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초본식물, 산과 들풀)

(758)
새콩 새콩 흰색 꽃이 피는 흰새콩, 연한 자주색 꽃이 피는 새콩. 산과 들의 풀밭, 길가 등지에 덩굴성 줄기로 자라며 꽃이 피어요. 잎이 여우팥, 새팥 등과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울 듯하나 꽃이 다르기에 구분이 되지요.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 (학명 :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Benth.) H. Ohashi) 서식 : 산기슭과 들 (크기 : 길이가 1∼2m) 새콩은 산기슭과 들에서 자란다. 식물체는 흰새콩과 같으니 꽃이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줄기의 길이가 1∼2m이고 식물체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뒷면은 ..
돌들깨 '야생 들깨' 돌들깨 '야생들깨' 재배하는 들깨와 조금 닮은 듯하며 비슷합니다. 흰꽃이 피고 잎이 재배하는 들깨와 비슷하지만 더 딱딱하고 거칠게 보여요. 대아수목원 임도'산책로' 길가 양지 바른 지역에 아주 많이 자생하고 있어요. 돌들깨의 학명과 자료에 대한 정보가 미미하여 들깨의 학명을 인용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전국), 중국, 인도, 일본 (학명 :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서식 : 낮은 지대의 인가 근처, 산지길가 (크기 : 높이 60∼90cm) 들깨(돌들깨 : 야생)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인도의 고지(高地)와 중국 중남부 등이 원산지이다. 한국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참깨와 함께 들깨를 재배한 기록이 있는데 옛날부터 재..
양하 양하 모악산 정상부근의 수왕사 쉼터 언덕 아래에 군락을 이뤄 자생하더군요. 원광대학교의 자연식물원에 가면 약초원과 나무 숲 밑에 2곳에 자라고 있어요. 지금 양하가 한창 피고 있는 모습입니다. 분류 :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아시아 열대 지방 (학명 : Zingiber mioga) 서식 : 산지 자생, 약초 재배 ((크기 : 잎 높이 40∼100cm) 양하는 아시아 열대 지방이 원산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비늘 조각 모양의 잎으로 덮인다. 잎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서로 감싸면서 줄기 모양으로 자라 높이가 40∼100cm에 달한다. 꽃은 8∼10월에 황색으로 피고 지름이 5cm이며 꽃줄기에 긴 타원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
눈빛승마 눈빛승마 무더위, 장마, 코로나 등의 이유로 탐사를 늦게 한 듯해요. 8월 말경이나 9월 초순경에 찾아 가면 꽃 모습이 아름답게 반기는 야생화이네요. 아래 주소의 꽃들을 참고 하시고 잎차례와 줄기 등을 참조 하시면 될 듯해요. 내일부터 한가위 추석 명절 연휴가 시작되네요. 모두들 풍성하고 화목한 가족의 모임을 가지시고 행복한 명절 보내세요.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경북·충남·강원·전북·황해)·몽골·시베리아 (학명 : Cimicifuga dahurica (Turcz. ex Fisch. & C. A. Mey.) Maxim) 서식 : 깊은 산 숲 속 (크기 : 높이 약 2.4 m) 눈빛승마는 깊은 산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2.4m이다. 줄기는 크고 ..
수염며느리밥풀 수염며느리밥풀 꽃며느리밥풀, 애기며느리밥풀, 수염며느리밥풀, 털며느리밥풀, 알며느리밥풀, 새며느리밥풀, 흰며느리밥풀 . . . 종류도 많은 듯하고 서로 헛갈리게 하여 이름표 달기가 어렵네요. 수염며느리밥풀과 털며느리밥풀이 엇비스하여 동정이 어려워요. 애기며느리밥풀, 알며느리밥풀, 새며느리밥 등의 특징을 자세히 알아 두어야 할 듯해요.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의 남부지방과 일본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 FR. et SAV) 서식 : 산지 건조한 양지 (크기 : 높이 30∼50cm) 수염며느리밥풀은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길게 자라고 갈라져서 높이 30∼50cm로 자란다. 잎은 길이 3∼6..
삽주 삽주 '나는 자연인이다' 프로를 보면은 . . . 약초로 삽주를 채취하는 광경이 많이 나오는 편이더군요. 일반인들이 산에 가면 삽주를 보고 정확한 약의 용도를 모른체 무조건 채취해 버리는 듯해요. 삽주 꽃이 필 무렵에 자생지를 찾아 가면은 개체수가 안 보이거나 많이 줄어 버렸어요. 되도록이면 공공 방송에 야생화와 자연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지양을 해 주었으면 하네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동북부·일본 등지 (학명 :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서식 : 산지의 건조한 곳 (크기 : 높이 30∼100cm) 삽주는 산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굵고 길며 마디가 있고 향기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몇..
울릉장구채 울릉장구채 좀싸리, 괭이싸리 등과 함께 울릉장구채가 자라고 있어요. 꽃이 한창 피는 모습은 덩굴별꽃 처럼 꽃잎이 벌어 지고 있네요. 줄기와 잎이 여리게 보이는 모습이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울릉도 (학명 : Silene takesimensis) 서식 : 바위면 (크기 : 높이 20∼50cm) 울릉장구채는 바위면에서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굵은 뿌리가 나무처럼 단단하며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그 끝에서 많은 줄기가 뭉쳐난다. 잎은 마주나고 줄 모양 바소꼴이다. 가운데의 잎은 길이 6∼9cm, 나비 7∼10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양면에 털이 없다. 잎가장자리에는 돌기 같은 부드러운 털이 나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잎자루처럼 된다. 꽃은..
개솔새 개솔새 산과 들의 수풀에 많이 자생하는 벼과의 풀들이 여럿이지요. 가을이면 꽃과 열매가 달려 반겨 주는 식물들입니다 자주 보는 식물들이지만 이름을 모르고 지나치게 될 경우가 많아요. 분류 :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제주·전남·전북·경북·충북·강원·경기)·일본 (학명 :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서식 : 양지바르고 건조한 들 (높이 약 1 m) 개솔새는 양지바르고 건조한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모여난다. 잎은 줄 모양이고 밖으로 휘어지며 길이 15∼40cm, 나비 3∼5 mm이다. 잎혀는 길이 1∼3 mm로 삼각형이고 털이 없다. 꽃은 9월에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20∼40cm이..
도깨비바늘 도깨비바늘 도깨비바늘, 흰도깨비바늘, 울산도깨비바늘 . . . 울산도깨비바늘은 도깨비바늘과 달리 노란색의 설상화가 달리지 않는 꽃이지요. 울산도깨비바늘도 이제 피기 시작하였어요.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중국·타이완·일본·인도·말레이시아·오스트레일리아·터키·아프리카 (학명 : Bidens bipinnata) 서식 : 산과 들 (높이 25∼85 cm) 도깨비바늘은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는 25∼85 cm이고 털이 다소 있으며 줄기는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고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밑부분의 잎은 때로 3회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8∼10월에 노..
물봉선 물봉선 산지의 계곡에 가면 지금 물봉선이 한창이네요. 이번에는 흰물봉선을 처음으로 만나는 행운이 있었어요. 노랑물봉선은 몇해 전에 대관령 양떼목장 계곡에서 만났었네요. 이제 산지에 다니면 미색물봉선이 있나 찾아 봐야 할 듯합니다. 분류 :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물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 동북부 (학명 : Impatiens textori) 서식 : 산골짜기의 물가나 습지 (크기 : 높이 40~80 cm) 물봉선은 산골짜기의 물가나 습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는 40∼80 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15 cm의 넓은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다. 꽃은 8∼9월에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으로 피고 가지 윗부분에 총상..