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660)
큰개불알풀 큰개불알풀 내일이면 새해 계묘년 토끼띠 신년 첫날인데 . . . 양지 바른 풀밭에 큰개불알풀이 미소를 짓고 반기네요. 일주일 전에 내린 폭설의 잔설도 아직 다 녹지 않고 쌀쌀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는데, 년말에 꽃이 피어 반기는 모습은 처음인 듯싶어요. 가족이 둘레길 한바퀴 돌고 오자 하여 함께 갔던 참이였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두해살이풀. 분포 :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학명 : Veronica persica Poir) 서식 : 길가나 빈터의 약간 습한 곳 (크기 : 줄기 길이 10∼30cm) 큰개불알풀은 길가나 빈터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란다.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밑 부분이 옆으로 뻗거나 비스듬히 서고 윗부분이 곧게 서며 길이가 10~3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러운 털..
호장근 호장근 호장근, 무늬호장근, 붉은호장근, 감절대 . . . 호장근과 감절대가 엇 비슷하여 혼동을 하기 쉽지요. 어릴 적에 새싹을 보면 호장근은 구불 구불 자라지만 감절대는 대나무 처럼 곧게 자라더군요. 잎이 다르고 꽃도 서로 다르게 피기에 구분이 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 일본 · 타이완 · 중국 (학명 : Reynoutria japonica)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1m 내외) 호장근은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하며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다. 잎 끝이 짧게 뾰족하고 밑은 절저(截底)이며 가장자리는 파상(波狀)이다. 턱잎은 막질이고 길이 6mm 정도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
좁은잎해란초 좁은잎해란초 해안가 모랫밭, 양지 바른 풀밭 등지에 자생한다고 하는데 . . . 서천 국립생태원의 고산체험원에 매년 자라면서 꽃이 피어 반겨 주더군요. 해란초는 잎이 넓은 것이 다른 듯한데 아직 만나지 못하였어요. 강원도 고성에서 담아 오신 아리 님의 게시글을 참조해 보세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평북, 함북, 만주, 중국,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유럽, 북미 (학명 : Linaria vulgaris Mill) 서식 : 해안가 모래언덕, 양지의 풀밭 (크기 : 높이 25~40cm) 좁은잎해란초는 해안가의 모래언덕과 양지바른 풀밭에 주로 서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별명으로 '가는잎해란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높이는 약 25~40cm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
뚜껑덩굴 뚜껑덩굴 저수지, 연못, 개울가, 하천변에 자라고 꽃이 피며 열매가 달려요. 열매가 익으면 위 아래로 뚜껑처럼 열리고 (1/2로 분리) 씨앗이 나와요. 위 아래로 뚜껑처럼 열리기에 얻은 이름인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한해살이풀 덩굴식물. 분포 : 한국(제주·전북·경기 이북)·동아시아 지역 (학명 : Actinostemma lobatum Maxim) 서식 : 물가. (크기 : 길이 2m) 뚜껑덩굴은 열매가 뚜껑처럼 갈라지기 때문에 뚜껑덩굴이라 부른다. 물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길이가 2 m에 달하며 짧은 털이 있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기어올라간다. 잎은 덩굴손과 마주나고 길이 5∼10cm, 폭 2.5∼7cm의 세모진 바소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고 때로 3..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꽃, 며느리밑씻개, 꽃며느리밥풀 . . . 옛날 고부간의 슬픈 갈등의 전설이 있기는 하지만 이름이 조금 야한 듯해요. 며느리배꼽은 꽃을 보려면 식물체 전체를 자세히 들여다 보아야 찾을 수가 있어요. 꽃이 작으면서 잎과 같은 녹색이라 찾기가 힘들지요. 며느리배꼽은 잎이 정삼각형, 밑씻개는 직삼각형으로 길쭉하여 구분이 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한국·일본·중국·말레이시아 (학명 : Persicaria perfoliata (L.) H. Gross) 서식 : 들 (크기 : 길이 1∼2 m) 며느리배꼽은 들에서 흔히 자라는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줄기는 잎자루와 더불어 밑으로 향한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길이 1∼2 m이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
애기나팔꽃 애기나팔꽃 비슷한 종류로 둥근잎유홍초, 별나팔꽃이 있는데 . . . . 꽃이 피면 색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쉬운데 꽃 피기 전의 덩굴을 보면 구분하기 애매하지요. 애기나팔꽃은 흰색이나 별나팔꽃은 연분홍색으로 피기에 구분이 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북아메리카 원산 (학명 : Ipomoea lcunosa Linne morning glory) 서식 : 들과 숲 (길이 0.6 m ~ 3.3 m 정도) 애기나팔꽃은 좀나팔꽃이라고도 한다. 본명은 Pitted morning-gliry 이다. 잎이 올록볼록해서Pitted 을 붙였을 것이다. 줄기는 감기고 다른 물체를 기어 오르며, 길이 0.6~3.3 m 정도이다. 잎은 보통 어긋나고 길이 5~10 cm 정도이며 꽃..
