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750)
쇠비름 쇠비름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공터에 쇠비름이 활짝 피어 있어요. 들판이나 밭, 텃밭, 공지 등지에 흔히 자라는 잡초에 해당하지요. 농사 짓는 분들은 아주 귀찮은 식물이기도 하는데 꽃은 아름답게 피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전 세계 온대에서 열대 (학명 : Portulaca oleracea L) 서식 : 밭 근처 (크기 : 높이 30cm) 쇠비름은 오행초(五行草)·마치채(馬齒菜)·산산채(酸酸菜)·장명채(長命菜)·돼지풀·도둑풀·말비름이라고도 한다. 밭 근처에서 자라는 잡초이다. 높이가 30cm에 달한다. 전체에 털은 없으나 육질이고 뿌리는 흰색이다. 줄기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으로서 많은 가지가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는데 가지 끝에서는 돌려난..
세잎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 지금까지 '새끼꿩의비름'으로 알고 게시를 하였는데 . . . 언제부터 인지 '세잎꿩의비름' 명찰이 달려 있어서 수목원에서 잘못 달았나 생각. 이번에 다시 세잎꿩의비름과 새끼꿩의비름를 검색하여 내용을 비교하였네요. 새끼꿩의비름은 꽃이 황백색으로 피고 잎이 3~4장씩 돌려 나며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달려 번식하는 특징. 세잎꿩의비름은 꽃이 녹백색으로 피고 잎이2~3장씩 돌려나지만 마주나기도 하고 살눈이 없어요.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의 명찰을 보고 새삼스럽게 배우게 되었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캄차카·중국·시베리아·유럽 (학명 : Hylotelephium verticillatum H.Ohba) 서식 : 산지의 바위 틈이나 풀밭 (크기 : 높이 ..
둥근잎나팔꽃 둥근잎나팔꽃 우리 주변에 흔히 보이는 나팔꽃 종류를 처음에는 이름을 몰라 헛갈리기도 했네요. 나팔꽃, 미국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애기나팔꽃, 별나팔꽃, 일본나팔꽃. . . 큰둥근잎에 보라색의 작은 꽃이 피는 둥근잎미국나팔꽃이 많이 혼동 야기를 했어요. 둥근잎나팔꽃은 꽃색이 홍색과 붉은자주색으로 피는 두 종류가 있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열대 아메리카 원산지 (학명 : Ipomoea purpurea Roth) 서식 : 길가나 빈터 (크기 : 길이 1.5m 내외) 둥근잎나팔꽃은 길이 1.5m 내외로 자란다. 줄기에 밑으로 향하고 있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7∼8cm이다. 나팔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둥글고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꼽 이름에 며느리 이름이 관련 된 식물도 여럿 있는 듯해요. 며느리배꽃, 며느리밑씻개, 꽃며느리밥풀 . . . 며느리배꼽은 잎이 정삼각형 모양인데 비해, 며느리밑씻개는 잎이 긴 삼각형 모양이지요. 서로 같은 지역에 함께 자생하지 않는 다는 설이 있더군요. 며느리배꼽 열매는 흔히 만날 수가 있는데 꽃은 자세히 관찰해야 볼 수가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한국·일본·중국·말레이시아 (학명 : Persicaria perfoliata (L.) H. Gross) 서식 : 들 (크기 : 길이 1∼2 m) 며느리배꼽은 들에서 흔히 자라는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줄기는 잎자루와 더불어 밑으로 향한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길이 1∼2 m이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
주홍서나물 주홍서나물 용화산 중턱 묘목장 부근 길가에 아주 많이 자생하는 주홍서나물이네요. 산기슭, 길가의 빈터에 붉은서나물과 함께 발견이 되기도 하지요. 꽃이 피고 나면 주홍서나물과 붉은서나물의 열매가 하얗게 달려 퍼지는 모습은 같아요. 꽃은 7월부터 가을까지 피고 있는 듯합니다. 분류 : 쌍덕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 · 일본 · 아프리카 (학명 :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 서식 : 산기슭, 길가, 빈터 (크기 : 높이 30~100cm) 주홍서나물은 산기슭이나 길가, 빈터 등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10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가는 털이 성글게 달린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긴 타원형으로 ..
