며 밑부분이 비스듬히 땅을 기고 가지를 많이 친다. 높이는 5∼30cm로 전체에 누운 털이 있다.뿌리에서 ..
조개나물 조개나물아침부터 일찍 노랑제비꽃을 만나러 전북도립공원 모악산에 갔었네요.조금 늦은 방문이 되었는지 노랑제비꽃이 보이질 않더군요.겨우 한 두송이 핀 꽃과 꽃망울을 담아 주고 왔어요.정상 중계탑 부근에서 콩배나무가 많이 피어 있어 담아 주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제주도 제외)·중국·우수리·아무르 등지 (학명 : Ajuga multiflora)서식 : 양지바른 야트막한 산이나 들 (크기 : 높이 약 30cm)조개나물은 양지바른 야트막한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정도이다.줄기는 곧게 서고 백색의 긴 털이 빽빽히 나 있다.잎은 마주나며 줄기잎은 길이 5cm 정도의 달걀 모양이다.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뿌리잎은 길..
옥녀꽃대 옥녀꽃대옥녀꽃대, 홀아비꽃대 . . . 이곳은 남쪽지방이라 옥녀꽃대 밖에 안 보여요.홀아비꽃대는 중부 이북 지역에 자생한다고 하는데 이곳으로 장가 보내 줘야 할 듯합니다.이제 피기 시작하는 모습이였는데 지금 쯤은 활짝 피어 있을 것 같아요.옥녀꽃대는 열매가 옆으로 누운 듯 달리고  홀아비꽃대는 꼿꼿이 위로 향해 달려서 구분을 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목련목 홀아비꽃대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 남부지방 (학명 : 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서식 : 산지 숲 속 반 그늘 (크기 : 크기 15~30cm)옥녀꽃대는 제주도와 남부지방 숲에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다.산지의 숲속에 적당히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높이 15~30cm 내외이다.잎은 줄기 끝에 4장이 뭉쳐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