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59)
미국산사나무 열매 미국산사나무 열매하늘공원을 탐방하고 난지연못을 거쳐 마포구 농수산물시장에서 점심.점심을 하고 계산을 하려고 하였더니 안양 친구가 어느새 결제를 했어요.월드컵경기장역에서 지하철을 타기 위하여 가는데 미국산사나무 열매가 보이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분포 : 미국 원산지 (학명 : Crataegus scabrida)서식 : 관상용 식재 (크기 : 높이 3m)미국산사나무는 미국에서 들어왔다. 높이는 3m 내외로 산사나무와 비슷하지만 크고 긴 가시가 있다.어린 가지는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지만 햇볕이 들지 않는 곳은 녹색이 돌고 피목(皮目)이 뚜렷하며, 2년생 가지는 회색이다.가시는 길이가 3 cm이고 가지 밑 부분에서 잎과 같이 배열하며 가지와는 거의 직각으로 벌어진다.잎은 어긋나고..
고딩 친구들 고딩 친구들안양의 기채 친구는 몇 해전에 여러번 만났었지요.하늘공원에 재직하다 정년 퇴직한  현수 친구와 하늘공원에서 만나기 시작.상경하면 안양으로 찾아가고 광명으로 찾아 오고 하기도 했었네요.윤기 친구는 현역시절 보안부대 근무하고 제대 후에 소식은 모르네요.이번 기채 친구가 나를 만나러 가자하여 데리고 왔었네요.친구들을 위하여 카메라로 여러 컷을 찰칵 찰칵 . . . . 친구들을 위하여 카페에 올리고 있어요.친구들이 페이스 북을 개통하지 않은 듯하더군요.할 줄 몰라서 그런게 아니고 일부러 페북을 않고 있어요.그래서 카페 올려서 복사해 가라고 게시를 하는 것입니다.선행하는 친구들 https://cafe.daum.net/510211/4bMv/353?svc=cafeapi고딩 친구들.2024. 11. 9. 서..
월드컵공원 월드컵공원서울에서 복무 중이던 75~79년 초에 당시에 뉴스에 많이 나오던 곳이다.당시는 서울의 쓰레기매립장이였지만 지금은 생태공원으로 변하여 수 백만명의 시민이 찾는 곳이지요.퇴직하고 초딩 친구가 그곳에 근무를 하였기에 하늘공원, 난지연못, 평화공원, 월드컵공원을 찾았었네요.지금도 서울에 상경하면 시간 나는대로 하늘공원 등에 찾아 보네요.지하철 역에서 내려 하늘공원으로 가는 월드컵경기장~ 난지연못 주변의 풍경입니다. 유형 : 한강생태공원.면적 : 3,471,090 m2 (연간 약 980만명 방문)위치 :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로 86, 상암동 481-6(지번)역사 :서울 여의도 면적과 비슷했던 난지도 섬이다.서울의 서쪽에 위치하여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간 서울의 쓰레기로 조성된 2개의 거대한..
하늘계단 풍경 하늘계단 풍경하늘공원에 오랫만에 올라 가는 듯하다.몇해 전만해도 나무들이 크지 않아 좋았는데 지금은 나무가 우거져 풍경이 가려져 있어요.하늘계단을 오르고 내려오면서 담은 모습을 함께 올려 봅니다. 하늘공원에서 본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UN/58?svc=cafeapi하늘공원 그리고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Mv/10?svc=cafeapi폰으로 본 하늘고원 길 https://cafe.daum.net/510211/4bMv/334?svc=cafeapi상암동 월드컵경기장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UN/119?svc=cafeapi서울 하늘공원 풍경 https://cafe.daum.net/510211/4bU..
선행하는 친구들 선행하는 친구들상경하면 일정 때문에 바로 귀향하였는데 . . .올 가을에는 안양에 사는 친구한데 하늘공원에서 만나자고 약속.혼자 오려니 싶었더니 오랫만에 만나는 친구도 동행이더군요.모두 고창고등학교 46회 동창들이지요.(안경 쓴 친구 조 기채, 옆 친구 송 윤기)한명은 교육자로 정년퇴직을 하고 지내는데 한명은 여러 직종에 일하다 쉬는 듯합니다. 만나자 마자 커피를 한잔씩 하고 하늘계단을 오르기 시작,하늘계단을 올라 가면서 교직에서 퇴직한 친구는 휴지 등을 주어 봉투에 모으더군요.역시 교육자 출신이라 다르구나 싶어요.그러니 같이 온 친구도 함께 쓰러기를 주어 봉투에 넣어 주더군요.다리가 불편하여 주어서 넣고 싶은데 마음 뿐이였네요.선행하는 친구들.2024. 11. 9.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서.