여우팥 여우팥 새팥, 좀돌팥, 여우팥 . . . 노란 색의 꽃이 피고 서로 엇비슷한 꽃모양으로 헛갈리기 쉽지요. 이럴 때에는 잎 모양을 보시면 쉽게 구분이 될 듯해요. 새팥은 잎이 크고 넓으며 심장모양, 좀돌팥은 잎이 가늘고 길쭉하기에 구분이 됩니다. 여우팥은 여우 귀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잎이 작은 편이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한국·일본·중국 (학명 :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서식 : 산이나 들 (크기 : 잎 길이와 폭이 약 1.5~3㎝) 여우팥은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뒷면에 황적색 선점(腺點)이 있다. 잎의 길이와 폭은 약 1.5~3㎝ 정도이다. 작은잎은 3개이고 끝잎이 크며 삼각..
별나팔꽃 별나팔꽃 천호산 동굴 가는 방향의 묘지 많은 곳의 가장자리에 군락을 이뤄 자생하지요. 이곳 용화산 언덕 길의 묘지 옆 공지에 몇해 전부터 꽃이 보이더군요. 이번에도 등산로 정비를 위하여 예초기로 작업을 하였던지 잎 등이 손상되었어요. 아마 서동축제가 2023. 9. 15.~9.17일 까지 이어지기에 등산로 정비를 한 듯해요. 그런 중에도 꽃이 몇송이가 피어 반겨 주어 담아왔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한국(남부지방, 제주도), 열대 아메리카(원산지),아시아, 북아메리카(귀화) 등지 (학명 : Ipomoea triloba L) 서식 : 산과 들의 길가 빈터 (크기 : 꽃자루 길이 8~12cm정도) 별나팔꽃은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
딱지꽃 딱지꽃 오랫만에 오르는 용화산. 초입부터 석물결나비 녀석이 반겨 주더군요. 백령풀, 여우팥, 주홍서나물, 큰벼룩아재비, 며느리배꼽, 고슴도치풀, 으아리 등이 반기더군요. 주요 탐사 목표는 딱지꽃인데 정상까지 올라 가야 만나는 야생화이지요. 강원도 간성읍의 야산지대에서 전초를 만나 보기도 하였네요. 처음 만났었던 곳은 제주도 우도에서였던 것 같은데 이곳 용화산에 귀하게 한속이 자생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타이완 (학명 : Potentilla chinensis) 서식 : 들이나 강가, 바닷가 (크기 : 높이 30 ~ 60 cm) 딱지꽃은 들이나 강가, 바닷가 등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보랏빛으로 몇 개가 뭉쳐나며 줄기..
백양꽃 백양꽃 백양꽃은 모악산 구이계곡을 올라 가면 몇 속이 자생하더군요. 상사화의 종류이지만 꽃색이 조금 짙은 색으로 피지요. 제주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진노랑상사화 등을 담아야 할 듯해요.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전남 백암산),한국 원산지 (학명 :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Nakai) T. Koyama) 서식 : 산지 (크기 : 길이 30∼37mm, 지름 27∼35mm) 백양꽃은 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 30∼37mm, 지름 27∼35mm로서 겉이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잎은 비늘줄기 끝에 모여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50∼56mm, 나비 10∼12mm이다. 빛깔은 녹색이며 중륵(中肋)에..
수박풀 수박풀 7~8월에 들판의 자생지에서 핀 모습이 아름다워요. 수목원의 꽃이 잎이 벌레가 먹어 제대로 보이질 않더군요. 자생지에 찾아 갔더니 문화재 유적지 복원 공사로 훼손되어 버렸어요. 수박꽃 자생지를 다시 찾으려면 발품을 사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부와 남부지방 (학명 : Hibiscus trionum L.) 서식 : 들이나 길가, 물가 (크기 : 높이 30∼60cm) 수박풀은 조로초(朝露草)·미호인(美好人)·야서과(野西瓜)라고도 한다. 중부 아프리카 원산인 귀화식물이며, 한때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였다. 물이 가까운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며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윗부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