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712)
금새우란 금새우란 제주도 여행할 때에 산제비란을 만났었던 기억이 있어요. 금새우란은 제주도 등 우리나라 야생화로 자생하는데 아직 야생에서 만나지 못했어요. 대아수목원의 열대식물관에 활짝 피어 있어 담아왔었네요. 오늘은 이곳 용화산에 모처럼 찾아 갔더니 . . . 다화개별꽃, 각시붓꽃, 고깔제비꽃, 길제비꽃, 청알록제비꽃, 길마가지 흰꽃 등이 반겨 주더군요. 분류 :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 새우난초속 여러살이해풀. 분포 : 한국 원산지. 중부이남 도서 (학명 :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Decne.) Ohwi) 서식 : 해발 600 m 이하 숲 속 (높이 40 cm) 금새우난은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많고 전 세계에 약 200 종이 분포한다. 한국에는 3종이 분포하고 해발 600..
현호색 종류 현호색 종류 기온이 역대 최고로 더운 날씨가 되었다는 뉴스 보도. 역시 초여름 같은 날씨 속에 가뭄이 계속되고 있네요. 오늘 아침까지 빗방울이 떨어 진 듯하는데 해갈에는 턱없이 부족할 듯해요. 그래도 계절이 되면 피어나는 야생화들은 가뭄 속에서도 미소를 보내네요. 현호색들이 피어 나고 있어요. 이제 남도현호색(흰색 꽃), 쇠뿔현호색(흰색 꽃) 등을 만나러 가야 할 듯해요. 다음 주 월요일은 모악산 탐사를 약속하였기에 다녀 올 계획이네요. 위에서 부터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 왜현호색. 현호색 종류. 2023. 3. 19.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수목원 계곡에서.
깽깽이풀 깽깽이풀 며칠 전에는 찾아 가서 보니 꽃망울이 올라 오는 모습이더니 . . . 이날은 꽃이 개화하기 시작한 듯 미소를 보내더군요. 4월 초순에 가서 보면 잎과 꽃이 활짝 벌어져 반기지요. 야생화 실험 재배를 하는 계곡에서 자생지에서 자라 듯이 매년 꽃이 피어 주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경기·강원·평북·함남·함북)·중국 (학명 : Jeffersonia dubia) 서식 : 산 중턱아래의 골짜기 (크기 : 높이 약 25cm) 깽깽이풀은 높이 약 25cm이다. 원줄기가 없고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자라며 잔뿌리가 달린다. 잎은 둥근 홑잎이고 연꽃잎을 축소하여 놓은 모양으로 여러 개가 밑동에서 모여나며 잎자루의 길이는 20cm 정도이다. 잎의 끝은 오목하..
빈카 마이너 빈카 마이너 빈카, 빈카 마이너 라고 부르지요. 이 품종은 신품종으로 소개가 되고 있기도 하네요. 전주의 야산에 자생지가 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올해는 한번 찾아 가 보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협족도과의 상록 덩굴성 숙근초. 분포 : 프랑스,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원산지 (학명 : Vinca major) 서식 : 화단, 화분, 관상용 (크기 : 길이 40~100cm정도) 빈카는 자생종 늘푸른덩굴나무인 마삭줄과 잎이 비슷하지만, 원예용으로 들여온 늘푸른덩굴풀이다. 속명의 Vinca는 라틴어의 vincire ‘맨다’ 또는 ‘연결하다’라는 뜻으로, 줄기가 구부러지는 성질을 가진 것에서 유래한다. 줄기는 가늘고 늘어지는 덩굴성 상록 숙근초로 포복하며 길이는 40∼100㎝로 길게 늘어지며 자란다. 꽃..
