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713)
딱지꽃 딱지꽃 오랫만에 오르는 용화산. 초입부터 석물결나비 녀석이 반겨 주더군요. 백령풀, 여우팥, 주홍서나물, 큰벼룩아재비, 며느리배꼽, 고슴도치풀, 으아리 등이 반기더군요. 주요 탐사 목표는 딱지꽃인데 정상까지 올라 가야 만나는 야생화이지요. 강원도 간성읍의 야산지대에서 전초를 만나 보기도 하였네요. 처음 만났었던 곳은 제주도 우도에서였던 것 같은데 이곳 용화산에 귀하게 한속이 자생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타이완 (학명 : Potentilla chinensis) 서식 : 들이나 강가, 바닷가 (크기 : 높이 30 ~ 60 cm) 딱지꽃은 들이나 강가, 바닷가 등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보랏빛으로 몇 개가 뭉쳐나며 줄기..
백양꽃 백양꽃 백양꽃은 모악산 구이계곡을 올라 가면 몇 속이 자생하더군요. 상사화의 종류이지만 꽃색이 조금 짙은 색으로 피지요. 제주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진노랑상사화 등을 담아야 할 듯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전남 백암산),한국 원산지 (학명 :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Nakai) T. Koyama) 서식 : 산지 (크기 : 길이 30∼37mm, 지름 27∼35mm) 백양꽃은 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 30∼37mm, 지름 27∼35mm로서 겉이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잎은 비늘줄기 끝에 모여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50∼56mm, 나비 10∼12mm이다. 빛깔은 녹색이며 중륵(中肋)에..
수박풀 수박풀 7~8월에 들판의 자생지에서 핀 모습이 아름다워요. 수목원의 꽃이 잎이 벌레가 먹어 제대로 보이질 않더군요. 자생지에 찾아 갔더니 문화재 유적지 복원 공사로 훼손되어 버렸어요. 수박꽃 자생지를 다시 찾으려면 발품을 사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부와 남부지방 (학명 : Hibiscus trionum L.) 서식 : 들이나 길가, 물가 (크기 : 높이 30∼60cm) 수박풀은 조로초(朝露草)·미호인(美好人)·야서과(野西瓜)라고도 한다. 중부 아프리카 원산인 귀화식물이며, 한때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였다. 물이 가까운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며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윗부분의 ..
나도미꾸리낚시 나도미꾸리낚시 연동제 주변에 나도미꾸리낚시, 긴미꾸리낚시 등이 있었는데 . . . 나도미꾸리낚시는 한 곳에서 보이는데 개체수가 많지 않네요. 긴미꾸리낚시는 보이질 않더군요. 다음에 용화산 계곡에 찾아 가 봐야 할 듯해요. 넓은잎미꾸리낚시는 논 가의 풀밭에 찾아 보면 보이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경기 · 전북 · 경남 · 함북 (학명 : Persicaria maackiana NAKAI) 서식 : 낮은 지대의 물가 (크기 : 높이 40~100cm) 나도미꾸리낚시는 낮은 지대의 물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여위며 길고 가지를 친다. 높이는 40∼100cm이다. 줄기의 밑 부분이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양면에 성모(..
노인장대 '털여뀌' 노인장대 '털여뀌' 천호산에 공단풀을 만나고 귀가 중에 길목에 있는 연동제에 들렸지요. 오랫만에 들려 보니 '서동 생가터' 복원 공사로 모두 파헤쳐 버렸더군요. 수박풀 등의 많은 야생화가 내년에 과연 볼 수가 있을지 걱정이 되기도 해요. 연못가 습지에 기생여뀌와 노인장대가 군락을 이뤄 함께 꽃이 피어 있어 담았네요. 전주수목원의 노인장대는 붉은 빛이 진한 꽃이던데 야생의 노인장대는 희게 보입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경북 · 경기 · 전북) · 중국·인도· 말레이시아 (학명 : Amblygonum orientale) 서식 : 인가 부근 (크기 : 높이 약 2 m) 노인장대(털여뀌)는 붉은털여뀌라고도 한다. 인가 부근에 자란다. 높이 약 2m 정도이고 전체에 ..