감국 감국제주도 여행을 다녀와서 상경하였더니 . . .안양에 있는 친구가 상경하고 그냥 만나지도 않고 내려 간다고 투털되더군요.만나자고 하였더니 하늘공원에서 만나자네요.혼자 올 줄았더니 오랫만에 보는 친구도 데려왔어요.모두 신림면이 고향인 고딩 친구들이네요.하늘고원을 다녀오면서 내려 온 길이 서울박람회정원 평화공원으로 오면서 만났던 감국.올해는 기후 탓도 있지만 갯국화, 백야국, 감국, 산국 등을 제대로 담아 주지 못한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한국·타이완·중국·일본 (학명 :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서식 : 산 (크기 : 높이 60∼90cm)감국은 황국(黃菊)이라고도 한다. 주로 산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다...
폭죽초 '루셀리아' 폭죽초 '루셀리아'작년에는 익산시 황등면 '아카페정원'에서 만났었네요.화원에 가면 자주 볼 수가 있는 외래식물이지요.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윗편에 있는 하늘공원의 억새풀밭 입구에 있더군요.처음 만났던 것을 동남아시아 열대지방 여행시에 높은 언덕에서 만났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질경이목 질경이과 루셀리아 속의 상록활엽관목 (소관목).분포 : 멕시코, , 과테말라 원산지 (학명 : Russelia equisetiformis Schlecht. & Cham.)서식 : 해안가 절벽, 기슭, 언덕 양지 (크기 : 높이 70~100cm 정도)폭죽초(루셀리아)는 질경이과의 상록활엽관목 (소관목)이다.영명은  coral plant, firecracker plant, fountain plant 이고  폭죽꽃,폭장화 등..
야고 '하늘공원' 야고 '하늘공원' 제주도 여행하면서 야고를 다랑쉬오름 등에서  만났었지요.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위 하늘공원에 억새 풀밭의 야고입니다.너무 늦은 탐방이였지만 그래도 흔적이라고 발견이 되어 찰칵해왔네요.고딩 친구들이 오랫만에 만나서 식사나 하자고 하여 하늘공원에서 만났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열당과의 기생식물.분포 : 한국(한라산)·일본·중국·동남아시아·히말라야 등지 (학명 : Aeginetia indica)서식 : 억새·양하·사탕무 뿌리에 기생 (꽃자루 길이 10∼20 cm)야고는 담배대더부살이라고 한다. 보통 억새 뿌리에 기생하고 양하와 사탕무 뿌리에도 기생한다.줄기는 매우 짧아 거의 땅 위로 나오지 않으며 털이 없고 몇 개의 잎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비늘 조각 같으며 붉은빛이 도는 갈색..
내장산 단풍 내장산 단풍이제 사찰이 있는 국립공원, 도립공원에 가면 입장료가 무료이지요.내장산에 갔더니 주차를 하지 않고 케이블카 탑승하는 곳까지 자가로 이동하더군요.주차료, 입장료가 없어 좋기는 한데 조금은 무질서한 주차가 조금 아쉬워요.백양사를 들려 내장사로 갔었기에 시간이 조금 촉박하여 제대로 돌아 보지 못했네요. 분류 : 불교 유적 사찰.위치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 590시대 : 고대 ~삼국시대. 건립 : 636년. 삼국시대.이칭 : 영은사(靈隱寺), 벽련사(碧蓮寺)정의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內藏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영은이 창건한 사찰.개설 :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역사적 변천 :636년(백제 무왕 37) 영은조사(靈隱祖師)가 창건하여 영은사(靈隱寺)..
백양로 단풍터널 백양로 단풍터널백양사 단풍터널 이지요. 백양사 오르는 길이 '백양로' 입니다.조금 늦게 탐방을 하였던가 싶게 단풍이 많이 지고 있더군요.선운사, 내장사, 백양사 등이 서로 장 단점이 있어 특별하게 어디가 좋다고 못하겠어요.모두 우리의 산하의 아름다운 풍경이기에 모두 좋다고 함이 좋을 듯합니다. 백양사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사찰.백제시대 (632년) 무왕 여환이 창건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조선팔경의 하나로 절경(絶景)과 설경(雪景)으로 유명한 곳이다.백학봉백암산 (내장산 국립공원에 포함) 아래에 위치한 암벽.식생 경관이 아름다운 명승 38호(2008년 지정)대한 8경의 하나로 꼽혀지는 이름난 곳이다.백암산에서 뻗은 능선이 백학봉까지 이러진다.쌍계루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