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54)
고창읍성 '진서루' 고창읍성 '진서루'전북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고창읍성이라 부르는데 '모양성'이라 부르기도 해요.거치른 자연석을 다듬에 쌓은 성벽이 잘 보존되어 있는 곳입니다.정문인 북문을 공북루, 우측에 있는 서문을 진서루 라고 합니다.좌측 방향에 있는 동문은 등양루 라 하는데 아직 담아 주지 못했네요. 분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지정 : 사적 제145호 (1965년 04월 01일 지정)위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크기 : 둘레 1,684m, 면적 189,764㎡특징 :고창읍성(高敞邑城)은 1965년 4월 1일 사적 제145호로 지정되었다.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석성으로, 고창의 방장산(方丈山, 743m)을 둘러싸고 있다.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데, 백제시대 때 고..
고창읍성 맹종죽림 고창읍성 맹종죽림좀딱취, 단풍나무 등의 풍경을 만날 수가 있을까 하였는데 . . .단풍은 너무 일찍 찾아 간 듯하고, 좀딱취는 너무 늦게 찾아 갔던 것 같아요.고창읍성(모양성)을 둘러 보고 아산면 선운사로 갔었네요. 분류 :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대나무.분포 : 한국,중국,일본 (학명 : Phyllostachys edulis (Carrière) J. Houz)서식 : 남부지방 식재 (크기 : 높이10~ 20 m 이상,지름 20cm 이상)맹종죽은  호남죽(湖南竹), 죽순죽(竹筍竹), 일본죽(日本竹), 모죽(毛竹)이라고도 한다.높이 10~20m, 지름 20 cm 정도로 대나무 중 가장 굵다.줄기는 굵어지고, 키는 20m 이상으로 자란다.처음에는 마디사이에 흰 가루가 있으나 점차 떨어져 없어진다.마디고리는..
내장산 조각공원 내장산 조각공원내장산을 가기 위해 내장산 I.C로 나오면 서래봉 기슭에 '전봉준공원'과 함께 나온다.내장산 조각공원, 샘골의 빛,  내장저수지가 한 지역에 어울러져 있어요.백양사에서 내장사를 가기 위해 내비를 찍고 오니 조각공원에 이르더군요.도로변의 단풍, 저수지 주변의 풍경이 아름다울 듯하여 쉼터이기에 주차하고 돌아 보았네요. 분류 : 여행 > 관광지 > 공원 > 소공원.지역 : 아시아 > 한국 > 전북특별자치도.위치 : 전북 정읍시 쌍암동 산225-1.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쌍암동 내장저수지 옆에 있는 조각공원이다.2004년에 조성된 조각공원으로, 내장산 서래봉 자락 아래의 내장저수지 옆에 자리 잡고 있다.대한민국미술전 등의 미술전에서 수상한 국내 중견 조각가 16인의 조각품 각 1점씩이 전시..
우화정 둘레길 풍경 우화정 둘레길 풍경주차비가 무료라서 자가용을 타고 일주문 전까지 들어 갔어요.케이블카 매표소 앞까지 갈 수가 있어 좋기는 한데 제대로 사진촬영을 못하겠더군요.공간이 조금 있다 싶은 곳은 차량이 잔뜩 주차되어 있어요.통제가 되지 않아서 그런지 조금은 무질서한 것이 아쉽더군요. 분류 : 자연 > 자연광관지 > 호수.위치 : 전북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명소. 내장산 (內藏山) 국립공원 내에 있다.개요 : 내장산 우화정(羽化亭)은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昇天) 하였다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羽化亭)'이라 부른다.1482년 무렵 내장산성이 있었던 곳으로 승군과 왜적이 격렬한 전투를 벌인 장소이다.오늘날에는 당시의 시설은 남아 있지 않고 연못 가운데 자연석과 콘크리트로 바닥을 다지고 흰색기둥에 파란 지붕을 올린 ..
우화정 반영 우화정 반영이번에 방문을 하였더니 입장료, 주차료가 무료이더군요.백양사를 들려서 조금 늦게 찾아 갔었기에 시간이 아쉽게 되어 제대로 탐방을 못했어요.단풍 모습도 조금 늦은 감이 있어 아름다운 모습을 기대하기 어려웠었네요.특히,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서 정상의 관망대 부근에 이나무 열매 등을 못 만났네요. 분류 : 자연 > 자연광관지 > 호수.위치 : 전북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명소. 내장산 (內藏山) 국립공원 내에 있다.개요 : 내장산 우화정(羽化亭)은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昇天) 하였다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羽化亭)'이라 부른다.1482년 무렵 내장산성이 있었던 곳으로 승군과 왜적이 격렬한 전투를 벌인 장소이다.오늘날에는 당시의 시설은 남아 있지 않고 연못 가운데 자연석과 콘크리트로 바닥을 다지고..