양하 양하 전북 도립공원 모악산, 고창 선운산 등지에 많이 자생하지요. 옛날에는 뿌리줄기를 나물로 만들어 먹기도 했었네요. 어릴 적에는 먹기 싫은 냄새로 인하여 못 먹었었던 기억이 나네요. 분류 :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아시아 열대 지방 (학명 : Zingiber mioga) 서식 : 산지 자생, 약초 재배 ((크기 : 잎 높이 40∼100cm) 양하는 아시아 열대 지방이 원산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비늘 조각 모양의 잎으로 덮인다. 잎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서로 감싸면서 줄기 모양으로 자라 높이가 40∼100cm에 달한다. 꽃은 8∼10월에 황색으로 피고 지름이 5cm이며 꽃줄기에 긴 타원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는 뿌리줄..
가시박 가시박 지금 22.9.13. 자료가 정리 되어 저장하고 22.9.12일 자료를 정리 시작. 결국 겨울에서 봄으로 밀린자료를 거꾸로 정리해 나가고 있어요. 늦은 감은 있지만 금년에 게시를 못한 품종이기에 올려 봅니다. 가시박은 전국의 들판과 강변, 하천변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 버린 귀화식물이지요. 생태계위해식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쉽게 소멸시키기 어려울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한해살이풀. 덩굴식물. 분포 : 북아메리카 원산, 경기 중부 이남 지방 (학명 : Sicyos angulatus L.) 서식 : 물가, 하천변, (크기 : 길이 4~8m) 가시박은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이며 귀화하여 자라는 왜래식물로 덩굴 줄기 식물이다. 줄기는 길게 뻗으며 자라는데 줄기 마디에서 나오는 덩굴손으로 주변..
왕갯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쑥부쟁이의 종류도 다양한 듯하지요. 이름에 '갯'자가 들어 갔으면 섬지역의 식물이라는 의미입니다. 왕 바다의 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 . . 꽃이 남부에서는 늦게 피고 제주도에서는 12월에 핀다고 하네요. 줄기가 굵고 억세게 보여요. 눈갯쑥부쟁이와 비슷해 혼동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제주도 남부 (학명 : Aster magnus) 서식 : 바닷가 (크기 : 높이 30~60cm 정도) 왕갯쑥부쟁이는 높이 30~60cm 정도이다. 줄기는 붉은 색을 띠며 옆으로 자라다가 곧게 서고 굵고 억세며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두껍고 털이 없다. 뿌리에 나는 잎은 주걱모양으로 윗부분은 이빨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으며 길이 15cm, 너..
털머위 털머위 제주도 해안가에서 흔히 만날 수가 있는 야생화 인데 . . . 지금은 공원, 수목원 등지에 야생의 노지월동이 되면서 심어 놓고 있지요. 꽃이 아름답고 오랫동안 피어 있어 관상화로 많이 심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경남·전남·울릉도)·일본·타이완·중국 (학명 : Farfugium japonicum) 서식 : 바닷가 근처 (높이 35∼75 cm) 털머위는 바닷가 근처에서 자란다. 높이 35∼75 cm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끝에서 잎자루가 긴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선다. 잎은 머위같이 생기고 두꺼우며 신장 모양으로서 길이 4∼15 cm, 나비 6∼30 cm이고 윤기가 있다.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뒷면에 잿빛을 띤 흰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