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694)
띠풀꽃 띠풀꽃 띠풀은 옛날에는 비가 올때 쓰는 도롱이를 만들기도 하였지요. 뿌리가 투명한 색으로 조금 굵게 옆으로 뻗어 자라는데 뽑아서 먹기도 했었네요. 띠풀이 꽃 피기 전에 어린 이삭은 '삐비' 라고 하여 뽑아 먹었어요. 하천가 풀밭이 띠풀로 덮여 있는 곳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루기도 합니다. 분류 :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북아메리카·아시아·아프리카의 온대에서 열대 (학명 :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서식 : 산과 들 (크기 : 높이 30∼80cm) 띠(띠풀)은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뿌리줄기는 단단한 비늘조각으로 덮혀 있으며 투명한 색으로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
수염가래꽃 수염가래꽃 야산지대 기슭의 논둑에 아주 많이 자생하는 여린 식물입니다. 지면에 기어 자라 듯 바싹 붙어 옆으로 퍼지며 자라는 풀이지요. 꽃이 흰색 같으면서 자주빛이 도는 많은 꽃이 피고 지고 하는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숫잔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말레이시아 (학명 : Lobelia chinensis LOUR) 서식 : 논둑, 습지 (크기 : 가지 길이 3∼15cm) 수염가래꽃은 세미초(細米草)·과인초(瓜仁草)·반변하화(半邊荷花)라고도 한다. 논둑과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뻗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마디에서 갈라진 가지가 곧게 3∼15c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하며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줄기와 더불어 털이 없다..
알록제비꽃 알록제비꽃 야생화로 산지에서 만나기는 처음 인 듯합니다. 흰테 무늬가 조금 연한 듯 싶은데 무늬 모양으로 보아 알록제비꽃 같아 보이네요. 우리나라 전역의 낮은 야산이나 높은 산 등지의 산비탈 절사면에 주로 생육한다 하니, 발견한 장소도 비슷한 곳이네요. 지금까지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약초원에서 만나 보았지요. 내년에 꽃이 필 무렵에는 이곳에 찾아 가 야생의 꽃모습을 만나 봐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자엽)식물 제비꽃목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러시아, 일본, 중국 (학명 :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 서식 : 산지 (크기 : 잎 길이와 폭 2.5~5cm) 알록제비꽃은 산의 숲 속 또는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원줄기가 없다. 잎..
우산나물 우산나물 산지에 많이 자생하는 야생화 이지요. 대아수목원 중턱, 모악산, 마이산 계곡, 이곳 천호산, 용화산 등지에 많이 자생해요. 산지에서 꽃이 피려고 하던데 대학교 자연식물원은 피어 있기에 담아 주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 (학명 : Syneilesis palmata) 서식 : 산지의 나무 밑 그늘 (높이 50∼100 cm). 우산나물은 산지의 나무 밑 그늘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지가 없으며 높이 50∼100 cm이다.잎은 줄기에 2∼3개가 달린다. 밑의 잎은 둥근 모양이고 잎자루가 길이 7∼15 cm로서 길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고 7∼9개로 깊게 갈라진다. 지름 35∼40 cm이고 갈래조각은 다시 2개씩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호골무꽃 호골무꽃 (마이산) 작년에는 숲 계곡 입구에서 만났지만 끝물 무렵의 모습이라 그냥 통과. 이번에 숲 계곡과 마이산돌탑 가는 길목의 언덕 풀숲에 여러 개체가 반겨 주어 담았네요. 그러고 보니 호골무꽃은 게시를 제대로 못해 준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전국 각지역, 이북 지역 (학명 : Scutellaria pekinensis var. ussuriensis) 서식 : 깊은 산지 숲 (크기 : 높이 15~30cm) 호골무꽃은 깊은 산지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는 15~3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늘고 가지를 약간 내며 소수의 잎이 달린다. 원줄기의 각 마디에 위로 굽은 백색 털이 다소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삼각상 넓은 달걀모양이며 질이 얇다. 잎의 길이는..