기생여뀌 기생여뀌 노인장대'털여뀌'와 기생여뀌가 한테 어울려 군락을 이루고 자생한다. 연동제는 서동 생가터 복원 공사를 옆의 야산기슭에 진행 중이더군요. 전에는 둥근잎나팔꽃, 애기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수박풀, 나도미꾸리낚시 등이 함께 자생하는 곳이네요. 지금은 공사 중이라 모두 파헤쳐 진 상태인데 기생여뀌와 노인장대는 무성히 자라고 있어요. 기생여뀌가 노인장대'털여뀌' 보다 오히려 식물체에 털이 더 많이 달린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 · 일본 · 중국 · 인도 (학명 : Persicaria viscosa H.Gross) 서식 : 연못, 습지 (크기 : 높이 40∼120cm) 기생여뀌는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40~12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갈색..
독활 '땅두릅' 독활 '땅두릅' 독활'땅두릅'은 여러해살이풀로 초본식이지만, 두릅나무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목본식물이지요. 봄철에 입맛 돋구어 주는 두릅으로 독활이 더 맛이 있는 듯해요. 두릅나무는 나무에 새가지가 자라기 직전에 채취하여 '개두릅'이라하기도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동아시아 지역의 산지 (학명 : Aralia contientalis) 서식 : 산지 (높이 1.5 m) 독활은 땅두릅이라고도 한다. 산에서 자란다. 높이는 1.5 m이고 꽃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0∼100 cm, 나비 3∼20 cm이며 홀수 2회 깃꼴겹잎으로서 어릴 때에는 연한 갈색 털이 있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녹..
새박 새박 산과 들판의 습지 풀밭에 아주 많이 자라는 식물이지요. 덩굴성이지만 줄기가 여리고 잎에 세모진 모습인데 꽃이 작아서 촬영이 잘 안 되는 꽃입니다. 사진발이 잘 안 받아요. 열매가 익으면 하얗게 구슬모양으로 주렁주렁 달리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분포 : 전국 각지 (학명 : Melothria japonica) 서식 : 습지 근처의 풀밭 (잎 길이 3∼6 mm). 새박은 습지 근처의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잎과 마주나는 덩굴손이 있어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6 mm의 세모진 심장 모양이며,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크고 작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길다. 꽃은 단성화이고 암수한그루이며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암꽃과 수꽃이 잎겨드랑이에 ..
짚신나물 짚신나물 열매가 양말 등에 달라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지요. 옛날에 방물장수들이 짚신을 신고 다니면서 달라 붙는 열매 때문에 귀찮은 존재였다네요. 그래서 얻은 이름이라고 하기도 하더군요. 7월부터 가을까지 꽃이 피고 지고 하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인도·히말라야·몽골·아무르·시베리아·유럽·사할린 등지 (학명 : Agrimonia pilosa Ledeb) 서식 : 풀밭이나 길가 (크기 : 높이 30∼100cm) 짚신나물은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5∼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크기가 고르지 않지만 끝에 달린 3개는 크기가 비슷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공단풀 열매 공단풀 열매 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기 전에 다시 예초기에 베어져 버린 듯한데 . . . 밑둥의 원줄기에 뻗은 가지에 꽃이 피었던지 열매가 달려 있어 자료 겸하여 담아 두었었네요. 내년에는 보다 멋진 꽃을 기대해 보렵니다. 카카오톡과 다음의 통합에 따른 게시글이 착오 발생되어 다시 게시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남·북아메리카 원산지. 한국, 일본, 유럽, 아메리카 (학명 : Sida spinosa) 서식 : 바닷가, 경작지, 나지 길가나 빈터 (크기 : 높이 30~60㎝) 공단풀은 구로공단에서 처음 발견된 풀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잎자루 밑부분에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어 ‘가시아욱’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외래식물인데 귀화식물이 되어 버린 듯하다. 한해살이풀이다.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