애기찔레장미 애기찔레장미아주 작은 꽃이 손톱만하다.다행히 명찰이 있어 담았더니 학명이 적혀 있더군요.학명을 참고로 검색을 하여 다소 적은 정보를 얻어 편집하였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덩굴성 낙엽관목. 분포 : 동아시아 원산지, 한국, 중국, 일본  (학명 : Rosa muitiflora thunb)서식 : 조경용, 관상용, 공원, 노지월동 (크기 : 높이 30~45cm  )애기찔레장미는 장미과 식물인 찔레나무의 일종이다.찔레나무(들장미)는 각지의 산기슭이나 개울가에서 자란다.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게 자라며 가지를 많이 친다. 높이는 30~50cm 정도이다.잎은 어긋 나고  5~9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깃꽃겹잎이다.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2~4cm, 폭 1~2cm 정도이다 잎가장자리에..
가시박 가시박일찍 담아 주고도 게시를 못하였네요.외손주 보러 가서 운동 삼아 광명시 안양천변을 걸었어요.하천변에 온통 가시박덩굴이 뒤덮혀 있더군요.10월 말경에도 담아 주었는데 지금 정리 된 11월 초 자료입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분포 : 북아메리카 원산, 경기 중부 이남 지방 (학명 : Sicyos angulatus L.)서식 : 물가, 하천변, (크기 : 길이 4~8m)가시박은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이며 귀화하여 자라는 왜래식물로 덩굴 줄기 식물이다.줄기는 길게 뻗으며 자라는데 줄기 마디에서 나오는 덩굴손으로 주변의 다른 물체를 감고 4~8m 정도 자란다.잎은 어긋나게 줄기에 달리고 오각형 모양으로 5~7갈래로 갈라지는데 호박이나 박의 잎과 흡사하게 생겼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
댑싸리 풍경 댑싸리 풍경전에는 마당가에 심어 가을에 채취하여 빗자루를 만들었지요.지금도 일부 농가에 심어져 있기도 해요.공원 등에 가을에 붉게 물드는 모습 때문인지 많이 심어 주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유럽·아시아 (학명 : Kochia scoparia (L.) Schrad.)서식 : 들 (크기 : 높이 1 m 정도)댑싸리는 대싸리라고도 한다. 유럽 및 아시아 원산지이다.높이는 1m 정도로 곧게 자라고 뜰에서 재배하던 것이 들로 퍼졌다.줄기는 처음에 녹색이었다가 붉게 된다.잎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개의 맥이 있다.길이 2~5cm, 폭 2~8mm로 긴 털이 나 있다.꽃은 7∼8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는데, 대..
새삼충령바구미 벌레혹 새삼충령바구미 벌레혹남의 양분으로 살아가는 새삼과 미국실새삼.등친 것에 붙어 살아가는 또 다른 것은 '새삼충령바구미'의 충영(벌레혹) 처음에는 실새삼의 열매가 저리 큰가 싶었는데 실새삼의 열매가 아닌 것 같더군요.미국실새삼에 기생하는 충영(벌레혹) 이라고 하네요.(자료에 대한 정보는 편집) 분류 : 딱정벌레목 충령바구미과의 곤충. 새삼충령바구미 벌레혹.분포 : 한국(전국), 일본, 러시아 (학명 : Smicronx madaranus Kôno, 1930서식 : 개삼류 줄기 기생  (크기 : 몸길이 2.1~2.5mm)출현 : 늦여름~ 가을에 발견.특징 :몸길이는주둥이 제외  2.1~2.5mm이다.몸은 좁은 타원형이며 볼록하다. 약간의 광택이 있는 검은 색이며 회색 인편이 촘촘하다.머리는 매끈하며 눈 사이 앞..
파키포디움 사운데르시 파키포디움 사운데르시백마성, 파키포디움 사운데르시 . . .유통명으로 백마성이라 불리고 일명, 중국명 이기도 하다.6월에도 꽃이 피고 10~12월 에도 꽃이 피어 있기도 하더군요.다육식물이라는데 날카로운 가시가 달린 나무처럼 자라고 있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협죽도과의 열대성 다육식물.분포 :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와질랜드, 짐바브웨 (학명 : Pachypodium saundersii N.E. Brown)서식 : 관상용 분재배 (크기 : 높이 90~120 cm 정도. 밑둥지름 약50cm)파키포디움 사운데르시(Pachypodium saundersii)은 사막 같은 기후에 자라는 열대성 다육식물이다.Pachypodium은 그리스어의 Pachy (thick)와 podium (foot)에서 '두꺼운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