붉은대극 '민대극' 붉은대극 '민대극'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숲속에서 작년에 만나 보았어요.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약초원'에 꽃이 피고 있어 담아 왔네요. 쇠뿔현호색이 필 무렵이면 구이면 계곡리 숲속에 찾아 가 보렵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중부,울릉도),일본 (학명 :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서식 : 산지 숲속 (크기 : 높이 40~50cm) 붉은대극은 양지바른 곳의 유기질 함량이 많고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란다 뿌리는 직근성으로 아래로 뻗어 내려가고 퉁퉁하며 가지는 줄기 끝에서 산형으로 퍼져 나간다. 잎은 어릴 때 붉은 빛을 띤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긴타원형이다. 길이는 9~10cm이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
얼레지 얼레지 매년 4월 초순에 많이 만나러 갔었지요. 오늘은 만주바람꽃 자생지를 알려 달라는 카페 회원님과 약속이 되어 있어 갔었어요. 며칠 전에 꽃망울을 만나고 왔지만 어제 단비가 왔으니 혹시나 하였더니 양지에 많이 피었어요. 한창 피는 4월에는 흰얼레지를 만나러 다시 가 봐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서식 : 산지 높은지대, 산골짜기 (크기 : 높이 20~30cm) 얼레지는 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높이 20~30cm 정도이다. 높은 지대의 비옥한 땅에서 자라지만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비늘줄기는 바소꼴로 땅속 깊이 들어 있고 위에서 2개의 잎이 나와서 수평으로 퍼진다. 잎은 달걀 모양 또..
민가의 '개복수초' 민가의 '개복수초' 민가의 화단에 심어 준 개복수초가 이제는 아주 많이 번식 되었어요. 매년 찾아 가는데 항상 대문을 활짝 열어 놓아 꽃을 구경할 수가 있게 해 놓았더군요. 꽃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고맙고 반가운 일이 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원산지, 한국 경기도 광릉 (학명 : Adonis ramosa Franch) 서식 : 산기슭 나무 그늘 (크기 : 높이 30cm) 개(가지)복수초(Adonis ramosa Franch)는 이명으로 가지복수초(Adonis pesudoamurensis) 라고 부른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가지복수초 → 개복수초가 정명으로 되었다고 한다. 산기슭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는 30cm 정도로 곧게 선다. ..
얼레지 꽃망울 얼레지 꽃망울 3월 말경~ 4월초순에 피어 나는 얼레지이지요. 일 주일 전에는 싹도 안 나왔더니 꽃망울이 제법 크게 달려 있어요. 작년에는 오랫만에 흰얼레지를 만났었는데 올해도 기대를 해 보네요. 3차례 흰얼레지 만났던 날짜 입니다. (3차 2022. 4. 4. 2차 2015. 3. 26. 1차 2011. 4. 5.) 위치를 알고 있기에 올해는 이 날짜에 한번씩 찾아 가 볼까 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서식 : 산지 높은지대, 산골짜기 (크기 : 높이 20~30cm) 얼레지는 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높이 20~30cm 정도이다. 높은 지대의 비옥한 땅에서 자라지만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비늘줄기..
둥근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잎이 둥글게 생겨서 얻은 이름이 아닌 듯하다. 열매가 둥글등글하게 구슬처럼 생겨서 얻은 이름 같아요. 아래 주소에 열매 모습이 담겨 있네요. 봄의 전령 격으로 봄철에 제일 먼저 피는 제비꽃의 종류이지요. 양지바른 곳의 털제비꽃도 곧 피어 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학명 : Viola collina)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약 15 ㎝) 둥근털제비꽃은 둥근털오랑캐꽃·근채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전체에 퍼진 털이 빽빽이 난다. 높이 15㎝ 정도이다. 잎은 전부 뿌리줄기에서 돋고 달걀 모양 심장형 또는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이 필 때의 잎은 길이 2∼3.5 cm, 잎자루는 길이 3∼..
만주바람꽃 만주바람꽃 가뭄이 길게 이어 지고 있는 환경에서 더 일찍 개화하는 식물들이 있어 기대를 하였는데 . . . 역시 개화가 조금 빨라 졌나 싶게 꽃이 피어 있더군요. 경천면에 청노루귀를 만나 보고 대아수목원 계곡을 찾아 갔었네요. 산책로 길 가장자리에는 둥근털제비꽃이 한창 피어 나고 있어요. 얼레지 아가씨들은 다음 주 중에 웃으며 유혹하지 않을 싶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등지 (학명 : Isopyrum mandshuricum) 서식 : 산지 (크기 : 높이 약 15~20cm) 만주바람꽃은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달리고 끝에서 부터 잎과 줄기가 나온다. 뿌리에 달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