바위채송화 바위채송화 이곳 미륵산 정상의 큰 바위 겉에도 바위채송화가 피지요. 지난번 찾아 갔더니 꽃이 피지 않고 있더군요. 이번 마이산 방문으로 남부로 길가 고랑 옆에 아주 많이 자생하며 반기네요. 높은 산지의 자생지에 안 찾아 가도 되겠다 싶어 담아왔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 (학명 : Sedum polystichoides) 서식 : 산지의 바위 곁 (높이 10 cm 내외) 바위채송화는 산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높이 10 cm 내외의 포기로 된다. 줄기의 밑부분은 갈색이 돌며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0.6∼1.5 cm, 나비 1.2∼2.5 mm로 줄 모양이며 ..
중나리 (마이산) 중나리 (마이산) 중나리, 털중나리 . . . 중나리는 잎어 어긋나기로 둠성 둠성 달리는데. 털중나리는 잎이 어긋나기로 달리지만 돌려나기 처럼 촘촘히 달려요. 중나리 잎은 여린 듯 부드럽게 보이는데 털중나리는 두텁고 혁질 모양으로 보이지요. 작년에는 한 속이 반겨 주던데 올해는 2 곳에서 3속이 피어 반기더군요.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학명 : 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Regel) Baker) 서식 : 산지, 하쳔변 경사지 (크기 : 높이 1 m 정도) 중나리는 경기 북부 이북과 강원도 일원, 지리산 높은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은 양지 혹은 반그늘의 물 빠짐이 좋은 곳과 주변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 비늘..
옥잠난초 옥잠난초 전에는 이곳 가까운 천호산, 용화산에서 반겨 주었는데 . . . 지금은 자생지에 찾아 가면 숨어 버렸어요. 용화산에 다른 자생지를 발견 하였지만 찾아 가 보질 못하고 있네요. 으름난초를 만나는 계곡에 여러 곳에 옥잠난초가 자생하면서 반겨 주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학명 : Liparis kumokiri) 서식 : 숲속 (크기 : 꽃줄기 높이 15∼30cm) 옥잠난초는 숲 속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20~30cm이다. 줄기는 알줄기 모양으로 땅 표면에 있으며 녹색이고 마른 잎자루로 싸여 있으며 끝에서 2개의 잎이 나온다. 잎은 달걀 모양이며 부드럽고 다소 육질로 가장자리에 잔주름이 있다. 꽃은 6∼7월에..
병아리난초 병아리난초 작년보다 3일 정도 빨리 찾아 간 듯합니다. 으름난초를 찾아 가서 헛탕? 치고 나와서 마이산돌탑 구경을 가다가 발견. 올해는 위치를 알기에 쉽게 찾아 갔더니 그래도 잘못 찾았나 싶더군요. 꽃도 그렇고 난초의 잎도 작아서 촬영하기 조금 어렵네요. 꽃이 너무 작아 잘 안 찍히는 편이더군요. 분류 :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학명 : Amitostigma gracile) 서식 : 산지 숲속 (크기 : 높이 8∼20cm) 병아리난초는 산지 숲 속의 바위에 붙어 자란다.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고 1∼2개 있다. 높이 8∼20cm정도이다. 잎은 약간 올라가서 1개 달리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8cm, 나비 1∼2cm로 털이 없다. 밑동은 줄기를 약간..
으름난초 으름난초 작년보다 일주일 정도 빨리 찾아 간 듯합니다. 작년에는 많은 진사 분들이 모여 왔었는데 올해는 여성 2분과 조우. 개체수가 많이 보이질 않고 2곳에서만 몇 속씩 보이더군요. 조금은 빠른 듯 이제 피기 시작하는 모습이네요. 분류 :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제주, 전북 진안 마이산) (학명 : Galeola septentrionalis) 서식 : 숲속 (크기 : 높이 50∼100cm) 으름난초는 개천마라고도 한다. 숲속에서 자란다. 전체가 갈색이다. 높이 50∼100cm이다. 기생식물(부생란 일종)로서 뿌리 속에 아르밀라리아라고 하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 있다. 굵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어가며 비늘잎이 달리고 엽록소가 없다. 줄기는 딱딱하고 갈색 털이 빽빽이 나며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