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758)
좀딱취 좀딱취 잎이 단풍취를 닮은 듯한데 아주 작게 축소를 한 듯한 모습이다. 이름 처럼 '좀' 자가 붙여진 것이 잎 때문인가 싶기도 해요. 좀딱취 자생지에 찾아 갔더니 성안 전체를 예초기로 작업을 해 버렸더군요. 설마 전부 작업했겠다 싶어지만 숲 전체를 제초작업이 되어 버렸어요. 아마도 고창모양성제 축제 관계로 그런 것이 아닌가 싶더군요. 모양성제축제가 2023.10.19. (목) ~ 2023.10.23. (월)에 매년 실시. 그래도 모르니 쌍안경 눈매로 찾아 보니 전초가 많이 보이더군요. 언덕을 세분하여 다시 찾으니 아주 작은 흰꽃이 3개체가 다행이 반기네요. 꽃이 3송이씩 모여 달려 피는 모습이 특이하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 (학명 : Ainsl..
향유 (봉서 계곡) 향유 (봉서 계곡) 경기 용인시 법화산에서 만났던 향유를 게시하였지요. 이번에는 완주군 용진읍 간중리 봉서사 오르는 계곡을 따라 가다 보니 많이 변하였어요. 전에 없던 큰 계곡을 석축으로 쌓아 구축을 해 주었더군요. 아마 집중호우시에 홍수 예방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를 한 듯하더군요. 그 덕분에 야생화들이 많이 안 보이고 사라져 버렸어요. 전에 군부대 유격장 터에 언덕 위에 향유가 군락을 이루고 있기에 담아왔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아시아의 온대에서 유럽 (학명 : Elscholtzia patrini GARCK.) 서식 : 산과 들 (크기 : 높이 30∼60㎝) 향유는 노야기 라고도 한다. 산야에서 비교적 흔히 자란다. 줄기에는 4개의 모가 나 있고 가지..
꼭두서니 꼭두서니 식물체에 비해 꽃이 너무 작게 피기에 그냥 지나치기 쉽상이지요. 잎이 4개씩 돌려 나고 두개는 정상잎, 2개는 턱잎이라네요. 봉서계곡의 용진저수지 주차장 모양의 공터에서 꽃이 반겨 주어 담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 (학명 : Rubia akane) 서식 : 산지 숲 가장자리 (길이 약 2 m) 꼭두서니는 가삼자리·갈퀴잎이라고도 한다.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길이는 약 2 m이다. 뿌리는 굵은 수염뿌리로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줄기는 네모나고 가지를 치며 밑을 향한 짧은 가시가 난다. 잎은 심장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으로 4개씩 돌려나는데, 2개는 정상잎이고 2개는 턱잎이다. 길이 3∼7cm, 나비 1∼..
선괴불주머니 선괴불주머니 눈괴불주머니, 선괴불주머니 . . . 선괴불주머니를 잘못 동정하여 눈괴불주머니라고 불렀다고 하네요. 이곳 봉서계곡이 많이 변모를 하였더군요. 선괴불주머니, 용담, 활량나물 등이 많이 사라져 버렸어요. 모악산 구이계곡으로 다시 만나러 가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 분포 : 한국 (학명 : Corydalis pauciovulata) 서식 : 산과 들의 습기 있는 곳 (크기 : 높이 5~100㎝) 선괴불주머니는 곧게 선 채로 자라고 괴불주머니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산과 들의 숲 속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며 두해살이풀이다. 높이는 5~100㎝이다. 줄기는 분백색을 띠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선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3회에 걸쳐 작은잎(소엽)이 3개씩 ..
감국 감국 산국은 꽃이 작고 감국은 꽃이 조금 더 크게 피지요. 흔히 산국은 10원짜리 동정, 감국은 100원짜리 동전에 비유하네요. 꽃잎이 가운데 직경보다 크거나 같으면 감국, 직경보다 꽃잎이 짧으면 산국으로 동정. 산에 가면 산국은 아주 많이 보이는데 감국은 보기 어렵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타이완·중국·일본 (학명 :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서식 : 산 (크기 : 높이 60∼90cm) 감국은 황국(黃菊)이라고도 한다. 주로 산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다. 줄기의 높이는 60∼90cm이며 검은색으로 가늘고 길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인데 보통 깃꼴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
혹쐐기풀 혹쐐기풀 일찍이 만나러 갔었지만 자생지였던 금낭화 계곡을 전부 예초기로 작업. 한 그루도 발견을 못하였기에 올해는 못 보나 싶었네요. 세잎돌쩌귀를 찾기 위하여 계곡을 타고 내려 오다가 발견하여 담아왔어요. 줄기에 혹같이 열매 마냥 둥근 살눈이 달려 있어 혹쐐기풀이라 부르는 듯해요. 살눈은 마 열매 처럼 둥글게 생겼는데 살눈이 땅에 떨어 져 번식을 하는 듯해요. 한 그루가 바위 겉에 장맛철에 휩쓸려 가지 않고 버티고 있었던 듯합니다. 꽃차례는 개화기가 훨씬 지나가 버려 보기 좋은 모습이 아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학명 : Laportea bulbifera (Siebold & Zucc.) Wedd.) 서식 : 산지 수림 밑 (크기 : 높이 ..
산국 산국 요즘은 산에 올라 가면 산국, 개쑥부쟁이, 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등이 반기지요. 벌과 나비들이 아주 좋아 하는 계절이 되었네요. 이제 산국이 활짝 피어 한창 벌, 나비들을 모이게 하고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 중국 북부 (학명 :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약 1 m) 산국은 들국화의 한 종류로서 개국화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줄기는 길게 뻗으며 줄기는 모여나고 곧추선다. 흰 털이 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의 달걀 모양이며 길이 5∼7cm, 나비 4∼..
남산제비꽃 '꽃, 씨앗' 남산제비꽃 '꽃, 씨앗' 4월 초순경에 꽃이 필때쯤이면 남산제비꽃, 길제비꽃이 헛갈리지요. 세잎돌쩌귀를 혹시나 응달에 피었을라나 싶어 계곡을 탐사하여네요. 봄철에 많이 반겨 주던데 장맛철에 모두 흽쓸려 내려 갔는지 식물체가 보이질 않아요. 계곡을 탐사하면서 혹쐐기풀, 남산제비꽃이 반겨 주더군요. 혹쐐기풀은 자생지를 찾아 갔더니 모두 예초기로 제초작업을 해 버려서 못만났지요. 남산제비꽃은 봄철에 만났지만 깊어 가는 가을에는 처음 보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제비꽃(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학명 :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 Maek. ex Hara)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10~15cm) 남산제..
산부추 산부추 대아수목원에 '우리주변 자생식물 사진 · 표본 전시회'가 오늘부터 시작. 올괴불나무, 앉은부채, 자란초, 노랑붓꽃, 뻐꾹나리 등의 사진을 담아 주었어요. 자란초는 아직 만나지 못한 야생화이더군요. 세잎돌쩌귀를 올해 만나지 못하여 숲속교실 계곡을 타고 내려 왔더니 . . . 남산제비꽃이 활짝 피어 있고 씨앗도 듬뿍 품어 안고 반기더군요. 분류 : 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타이완 (학명 : Allium thunbergii G. Don) 서식 : 산지나 들 (크기 : 높이 30∼60cm) 산부추는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다. 비늘줄기는 달걀모양 바소꼴로 길이 2cm 안팎이고 밑부분과 더불어 마른 잎집으로 싸이며, 외피는 잿빛을 띤 흰색이고 두껍..
편두 '까치콩' 편두 '까치콩' 처음 만났던 곳은 군산시 바닷가에서 2009. 10. 6. 이였네요. 들판의 농가에서 재배하는 곳도 있는데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가 진행 중인 중앙체육공원에 조경형으로 심어 주었더군요. 오랫만에 만났기에 올려 보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한해살이풀). 분포 : 남아메리카 원산지 (학명 : Dolichos lablab) 서식 : 들, 바닷가, 강가, 재배 식물 (크기 : 꼬투리 길이 6cm, 나비 2cm ) 편두는 까치콩·나물콩·제비콩·작두 · 변두 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열대지방이다. 편두라는 이름은 콩이 납작하다고 해서 붙었다. 검은 줄 사이에 흰 줄무늬가 있어서 까치와 비슷하다는 의미에서 작두(鵲豆)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열대지방 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